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가 있다. 정밀도(precision)는 관측의 균질성을 표시하는 척도이며 관측값의 편차가 적을수록 정밀하다. 정밀도는 관측과정과 우연오차(random error)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관측장비와 관측방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서 우연오차란 원인이 불명확한 오차이며 최소제곱법(least square method)에 의한 확률법칙에 의해 추정이 가능하다. 정확도(accuracy)는 관측값이 참값과 얼마나 일치되는가 표시하는 척도로서 관측의 정교성이나 균질성과는 무관하다. 관계하는 것은 정오차(constant error)와 착오(mistake)의 제거이다. 여기서 정오차란 일정조건하에서 같은 방향과 같은 크기로 발생되는 오차로 원인과 상태만 알면 제거 가능하다. 착오는 관측자의 미숙, 부주의에 의한 오차로 주의하면 방지가 가능하다.
역학 연구 방법에서도 공학의 정밀도 개념을 이용할 수 있다. 필자는 인터넷에서나 실전상담에서 생년월일시만 주고서 과거에 발생했던 사건과 직업 등을 맞추는 테스트(test)인 진검문제를 푸는 것을 주로 즐긴다. 역학의 적중률과 유용성을 대중들한테 보여 줄 수 있고, 추론하는 상황에서 분석력, 종합력,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참가했던 진검문제들을 복기하던 중, 어떤 특정한 독립변수(대운수가 10인 경우)를 가진 문제들이 집중적인 오답을 냈음을 발견하였다. 물론, 오답의 경향도 분석을 하였는데, 관측방법(역학에서는 각종 방술의 포국방법과 역법의 적용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절입 시간과 합삭 시간에 의한 시간의 비균질성을 각종 방술에 포국시키는 방법의 오류 때문이었다. 이것은 바로 특정한 독립변수에 의해서 진검문제의 해석이 균질하게 잘못되었다는 반증이다. 따라서, 이 특정한 독립변수가 명조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게 되었고, 이 독립변수의 작용 원리를 파악하게 되었다. 바로 이런 귀납적 방법이 정밀도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제고(提高)시키는 역학 연구의 한 사례이다.
진검문제는 여러 가지 부작용도 가지지만, 위와 같은 귀납적 연구 방법에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진검문제에 대한 가치를 부정하는 것은 균형감각을 상실한 것이다. 또한, 역학을 연역적인 이론의 전개로만 파악하는 입장은 정밀도를 이용한 귀납적인 역학 연구 방법의 우수성을 맞보게 된다면 역시 균형 감각의 상실을 통감할 것이다. 물론, 정밀도를 이용한 귀납법은 연역적인 이론의 학습과 내면화를 통한 실력의 배양을 통해서만 출발 가능한 것이다. 역학은 현상의 적중과 과거 사건의 꾸준한 적중에 의해서 증명가능하다. 그리고, 역학은 그런 적중의 기본 바탕이 되는 이론적인 정당화(justification)에 의해서 학문으로 튼튼한 뿌리를 획득할 것이다.
통계학을 역학 연구에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은 너무나 많다. 개인적인 운명추론기법의 정밀화부터 역법체계를 비롯한 각종 이론의 표준화 연구에도 유용할 것이다. 통계학을 역학에 적용시키는 각종 기술과 사례들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형식미가 내용을 더욱 가치 있게 포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도 통계학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