저항은 15k, 15k/2 (2개 병렬값)을 사용하였습니다.
500개 구입해서 선별하니 +-3옴 오차로 50개가 나와주네요. 2개 병렬하는 부분은 14922옴 2개를 병렬하거나, 14912옴+14932옴 병렬하나 값이 동일하니 수율이 보다 잘 나와주었습니다.
I2s-> Rj justified 회로는
http://www.pavouk.org/hw/modulardac/en_pcm1704.html
위 링크를 참조,
dac 회로는
http://www.tomozon.sakura.ne.jp/DAC/74AC574_4para_DAC/
위 링크에서 병렬하지 않고 74hc574를 비트당 1비트민 활용해서 만들었습니다.
디지털필터는...나중에 필요하면 넣어보려고요.
입력은 amanero/xmos 1계통만 받습니다.
(사무실용이라...pc usb말고는 쓸일이 없습니다)
우선, 파형은 잘 나옵니다.
LPF는 1체널만 조립 후 좌우 비교해봅니다
44.1khz 샘플링에서 1khz, 20khz를 재생해봅니다.
1khz LPF 이전
1khz lpf 이후
20khz lpf 이전
20khz lpf이후입니다.
44.1k-20k=24.1khz 의 노이즈는 20khz와 너무 가까워 저정도 감쇄가 한계네요.
10khz LPF 이전
10khz lpf 이후
20khz lpf 이전
20khz LPF 이후
당연하겠지만 LPF거치니 파형도 예뻐지네요.
저항선별의 힘인지 왜율값이 꽤 낮은게 좋습니다.
우선 R2r 전압출력을 중간앰프 없이 바로 LPF만 거치고 들어보는데, 소리가 김빠진 콜라같습니다. 중간에 postamp를 한번 추가해주면 좋아지려나, 추후 테스트해봐야겠습니다.
첫댓글 잘 만드셨네요... 그런데.. 파형이 그리 이쁘지는 않네요... 잘 튜닝하셔야 할듯
그리고 nos는 하지 않는것이 좋으로라 생각됩니다.
dsd인경우 어짜피 디지털오버셈플링이 구현되지 않기에...
pcm용은 무조건 디지털오버셈플링 필터를 사용해야 좋은 파형을 얻을수 있습니다.
즐거운 자작생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