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dvertisement 영국식과 미국식 발음이 다릅니다. 미국식 영어가 실용성에 촛점을 맞추었다는 감이 팍팍 오기 시작합니다. advertisement [C] 셀 수 있는 명사, 광고 advertising [U] 셀 수 없는 명사, 사람들보고 물건 사라고 광고 하는 거 -> 그래서 because of advertising이라고 씀
2. monotonous mono(1개) + ton(tone = mood) + ous(suffix) 무드가 한 개인, 그니깐 무지하게 단조롭고 심심한 이란 뜻 그래도 무드가 빵점인 거 보담 낫네요. 동의어는 boring
3. indispensable meaning: Something or someone that is indispensable is so good or important that you consider them to be essential 꼭 있어야 한다고 판단이 들어 좋은 혹은 훌륭한 사물이나 사람을 indispensable 하다고 합니다. Mr Moon plays an indispensable role in teaching IELTS. 울 문샘은 IELTS를 가르치는 데 엄청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계신다. 조심할 것은 indispensible이라고 sible로 쓰기 쉽다는 겁니다. 동의어는 뭐 안봐도 비됴죠? important 반대말은 in- 사라진 dispensable, 없어도 되는, 불필요해서 제거해도 되는
4. draw the conclusion meaning: 결론을 이끌어 내다 draw 대신에 쓸 수 있는 것들.... come to reach -> 요건 reach to라고 많이들 헛갈리죠. reach가 어떤 상태 혹은 특정 장소에 도달하다는 경우에는 절대 전치사를 뒤에 매달지 않습니다. 엄청 중요합니다. 특히 task 1에서 그래프를 서술할 때 until it reached its maximum이라는 표현으로 많이들 쓰죠? Cambridge에 대문짝 보단 훨씬 작은 박스로 처리 되어 있습니다. 굉장히 많이 틀린다구요.
요건 보너스: approach도 마찬가지입니다. I approached the gate to open it. 난 대문을 열려고 접근했다. approach to 라고 쓰면 안됩니다. Cambridge는 이것두 많이들 틀린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왜 그래야 하느냐는 묻지 마세요. 코쟁이들이 저렇게 사용하는 게 맞다고 하니깐 저도 "넹" 하는 겁니당.
5. inform information은 많이 압니다. 미쿡 아이들 줄여서, info라고 많이들 하죠. 이건 [U]입니다. informations란 말이 없는거죠. 하지만, 정작 inform은 잘 모르고 생활영어에서 엄청 많이 등장하는데 생각보다 많이 안씁니다. 저에게 알려주삼. 이걸 영어로 하면, 좀 영어 좀 하신 분들. Please let me know it. 뭐 이렇게들 쓰시죠. 더 쉬운 표현, please inform me. 기양 나에게 알려 주삼. 앞에 뭔가 한 말이 있겠죠. 그걸 알려 달라구 할 때 survival expression으로 저렇게들 씁니다. 나를 알려 달라는 건 아니라는 거..... 조심해야겠죠? 그리고 inform to me 일케 쓰면 안되겠죵? "난 울 사장한테 와이프가 바람났다고 알렸다"를 영작해 보면? I informed my boss that his wife cheated him. 주어가 두 개니깐 이럴 땐 수업시간에 알려 주신대로 that을 팍팍 쓰면 되겠죵. 꼰지른 놈, 진급을 하든가 짤리든가 하겠네요. ㅋㅋ
6. traffic 굉장히 쉬운 단어지만 엄청 많이 틀리는 단어입니다. 대표적인 [U] 입니다. 그니깐 많은 차량이라고 표현하려면 much traffic이라고 해야 합니다. 제가 실제로 본 경우인데 호주서 10년도 넘게 살았다는 교포도 저걸 모르고 many traffics라면서 아주 독특한 자기만의 영어 세계를 자랑하더군요. TOEIC에 아주 자주 등장하는 단어죠. 이거 모르시면 고등학생 보다 영어 실력이 없는 겁니다라고 전 단언합니다.
7. alarming / staggering alarm 시계 알람이 생각나죠. 예전에 독일 영화를 본 적이 있는데 2차 대전 영화였습니다. 독일 병정이 연합군을 발견하자, "알람!!" 이러는 겁니다. 독일어로 철자도 동일하고 발음도 영어랑 거의 같습니다. 경고 하는 거죠. stagger 이 단어도 뜻이 여러가지입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배우고 있는 곳에선 shock의 의미로 staggering 하면 shocking, surprising 뭐 이런 뜻이 되죠.
8. triggered/sparked/aroused trigger + ed 우선 trigger하면 총에 있는 방아쇠를 뜻합니다. 군대 다녀온 남자들한테 유리한 단어. 이게 동사로 바뀌면 뭔가 좋지 않은 것을 시작하게 요인을 제공하다란 뜻이 됩니다. 방아쇠 당기면 뭐 좋은 일이 생기겠어요? 뭔가 다치거나 죽겠죠. 컴퓨터에도 trigger라는 표현 자주 쓰죠. 어떤 이벤트(마우스 포인터가 특정 버튼 위로 올라온 경우 같은)에 맞춰서 특정 루틴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벤트 핸들러 내부에 있는 처리 루틴을 trigger라고도 합니다. 이땐 명사죠. 동사로 trigger 하면 "뭔가 좋지 않은 문제를 야기하다" 이란 뜻이 되겠죠. spark + ed spark 하면 전기나 불같은 게 불꽃처럼 튀는 거. 남녀 간에 만나서 스파크가 통하다. 할 때 그 스파크. 근데 일반적으로 spark는 좋지 않은 일에 많이들 쓰는데(사전 보니깐요) 이거 남녀 간 이벤트에 쓰면 안되겠네요. 아차, 안좋을 수도 있겠군요. 남녀 간에 spark 잘못 튀면 안 좋은 일 생길 수도 있네요. 사설이 길었는데 이게 동사가 되면 역시 trigger와 마찬가지의 뜻이 됩니다. 안좋은 일을 촉발하는~ 뭐 그런 뜻입니다. arouse + d meaning: to cause someone to have a particular feeling 어떤이로 하여금 특정한 감정을 느끼게끔 하다.
9. debate meaning: serious discussion of a subject in which many people take part 많은 사람들이 관련한 주제에 대해 심각하게 토론하는 거, 즉 논쟁입니다.
rebate하고 헛갈리지 마세요. 세금(돈) 너무 많이 내서 다시 돌려 받는 것(환급이라 하나요?) 그걸 tax rebate라고 합니다. 헛갈리지 않으신 분들 괜히 제가 더 헛갈리게 만드나요?
10. power 아주 쉬운 단어죠. power. 하지만, 기술자들은 맨 처음 "전원"이 떠오른다는 거. 전원 공급 장치를 power supply라고 하거든요. 유명한 가수 그룹의 이름인 거 같기도 하구요. 하지만, 이게 권력이란 뜻이 있다는 거죠. power shift 하면 권력 이동이란 뜻입니다. 예전에 이 제목으로 유명한 책도 있었죠? 아차, shift를 잘 이해 못하시던데 키보드 보시면 shift 키가 있죠? 그걸 누르고 소문자 키를 누르면 대문자가 찍히잖아요? 근데 오리지널 기계식 타자를 쳐 보신 분들은 이 키의 특성을 잘 압니다. 기계식 타자에선 shift 키를 누르면 글쇠틀이 몽땅 아래로 이동합니다. 타자 활자의 윗쪽 글자가 먹지를 때리도록 말이죠. 혹시 타자기를 만져볼 기회가 되시면 유심히 관찰해 보세요. 왜 shift 키라고 이름을 붙였는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전동타자기는 예외입니다. 이건 알기 어려워요. 제가 전에 이걸 처조카에게 설명을 했는데 얘가 타자기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인지 죽어도 이해를 못하더군요. tab키도 동일한 원리를 알면 그 용도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선 쓰잘데 없는 말이 많아지므로 설명은 생략합니다.
11. urbanization 도시 하면 city만 생각나시는 분들 오늘 여기 보너스 하나!! urban 하면 of or in a city or town 해서 "도시의"란 뜻으로 한 단어로 아주 짧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of a city 일케 쓰는 것보다 urban 어쩌고 저쩌고 하면 되죠. 에이, 글자수 별 차이 안난다고 우기시기 없기입니다. 발음으로 해보세요. 훨 짭죠? urban area 하면 도시지역입니다. 반대말 촌구석은? rural area가 됩니다. urbanization 하면 도시화 되는 거죠. 사람들이 시골을 떠나 서울로 서울로 몰려 들어 서울이 엄청나게 도시화 되었죠? 이때 도시화가 바로 urbanization입니다.
12. malnutrition mal-(badly, wrongly) + nutrition 영양이 나쁘니깐 영양실조 mal-이 들어가면 거의 대부분 좋지 않은 말입니다. malfunction: 기계가 동작 불능인 상태
13. circumscribe circum-(~의 주위) + scribe(write 쓰다) = 뭔가를 제한하다. 주위에 뭔가 적어 놓은 것을 연상하세요. 여기 "출입 금지"하고 삥둘러 적어놓으면 확실히 제한하는 거죠?
14. hard-core 네. 제가 어제 이거 뜻을 몰라서 기양 하드코어라고 적었죠? 남자 분들은 이거 보면 야X만 생각난다고 ㅋㅋㅋ (사실 웃을 일이 아니네요) 문샘 말씀: hard-core sociologist 사회학 대표학자 자, 이번 기회에 이걸 확실히 알죠. meaning: a small group of people within a larger group, who strongly believe in the group's principles and usually have a lot of power in it 어떤 큰 단체 안에 있는 작은 그룹의 사람들로 그 그룹의 원칙을 강하게 믿고 그 안에서 권력을 가진 사람들, 즉 "짱"들이네요. 핵심 대표, 핵심 멤버란 뜻도 되겠고요. 고딩들은 인제 수준있게 "니가 짱이야?" 하지 말고 "니가 하드코어냐?" 하믄 되것네요.
물론, 제가 어제 언급했던 야X과 관련한 뜻도 있습니다. 각자 찾아보세요.
15. to do or say something 문샘: "심지어~"란 뜻입니다. 예문이 하나 있었음 좋겠는데.....
16. go so far as 이건 제 방법입니다. 사전 안보고도 대략 그 뜻을 이해하는 거.... go: 의견이나 이런 거랑 쓰이면 주장이나 행동 따위를 펼치고 나가다, 즉 강조하기 위해 씁니다. 우리도 비슷한 표현 쓰죠? 말 함부로 하면 "어, 막 나가네?" 그렇습니다. go는 사실 우리말에서 나온 겁니다. 아시것죠? 목 먹어도 고! so far: so far, so good. 코쟁이들 서로 인사할 때 how are you doing? 하면, 저런 식으로 답합니다. so far, so good. 뭐 지금까진 좋아, 여태까진 문제없어 그런 뜻이죠. so far 하면 ~까지는 하고 한계를 정할 때 많이들 쓰더라구요. as: 뭐 워낙 많이 쓰죠. 여기선 ~정도를 나타낸다고 해야 하나? 확실하진 않지만 제 머리가 그렇다네요.ㅠㅠ go so far as 이거 부쳐놓으면 as 뒤에 나온 정도의 한계까지 (주장을) 밀고 가다. 뭐 이런 뜻이 되겠네요. 도저히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 분은 제 방법이 구리긴 하지만.... 함 써보세요. 단 책임은 못지는 거 아시죠? ㅋㅋ 문샘 예제: The government went so far as to try to arrest opposition leaders. 정부는 심지어 반대파지도자를 체포하려고 합니다. (민주주의를 무시하는 정부를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확실히 뭔가 과격하다는 느낌이 오죠?) 문샘 영작: 나는 심지어 우리가 이 문제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동의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I wouldn’t go so far as to say that we agreed on the subject.
언제 이렇게 시원 시원하게 만들꼬?
17. be of great 사용방법: be of great ~ value: 가치가 있다. 혹은 be of little ~ value: 가치가 없다. 이거 예문 찾아 보려고 했는데 실력이 없는지 통 못찾겠네요.
18. rise the rise of dictionaries 여기서 rise는 발전이란 뜻으로 the rise of dictionaries는 사전의 발전 단순히 증가(increase)가 아닙니다. task 1에 익숙해지면 rise = increase = go up 뭐 이런 식으로 공식이 머리에 들어 있어서 방해가 되긴 합니다만, 명사로 쓰이는 경우 rise에는 fame/power/popularity가 올라서 크게 성공 혹은 발전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The rise of internet: 인터넷이 최초로 등장한 게 아니고 이미 등장해서 널리 퍼져서 영향력을 내고 있는 걸 뜻합니다. 인터넷의 성장 혹은 발달로 해석 The rise of Web 2.0: 역시 웹 2.0의 출현이 아니고 웹 2.0의 발달로 해석하는 것이 좋죠. 어쨌든 rise가 발달,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의미하는 경우 이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란 의미를 내포합니다.
19. be associated with 이건 그냥 외워버리세요. 마냥 저렇게 쓰이걸랑요. phrasal verb입니다. A is associated B 하면 A와 B가 밀접하게(특정하여) 관련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an associate 하면 원래 "친한 친구"와 같은 잘 아는 사람이란 뜻입니다. 무슨 무슨 협회할 때 association of ~ 혹은 associates of ~ 라고들 많이 씁니다. 우린 끼리끼리 긴밀한 관계가 있는 사람들끼리 모인거다는 뜻이죠.
20. advantageous trait 맨날 advantage and disadvantage만 하다 보니까 advantageous는 장점적인 disadvantageous는 단점이 되는 뭐 일케 머릿 속에 딱 굳어져서 trait가 특성이니까 장점이 되는 특성 우린 욜케 밖에 해석 못하죠. 가끔 영어를 잘하려면 우리말도 잘해야 된다는 생각도 합니다. 문샘은 이걸 깔끔한 단어로 "우성"이라고 확 줄여서 해석하셨죠.
오늘도 20개를 어떻게든 했군요. 좀 늦었죠. 과제 외우느라고.... 머리가 않좋아....
나름 보카... 성표님 이거 완전 중독성 있는데요.. ㅎㅎ 잘 보고 갑니다..^^ Rex's class 해설집 같다는..ㅋㅋ 17 번에 예문 "This jewel is of great value"이 보석은 대단히 가치가 높다. 그리고 be of much value, be of no value라고도 쓰네요. be of little value라면 (일, 상황이) 거지같다 는 뜻도 있답니다.. 네이버가.ㅡㅡ
첫댓글 정말...감사히 잘 볼께요...^^; 이렇게 힘들게 올려주신거 너무 쉽게 이용하는것 같아 너무 죄송스럽네요...
It's my pleasure!!! :)
나름 보카... 성표님 이거 완전 중독성 있는데요.. ㅎㅎ 잘 보고 갑니다..^^ Rex's class 해설집 같다는..ㅋㅋ 17 번에 예문 "This jewel is of great value"이 보석은 대단히 가치가 높다. 그리고 be of much value, be of no value라고도 쓰네요. be of little value라면 (일, 상황이) 거지같다 는 뜻도 있답니다.. 네이버가.ㅡㅡ
성표님 보카 정리가 문샌님 강의 2탄 같네요..효진님 말처럼 중독성도...끝까지 보게 만드는.. 넘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