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상담심리자료창고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아동상담론 스크랩 (아동상담론)20.상담자가 아동의 그림 해석할 때 주의할 점
서대표 추천 0 조회 202 17.01.18 17:1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저자 김윤옥, 황선희|양서원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해야 함: 전체적인 인지기능과 정서발달, 특히, visual perception.시지각과 fine motor activity.미세운동의 활동의 발달의 수준을 고려.
. 시운동협응력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반드시 판단해야 한다.
?아동의 그림 발달의 정상적인 norms과 발달단계를 알고 있어야 함.
?아동을 둘러싼 생태학적 특성들을 이해해야 함:
.예>집을 그리라고 했을 경우-문화적이거나 생태학적인 차이가 많이 나타난다. 아파트에 살고 있는 아이들은 네모를 그리고 창문을 많이 그린다. 시골이나 외국에 살고 있는 아이들은 세모지붕의 네모집을 그린다. 창문이 많으면 대인관계의 기술을 해석하는데 그에 앞서 그 아이를 둘러싼 아이의 환경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환경적인 조건, 아동의 환경에 대한 지각, 사회적 맥락, 또래관계,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해야 함.
?아동의 개인내적 특성과 아동이 지닌 개별적인 표현방식을 알아야 함.
?방어적인 표현이 나타날 때, 적절히 다루어주어야 함.
?그림의 퇴행적인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정상적인 “norms"을 아는 것은 중요함.
?초기 그림발달형태의 정상적인 특성: 두족류(head-foot)의 그림, transparent, x-ray, mixed plane and elevation

아동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퇴행
. 퇴행들에 대해서 어느 정도까지 심리적인 부분을 해석할 것인가는 상담자의 역량이다. 판단준거로 4가지가 있다.
①Form: 표상의 초기 형태로 되돌아감. 가장 일반적임.
②Content: 발달의 초기 국면과 관련된 상징적, 표상적 내용들을 담고 있으며, 숨겨진 추상적 의미들이 있음.
③Organization: 정신의 의식적, 이성적 수준에서 더 깊은 부분에 이르는 수준에 들어있는 것들이 나타남.
-disorganization: disintegration, fragmentation, chaos, a total absence of order.
④Thought process: 사고과정의 특징적인 부분들이 외현적으로 드러남(primary process, 무의식의 과정들이 꿈을 통해 드러남-bizarreness, displacement, illogical thought, condensation).

? 매우 외롭고 배가 고픈 독수리
15살 아이가 그린 그림으로
Representing 수준까지 퇴행.


제2강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미술치료 이론: 정신분석적 접근
①Naumburg(1940): 정신분석적 이론에 입각한 치료방법으로 미술도입, 표현을 통해 무의식세계를 방출시키는데 역점을 두고, 치료자와 환자와의 전이관계의 발달, 미술활동을 통해 자유연상, 치료자와의 상징적 대화를 이루는 이미지를 해석하는 환자의 능력에 따라 좌우됨.
.표현예술치료: 영화치료, 미술치료, 연극치료로 세분화 되어져 나감. 예술적인 특성들을 가지고 치료하게 되는 분야. 정신분석적인 이론에 입각하고 있다. 치료자와 환자와의 전이적인 관계에 강조.
②Krammer(1958): 창의적 미술과정이 지닌 내재적인 치료의 기능을 중시, 치료자의 역할은 환자의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승화와 통합과정을 도와주는 것.
③Ulman(1961): "Art Therapy"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 치료적 측면과 창조적 측면을 모두 내포, 정신분석과 미술적 통찰을 접목시킴.
④Wadeson(1980): 대상관계, self-psychology.대상심리학측면에서 “감정이입”반응을 강조, 이미지의 표출과정에 나타나는 비언어적인 의사소통기법으로서의 미술치료를 강조.

미술치료의 이론
?인본주의적 미술치료: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 대한 다른 접근, 창조적 행위 자체가 자아실현의 힘.
. 그림을 그리고 있는 행위자체를 강조. 자아존중감과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고 봄.
?Gestalt 미술치료: 자신이 의식하는 것, 감정을 의식. 선택하는 것을 강조, 주제를 주고 drawing, 그 과정 동안의 느낌을 다시 drawing하고 enactment.
. 상담자가 어떤 이론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치료가 달라진다.
?현상학적 접근: 지향성(intentionality)를 중시하여 놀이를 강조, 자유놀이- 의식적 미술활동 - 작품완성 - 전시 - 느낌을 공유 - 통합과정.
. 보여 지는 것 내담자가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의도를 중시 그 의도가 하나의 자발적이고 즐거운 놀이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 집단적인 미술치료를 할때 많이 사용.
?행동주의적 접근: 인지기능이 저하된 환자, 아동을 대상. 일련의 미술활동을 구조화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접근.
. 카툰을 만들거나 경계를 주고 관련되어진 내용을 그리도록 한다. 그리고 나면 다음 단계에선 그림을 단서로 해서 또 다른 그림을 만들어 내게 함. 미술치료에서는 잘 활용하지 않는다.
?미술치료는 의식과 무의식세계사이의 경계, “transitional space(D.W.Winnicott)"

미술치료에서 치료자의 역할
?정신적 지지자, 기술적 보조자(outstanding하지 않도록)
.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내담자가 있을 때 마음 편히 그려낼 수 있도록 지지해 주어야 하는데 상담자는 그림의 발달단계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내담자가 힘들어 하는 경우 기술적으로만 보조를 해준다. 잘 그리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다.
?결과물보다 과정에 중시, 강화는 시각적 표현을 한 대로, 보이는 대로 언어화시킴(칭찬은 금지).
?지지적 치료인 경우, free drawing
?구조화된 프로그램; 통제감이 높은 자료 사용. 물감보다는 크레용을 준다. drawing 순서 지정.

미술치료의 진행 단계
?초기단계: 탐색 및 규칙 정하기, 아동에 대한 이해, 반영적 경청과 수용, 치료적 신뢰 관계(rapport)형성.
?중기단계: 사물의 인식 .직면시키고 통찰하고 알게 하는데, 정서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통한 인과관계 형성, 상징화와 자율성을 향상, 자기인식 프로그램 아동내부의 감정이 표현되면서 양가적 감정과의 갈등, 전이 형성-깊은 문제의 노출과 통찰이 이루어지는 시기.
?종결단계: 긍정적인 self-image, self-control, humor등을 표현하며, 치료 초기에 가져온 주호소 문제가 해결되면, 아동과 함께 종결을 준비함.
?집단치료 시, 장점은 자발적으로 많은 참여를 하게 함, 환경에 대한 통제, 조망수요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
. 조망수용능력-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
①진행: 도입 - 활동 - 토론 - 전시
        그림의 부분들을 은유적으로 대화, 그림에 대한 느낌을 공유하는 시간, 내적인 themes과 갈등들을 찾고 탐색, 대화
②집단의 크기:.내담자들의 연령이나 주문제와 관련해서 구성. 대략 성인들의 경우는 큰 집단이 구성되기도 하지만 아동인 경우는 2~5명 정도 구성해서 이루어진다.
③프로그램의 선택: closed group, opened group, family group, 집단의 역동성과 개인의 경험, 느낌, 감정을 나누도록 조력.

미술치료의 기법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
. 많은 말이 필요 없고 조용하고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자신을 더욱더 깊이 조용히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①Neumann(1973): 만다라를 그리는 것이 아동의 정체감 확립에 도움됨.
②J. Kellogg: 만다라에 대한 Jung의 이론을 발전시켜 미술치료의 임상적 목적으로 활용(1978). 낱장으로 된 종이, 혼자만의 조용한 장소, 외부의 간섭을 받지 않은 평평한 바닥이 있는 곳, 충분한 빛이 있는 방.
?난화기법: Cane(1950)이 만든 프로그램으로 Naumburg가 임상에 적용. 눈을 감고 음악 들려주고 scribbling, 눈을 뜨고 image를 찾아서 elaboration한 후 대화.
?Squiggle program: Lowenfeld(1971)가 만든 단기치료방법, 하나의 단서를 주면, 그것으로 떠오르는 image를 그림. 환자의 상태를 투사시킨다고 생각.
?Squiggle Drawing game: Clamann이 처음 발표한 squiggle과 story telling이 합해진 방법.
?MSSM(multiple squiggle story making)기법:
  치료자가 검은 테두리 .안정된 공간을 의미를 두른 종이를 제공, 그 속에 그리게 한 후 비교(테두리의 의미-자아를 보호, 내면세계의 투사와 표현 잘됨).
?LMT(풍경구성법):.임상적인 적용을 할 때 많이 사용
  모래놀이기법과 유사, 진단과 치료에 모두 사용. 강, 산, 밭, 길, 꽃, 집, 동물, 돌, 나무, 사람을 그리게 한 후 하나의 풍경이 되도록 채색하게 한 다음, 그 관계성에 대해 대화함. 치료자와 환자의 상호작용 촉진 자체의 의미를 강조한 기법.
?재료탐색프로그램: 물감의 찍기, 흘리기, 벌기, 번지게 하기 등
                    종이 찢기, 구기기, 오리기, 색채 탐색, 선 탐색
. 사회적인 위축이 심하거나 소심하고 내성적이고 망설임이 많은 아이,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발달수준이 낮은 아이들 대상.
?자아개념 프로그램:
.자아성장 프로그램,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갖도록 하는 학대아동에 대한 프로그램을 만들 때 적용
①자화상-시간제한 있음, 거울보고 그리기, 오랜 시간 주고 그리기, 3가지 주제에 의한 그리기, mask making, 상징이나 은유를 활용, 광고카피 만들어 표현하기.
②정서표현하기-부정적인 것에서부터 긍정적인 방향으로 끌어내기, 정서와 연합된 사건을 그리기, 표정 있는 얼굴보고 이야기 나누기, 점토활용, 소망기법(“당신은 씨앗입니다.”).
?색 물총 쏘기
?셀로판지구성
?집단 데칼코마니
?“내 말을 따라 그려봐.”
?돌려가며 그리기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나의 장점 찾기
?“비밀이야”
?자유 화법
?과제화법
?상상화 그리기
참고: 투사적 그림검사의 활용
. 객관적인 체점 기준에 의하여 cording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지만 정신분석적 이론에 근거해서 해석하는 경우가 더 많다.
?H-T-P(House-Tree-Person test)
?DAP(인물화검사)
?KFD(동적가족화 검사)
?KSD(학교생활화 검사)
. 아동의 정상적인 그림발달 단계에 대해서 알고 연속적이며 역동적인 과정으로 진행되어 진다는 것. 각각의 단계마다 상담자나 성인이 어떻게 피드백을 주어야 하는지 잘 알아야 한다. 정신분석적 이론이나 인본주의적 이론이 미술치료에 많이 적용되어 지고 있고 미술치료에 쓰여 지고 있는 많은 skill에 대해 숙지한다.

제3강 모래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의 역사
?1920년대 Margaret Lowenfeld에 의해 창안-The World Technique 개발
?Carl Jung은 정신세계의 원형(archetypes)단계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Dora Kalff는 Lowenfeld의 world technique과 Jung의 이론을 통합. 환자와 치료자와의 관계 중시, 환자의 자기치유(self-healing)을 강조.
?가와이하야오(河合?雄)는 kalff의 모래놀이 치료기법을 융연구소에 유학 중 알게 되어 일본 전역에 확장.

현재 모래놀이치료의 활동가
?Theresa Kestly: "Sandtray storytelling and mental integration"에 관한 모래놀이치료 .일반적으로 하고 있는 모래상자놀이치료 구별사용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해석 지나치게 일관적이라 생각 보다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해석할 수 있다고 봄. 모래놀이를 집단에게도 확대시켜서 적용할 수 있고 네모상자뿐 아니라 둥근 모래상자도 사용할 수 있다고 좀 더 확대된 개념으로 모래놀이를 적용함.
?야마나카 야스히로, 오카다 야스누보 일본에서 활동 중
?국내; 발달지원학회,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한국놀이치료학회

모래놀이치료의 기본 개념
?모래놀이는 정신 내 경험이 정서적, 정신적 동화과정을 거쳐 표현되는 개별화된 놀이형태.
. 출발 기본 개념은 개별화된 놀이형태. 모래상자에 여러 가지 피겨를 가져다 놓고 배치나 과정자체가 자신과 자신만의 대화라고 봄. 치료자도 아주 조용히 내담아동이 모래상자와 자신과 대화할 수 있도록 곁에 조용히 있어야 한다.
?적절한 조건 .안전한 공간(모래상자)이 주어질 때 인간은 무의식의 깊은 곳에 스스로를 치유하려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
?인간 정신에 대한 관점: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목적지향적인 자기조절체계로 전체성(wholeness)으로 향하려는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
. 인간관은 정신분석적인 이론을 기본적인 틀로 하고 있지만 프로이드보다는 융의 이론에 가깝다. 전체성을 향해서 나아가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인간, 자율적이며 성장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인간으로 전제함.
?전체성은 모든 생물학적, 정신적 각성(arousal)의 고유한 원동력으로 자기(self)를 의미함.
?자기(self)는 의식과 무의식이 대극적 관계를 지양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는 원형상으로 성격의 전체이며, 성격의 지휘본부임. 자기는 자아와 다르며, 자아는 의식의 중심이고 자기는 정신의 중심: Jung의 이론.
. 융은 인간의 깊은 무의식속에 원형 아주 고유한 원래의 형태 원형의 이미지가 있다고 함. 이러한 원형은 개인이 자기 혼자만 만들어 지는 게 아니라 아주 오랜 동안 전성되어져 내려오는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봄. 문화적인 영향아래 만들어진 원형이 우리 인간의 삶에서 지각하고 생각하고 인식하는 과정 의식의 과정에 하나의 원형으로서 작용을 하며 이것은 self라고 하는 정신의 중심에 있는 개념으로 집약되어져서 설명
?모래놀이의 목적: 자아가 우월하다는 착각을 버리고 자기와의 연결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 의식과 무의식간의 연결을 재확립하여 정신의 전체성을 회복, 건강한 정신을 만드는데 있음.

자아(The ego)와 자기(The self)
?자아(ego): 일상적 나 .의식의 나, 경험적 나, 개체 .주체가 아니다, 의식의 중심, 적응을 위한 필수불가결, 자기로부터 분화.
?자기(self): 선험적, 본래적인 나, 주체, 자아를 포함하는 전체성, 정신의 중심.

기본개념 3
?자기(self)를 찾는 과정이 개성화(개별화)과정이며 융의 발달개념의 중심.
?개성화 과정(individualization): 자기실현으로 자기원형(자신이 되게 하는 인간 무의식에 존재하는 근원적 가능성)을 자아의식이 받아들여 실천에 옮기는 능동적 행위와 과정을 의미함.
?창조적 퇴행: 심리적 치유는 의식의 확장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의식의 심층 수준에서 일어나는 정서적, 비합리적 현상으로의 퇴행이 필요함.
. 이러한 개념들을 기초로 해서 모래놀이치료에서 모래놀이치료를 해놓은 그 작품을 보고 상담자가 해석을 하게 된다. 해석이전에 진행해가는 한 세션 과정자체가 내담아동이 스스로 진행해 가는 자기치유의 과정이며 창조적인 퇴행이 일어나는 과정이고 그 과정을 거쳐서 개별화 되어져 가는 자기의 건강한 발달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심층적 수준(Matriarchical level)이란?
?Kalff: 언어전 단계(preverball level)
?Neuman:
 (1)심층적 수준: 의식의 1단계
   -직관, 느낌, 고태적 .먼저 만들어지는 단계, 초기 발달, 무의식과 유사한 상태.
 (2)자아의식수준: 의식의 2단계
   -사고 .인식 thinking & thought, 후기 발달, 경험
모래놀이의 목적
?자유롭고 안전한 공간(temenos)에서 치료적인 놀이와 자극을 통해 창의적 충동들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며, 무의식화된 이미지들을 상징으로 표출시킴.
?심층수준으로의 퇴행을 격려함.
?.언어적인 사고가 아니라 심상적 사고(image thinking)을 활성화함으로써 창조성과 자발성을 격려, 초월과 통합을 이루어 가는 과정
?“치료자가 아동에게 해석을 해 주지 않아도 거의 자동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느꼈다.” Dora Kalff
. 모래놀이는 치료자의 역할이 비지시적이면서 경청자, 방관자, 관찰자, 동반자이다.

모래놀이치료의 도구
?모래상자: 안치수가 57*72*7cm 상자의 안은 파란색(물이 나오는 느낌), 밖은 나무색, 하얀색, 검정색.
?모래: 갈색의 굵은 모래, 고운 모래, 흰모래, 마른 모래, 젖은 모래-감각의 접촉, 표현을 촉진하며 이완, 정화를 경험. 모래는 대지, 땅을 의미하며, 어머니를 상징함.
?Lowenfeld는 물은 자유롭게 허용
?소품 특별히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가능한 생활 속의 모든 경험과 상황을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것을 준비함.
 .원형의 모래상자              사각형 모래상자             아이들 생각에 의하여 배치
  .자연물들이 놓여진 장         문화적, 상징물들  .구는 만다라의 형태 환타지
. 동물들 - 식구끼리 모아준다.
 .탈것, 가구, 자연물


이 자료는 숭실사이버대학교(구.한국사이버대학교.kcu)에서
주소영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학우들과 요약 정리한 자료임을 밝혀둡니다.
저자 김윤옥, 황선희|양서원





아동상담론 20.hwp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