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지(Dosage)이론
도시지(Dosage)는 경주마의 능력을 스피드(speed)와 스태미나(stamina) 두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한 경주마가 유전적으로 어떤 능력에 치우쳐 있는지를 수학적으로 측정하는 이론적 수단이다.
이 이론은 한 경주마의 혈통상에 나타나는 4대 선조까지를 살펴서
그 경주마의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친 선조 마필의 특성에 입각하여 마필을 평가한다.
이 이론은 현대 더러브렛 경주마들에게 유전적 영향을 크게 미친 종모마(chefs-de-race)를 지정하고 있다.
도시지의 개념은 1900년대 초,
전설적인 경주마 생산자인 '아가 칸(H.H.the Aga Khan)'의 혈통 전문가로 일했던
퇴역 프랑스 육군장교인 뷔이에(Vuillier)에 의해 창안되었다. 그는 복잡한 수학공식을 적용하여
선조마필의 유전적 영향을 계량화했던 것이다.
도시지 이론은 1950년대 이탈리아의 유명한 혈통전문가였던 프랑코 바롤라(Franco Varola)에 의해
좀 개선이 되었는데, 그는 현대 더러브렛 경주마에 많은 유전적 영향을 미친 종모마(chefs-de-race)를
다섯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그들의 후손들에 대한 유전적 경향성을 구분하였다.
도시지 이론이 대중적인 주목을 받은 것은 1980년대 초반의 일로,
미국의 경마 일간지인 데일리 레이싱 폼(Daily Racing Form)의
더러브렛 혈통관련 칼럼니스트였던 레온 라스무센(Leon Rasmussen)이,
석유화학 전문가이자 더러브렛 경주마의 열렬한 팬이었던
스티브 로만(Steve Roman)박사의 연구에 기초를 둔 경마칼럼을 1981년에 기고하면서 부터였다.
이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셰프 드 라스(chefs-de-race : 유전적 영향력이 큰 종모마)'는
원래 프랑코 바롤라에 의해 선정된 종모마들로 이루어져 있었는데(대부분이 유럽 마필),
이후 경마전문기자인 에이브럼 휴이트(Abram S. Hewitt)에 의해 미국의 중요한 종모마들이 포함되어졌고,
이후 다시 라스무센과 로만에 의해 추가·변경되었다. 현재는 로만에 의해 개정된 종모마 리스트가
미국 자키클럽등 주요한 경주마 혈통정보 제공단체에 의해 채택되어지고 있다.
여기서 종모마들은 다섯가지 성향으로 분류된다. brilliant,
intermediate, classic, solid, professional 등이 그것들인데,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스피드와 스태미나를 나타낸다. 이 이론에서 종모마의 유전적 영향은
한 세대가 지나면서 절반씩 줄어드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다섯가지의 카테고리가 경주마의 도시지 프로파일(dosage profile)
을 형성한다. 대상 경주마의 첫번째 선조마필에는 16점이 부여된다.
두번째 선조마필에는 8점이 부여되고 윗대로 갈수록 부여되는 점수는 절반씩 줄어든다.
도시지 프로파일(DP)에 입각하여,
도시지 인덱스(dosage index : DI)와 CD(center of distribution)가 수학적 공식에 의해 도출된다.
DI값을 구하기 위해서는,먼저 도시지 프로파일의 왼쪽 절반(brilliant와 intermediate의 점수에다
classic 점수의 절반 : speed wing이라 함)의 점수를 합한 후,
이것으로 도시지 프로파일의
오른쪽 절반(classic 점수의 절반과 solid, professional의 점수 : stamina wing이라 함)의 점수를
합한 값을 나누면 된다.
CD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brilliant에다 2를 곱하고,
그 값에다 intermediate 을 더하고, 이후 solid와 professional을 뺀 뒤,
도시지 프로파일의 총합계로 나누면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자. 시가(Cigar)의 도시지 프로파일은 7-2-10-1-0 이다.
시가의 DI값은 위에서 말한데로 (7+2+5)÷(5+1)= 2.33으로 구해진다.
CD값은 (7×2)+2-1을 (7+2+10+1)로 나누어 0.75가 된다.
※ 도시지프로파일(DP) 산출방식은 다음호에 설명하겠음
이론적으로, DI의 값이 클수록 스태미나보다는 스피드 능력에 치우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brilliant와 intermediate의 값이 클수록 DI와 CD의 값은 높아진다.
반면 solid와 professional의 값이 클수록 DI와 CD의 값은 낮아진다. 각종 경주 통계를 살펴보면,
경주별 출주마의 평균DI,CD 값과 경주거리와는 반비례 관계를 확연히 나타내는데,
이는 동이론의 신빙성을 증명해준다.
한가지 예로, 대부분의 1과1/4마일 이상 경주거리를 뛰는 스테익스 경주 우승마들은
4.00이하의 DI값과 1.25이하의 CD값을 가진다. 여기서 도시지 이론의 가장 유명한 적용예가 나오는데,
켄터키 더비의 우승마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dual-qualifier(우승을 위한 두가지 필요조건)가 그것이다.
두가지 조건중 하나는 경주마의 DI가 4.00이하여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2세마경주에서의 경주성적을 가지고 평가하는 프리핸디캡(Experimental Free Handicap)에서 최고 핸디캡을 받은 경주마의 핸디캡 중량과 10파운드 이상의 차이가 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 매년초, 전년도 2세마 경주의 성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당해 3세마가 된 경주마들의 프리 핸디캡을 공식적으로 공표하는 데,
이를 Experimental Free Handicap이라 한다.
참고로 작년도 최고 프리핸디캡 경주마는 97년도 이클립스상에서 Horse of the Year로 선정된
Favorite Trick으로 128파운드였다.
라스무센은 1929년 이래 DI 4.00이상, CD 1.25이상의 값을 가진 경주마가
켄터키 더비에서 우승한 예가 없음을 밝여낸 뒤,
켄터키 더비에 적용하기 위한 duel-qualifier이론을 발전시켰다.
DI 값이 4.00이 넘는 경주마가 켄터키더비를 우승한 예는 단 한차례 있었는 데,
1991년 Strike the Gold가 그것이다.
그러나 Strike the Gold의 부마인 Alydar가 chefs-de-race에 포함되면서
이 경주마의 DI값은 9.00에서 2.60으로 낮아졌다.
라스무센의 이론에 의하면, 2세마 때의 경주성적이 3세마 때의 경주 성적과 많은 연관이 있다고 한다.
이는 경주마의 성장속도도 경주성적과 연관이 있다는 이야기인데,
2세마때 충분히 성장하여 좋은 성적을 낸 경주마는 3세마 경주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게 된다는 의미이다.
1984년 이후 라스무센의 duel-qualifier 이론에 부합하는 켄터키더비
우승마는 Ferdinand, Alysheba, Unbridled, Sea Hero, Go for Gin, Thunder Gulch 등이 있다.
도시지 이론(2)
도시지 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것은 경주마의 능력을 계량화시킨 세가지의 수치이다.
Dosage Profile(DP), Dosage Index(DI), Center of Distribution(CD), 이 세가 지가 그것들이다.
DI와 CD값을 구하는 방법은 지난번에 살펴본 바 있다.
이제 도시지 이론의 가장 기본이 되는 Dosage Profile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DP는 다섯가지 값으로 이루어 진다. 좌측부터 Brilliant의 수치는 단거리 경주능력을 나타내고,
Intermediate의 수치는 단중거리 경주능력을, Classic의
수치는 중거리(현대 경마의 대표적 경주거리인 12furlong, 즉 2,400M 가량) 경주 능력을,
Solid와 Professional은 3,000M 이상 경주에서의 장거리 경주능력을 나타낸 다고 보면된다.
Dosage Profile의 수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그 마필의 선조가
어떤 마필, 특히 어떤 종모마인가 하는 점이다. 어느 한 마필의 Dosage Profile의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그 마필의 4대 선조 마필까지 찾아보아야 한다(어떤 이론에서는 16대 까지의 선조마필을 알아보아야 한다라고 하나 현재 가장 대표적인 이론에 의하면 4대까지의 선조만 알아보면 된다)
4대까지의 선조마필중 chefs-de-race에 선정되어진 종모마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종모마이고,
그 종모마가 어떤 특성을 지닌 마필인가에 의해 그 마필의 Dosage Profile이 결정된다.
이제, Dosage Profile의 값을 구하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겠다.
1969년산 유명 종모마인 Halo를 예로 들어보자. 일단, Halo의 선조들중 종빈마는 고려대상에서 제외된다.
1세대 부마 Hail to Reason(Classic)을 보면,
Hail to Reason은 chefs-de-race에 포함되어 있는 종모마로서,
이 마필의 경주능력과 유전적인 특징이 Classic 경주거리에 집중되어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1세대 종모마에게는 dosage profile의 점수중 16점이 부여된다.
다음, 2세대 종모마를 보자. Turn-to(Brilliant/Intermediate)는 부계의 2세대 부마이고,
Cosmic Bomb은 모계의 2세대 부마이다.
2세대 종모마에게는 dosage profile의 점수중 각각 8점씩이 부여된다.
Turn-to는 chefs-de-race에 포함되어 있는 종모마이고,
이 종모마는 Brilliant와 Intermediate 양쪽의 유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총 8점중 Brilliant에 4점이 Intermediate에 4점이 각각 할당된다.
반면, Cosmic Bomb은 chefs-de-race에 포함되지 않는 종모마여서
dosage profile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
3세대에는 당연히 부계 종모마가 2두, 모계 종모마가 2두 있으며,
이들이 차지하는 dosage profile은 chefs-de-race에 포함되어 있는
종모마에 한하여 각각 4점씩이 부여된다.
Blue Swords와 PharamondⅡ는 chefs-de-race에 포함되지 않는 종모마이기 때문에
DP가 부여되지 않는다.
4세대에는 부계 종모마 4두, 모계 종모마 4두가 있으며,
이들이 차지하는 DP점수는 chefs-de-race에 포함되어 있는 종모마에 한하여 각각 2점씩 부여된다.
이렇게 하여 합해진 점수가 바로 dosage profile(DP)의 최종 점수인 1-6-26-1-2 인 것이다.
이 dosage profile에서 구해진 dosage index는 1.88, center ofdistribution은 0.50이다.
dosage index는 마필의 스피드 능력을 스태미나 능력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그 값이 높을수록 스피드 능력에 치우쳐 있다는 의미이고,
그 값이 낮을 수록 스태미나 능력에 치우쳐 있다는 의미이다.
center of distribution도 dosage index와 같이 필의 스피드 능력과 스태미나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인데, Brilliant는 +2, Intermediate는 +1, Classic는 0, Solid는 -1, Professional은 -2의 값을 나타낸다.
CD가 0.50이라는 것은 이 마필의 능력이 주로 Intermediate와 Classic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CD값이 정확히 0.00이라면
이 마필은 스피드 능력과 스태미나 능력이 정확히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한국 마사회에서 퍼옴)
첫댓글 요즘은 경마전문가들이 본인이 혈통을 알면 굉장히 유식한 것처럼 나타내고는 하는데, 저도 일본경마게임을 많이 하는지라 위닝포스트나 갤롭레이서 G1쟈키 이정도 위주기는 하지만 , 한국경마에서 아직 혈통이라는 측면을 볼때는 그말의 조숙이나 만성정도 단거리나 장거리적성 그리고 스피드나 지구력 스테미나 근성 정도의 부계나 모계 영향정도를 생각해 참조하면 될 것 같습니다. 뭐 이런거죠 크릭캣은 단거리 스피드위주 리비어나 로스트마운틴의 자마는 중장거리에 만성에 가까운 형통정도 잘 보시고 신마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