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유학
(가) 어학 연수
어학 교육 기관(Sprachschule)은 규모면에서 Goethe Institut(초급, 중급, 고급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Inlingua, Ber litz, Bendict로 분류할 수 있는데, 더 자세한 내용은 주한 독일 대사관 문화원에 있는 자료를 참고하기 바란다. 최근에는 각 대학에서도 어학 과정을 개설하여 자체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나) 대학의 특성
독일에는 2년제 대학과 대학원이 없다. 전문 대학의 경우 보통 4년제(8학기 이수)이며 간혹 3년제가 있다. Fachhochschule(전문 대학에 해당)의 경우 보통 그 이전에 Ausbildung(직업교육)을 마치고 자격증을 제시하여야만 입학이 가능하다. 그러나 적어도 6개월에서 1년간의 현장 실습(Praktikum) 후에도 입학 허가가 가능하다. 대학원은 독일 대학 교육 제도상 존재하지 않으며 학사, 석사 과정이 합쳐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독일 대학은 법적으로 4학기를 이수한 후에는 Vordiplom을 따기 위한 시험(Zwischenpr fung)을 치를 수 있으며 합격하면 4학기 이수 후에 Diplom (또는 Magister) 시험을 치르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법적 기간 내에 합격하는 학생은 거의 없으며 보통 11학기에서 15학기를 다녀야만 Diplom 자격(우리 나라의 석사)을 취득할 수 있다. 9∼10학기만에 학위를 취득한 자에게는 학교의 사정에 따라 상금 제도가 있다(대개 1,000∼2,000DM 정도). 독일에서는 박사(Promotion)과정 완료 이후에 본인의 선택에 따라 Habilitation이라는 교수 자격 취득 과정에 다닐 수 있다. 따라서 극히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박사 학위만으로 교수 임용이 불가능하다.
4. 대학 입학 안내
(가) 각종 시험의 종류 및 요구 성적
독일어 어학 수학 능력을 Test 하는 PNDS나 또는 개별 대학이 부과하는 어학 시험에 합격해야만 대학 입학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한국 대학의 졸업증이 있을 경우 독일 대학의 진학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학 당국의 재량에 따라 대학 학부 과정 중에 있는 경우라도 대학 입학이 허용될 수 있으므로 개인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 당국과 접촉해야 한다. 그러나 독일의 학제는 13년제이고, 한국은 12년제 이므로 한국에서의 고등 학교 졸업만으로는 정규 대학 입학이 불가능하다. Studentkolleg라는 1년 과정의 Abitur 수료 과정이 있긴 하지만 유학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비자 관계상 외국인에게는 입학이 거의 불가능하다. Fachhochschule(전문 대학)의 경우는 12년제를 수료한 한국 학생들도 입학이 가능하며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에 입학을 신청하면 입학 가부를 결정한다.
(나) 각급 학교가 인정하는 학점, 학위 범위
독일 대학에서는 대학 학위 소지자(학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Vordiplom(졸업 시험), Zwischenpr fung(중간 시험)이 끝난 것으로 인정한다. 즉 독일 대학은 Grundstudium(기초 과정)과 Hauptstudium(전공 과정)으로 나뉘어져서 Grundstudium 종료와 함께 보는 시험을 Vordiplom, Zw ischenpr fung 이라고 한다. 대학에 따라서 대학원을 마친 석사 학위 소지자는 대학 과정을 이수할 필요없이 소정의 학점 이수 전제 아래 박사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대학 당국의 심사 과정과 지도교수의 재량에 따라 학점 이수가 필요한가의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박사 과정 진입의 필수 조건은 지도교수 선정이다. 그밖에 세부 사항은 희망 대학에 따라 학부 과정일 경우 Studienordnung(수학 규정), Prufungsordnung(시험 규정)을, 박사 과정일 경우에는 Promotionsordnung(박사 학위 과정 규정)을 우편으로 요구해야 한다. 이때 입학 관련 구비 서류와 조건에 관해서는 지원 대학에 자료 요청이 가능하다. 그 외의 인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해당 학과의 Prufungsausschuss(시험 위원회)에 인정을 요청해서 심사를 받아야 한다.
(다) 지원 서류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에 요청하면 입학 허가 신청서와 구비 서류에 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서류 작성시 사실과 다른 사항은 절대 기재하지 말아야 하며, 요구 서류는 성의껏 모두 첨부하는 것이 좋다. 미비 서류의 경우 서신 왕래에 3∼4주 정도 걸릴 것을 예상해야 한다.
5. 유학 경비
(가) 수업료
독일에서는 대학 과정일 경우 학비는 부담하지 않는다. 다만 매 학기당 약 40∼160DM 정도의 ASTA(학생 공동 위원회 Allgemeiner Studentenausschuss)와 Studentenwerk(대학생 원호 사업)에 대한 지원 비용을 부담한다. 여기에 대중 교통 이용권 이 학생증에 포함되는 경우 100DM을 추가한다 (버스, 전철, 지하철, 대학에 따라서 기차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Bonn, Koln, Duesseldorf, Muenster, Osnabrueck 등의 지역에서 학생증과 연계해 운영되고 있는 제도이다(ASTA는 우리 나라의 학생회에 상응).
(나) 생활비('94년도 기준)
기 숙 사(한 달 기준) : 160 ∼300 DM
하 숙(한 달 기준) : 300 ∼ 600 DM (자취 생활 형태)
월 세(한 달 기준) : 500 ∼ 800 DM
교재 구입비(학기 당) : 300 ∼500 DM 정도
의 료 보 험 : 75 DM< /P>
용 돈(한 달 기준) : 400 ∼ 800 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