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질병 치료의 현실을 말하라.
현대의학이 치료할 수 있는 범위는 30%에 불과하다고 한다.
아울러 밀려드는 환자에 도취되었는지 양질의 의료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환자의 말을 묵살하고 다 안다는 듯이 처방전에다 알아보지 못한 글로 쓰며 다분히 오진의 여지를 남기고 있어 약화(藥禍)까지 불러일으킬 위험마져 있다. 또한 진찰시간이 짧아지고 있다.
또 종합병원의 진료는 2H, 3M, 2H라는 유행어라 번져가고 있는데 두시간 기다려서 삼분간 진찰을 받고 두시간 다시 기다렸다 약을 받아가지고 돌아온다는 말이 있다.
또 환자 자신의 자연치유력을 중요시 하고 있지 않고 있다.
2.인체의 전기적 특징을 말하라.
㉠성장 재생 투약 효과 최면 수면등에 관련지음, ㉡러시아의 죠바니 알리나 박사는 외부의 전류가 쇠잔한 신경의 생명력을 소생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림.
㉢정신질환자의 치료와 스트레스 완화 인체에 아무런 부작용 없이 통증을 치료해줄 뿐 아니라 통증을 치료해 준다.
3.애큐헬스의 효능을 말하라.
㉠온갖 피부감염, ㉡통증을 치료하고 ㉢뼈의 재생, ㉣세포의 재생, ㉤특히 정신질환의 치료에 큰 효능을 나타내는 기구이다.
4.애큐핼스의 시술 원리에 대해 말하라.
피부의 표면에 주위피부의 표면보다 낮은점을 찾아 전기저항으로 활력을 증강시키거나(강화 + 세팅), 감소(분산 - 세팅) 시킴으로써 필요한 경혈을 치료하여 고장난 부위의 경혈에 활력을 부여화여 활력의 불균형이 치료된다.
5.경혈시술의 여러 가지 방법을 말하라
㈎어떤 증세에는 어떤 경혈을 시술해야 한다는 것을 밝히 알아야 한다.
㈏시술해야 할 경혈을 확실하게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방법으로라도 정확한 치료를 하려면 필요할때에 즉각 시술할 수 있어야 하며 충분하게 자주 시술해야 한다 과거에 사용된 경혈의 여러 가지 시술법
㉠작은 돌 망치로 톡톡 두드리는 방법, ㉡상처를 내어 피가 나오도록 하는 방법
㉢봉합하는 방법 ㉣뜸질을 하는 방법(보통 바늘에 붙혀 가지고) ㉤칠성침으로 쪼는 방법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지압방법 ㉦물 또는 국부마취제의 용액을 투입하는 방법 ㉧자기로 자극하는 방법 ㉨레이저를 통한 가벼운 에너지를 자극을 주는 방법
㉩전기자극을 통해서 또는 전기자극없이 바늘로 찌르는 방법 ㉪전자자극기를 통한
전기자극의 방법 ㉫SPA 놀이에서 경혈에 분사압을 주는 방법
1.
6.12정경과 8기경맥을 말하라.
㈎12정경 : ㉠수태음폐경,㉡수궐음 심포경, ㉢수소음 심경,㉣수양명 대자경
㉤수소양 삼초경, ㉥수태양 소장경, ㉦족태음 비경, ㉧족궐음 간경, ㉨족소음 신경
㉩족양명 위경, ㉪족소양 담경, ㉫ 족태양 방광경
㈏8기경맥 : ▶독맥경 - ㉠장강, ▶임맥경 - ㉡회음, ㉢충맥경, ㉣대맥경, ㉤양교맥, ㉥음교맥, ㉦양유맥, ㉧음유맥,
9.독맥경과 임백경을 말하라.
㈎독맥경:GV 1-28까지 - 1.장강→2.요유→3.요양관→4.명문→5.현추→6.척중→7.중추→8.근축→9.지양→10.영대→11.신도→12.신주→13.도도→14.대퇴→15.아문→16.풍부→17.뇌호→18.강간→19.후정→20.백회→21.전정→22.신회→23.상성→24.신정→25.소료→26.인중(수구)→27.태단→28은교
㈏임맥경:CV 1-24 1.회음→2.곡골→3.중극→4.관원→5.석문→6.기해→7.음교→8.신궐→9.수분→10.하완→11.건리→12.중완→13.상완→14.거궐→15.구미→16중정→17.전중→18.옥당→19.자궁→20.화개→21.선기→22.천돌→23.염천→24.승강
10.수태음폐경을 말하라.
▶수태음 폐경은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주치경락으로 대장경과는 표리의 관계에
있어서 대장경락의 질병을 다스릴 때에 부수혈로 사용하기도한다.
때로는 후두통, 흉부통치료에도 사용된다.
▶경혈점은 중부(I1 or L1), 운문(I2 or L2), 천부(I3 or L3), 협백(I4 or L4),
척택(I5 or L5), 공최(I6 or L6), 열결(I7 or L7), 경거(I8 or L8),
태연(I9 or L9), 어제(I10 or L10), 소상(I11 or L11)
11.수궐음심포경을 말하라.
▶수궐음 심포경은 심장을 둘러싼 보호막모양의 존재로써 모든 심장기능에 관여하고 있는 경혈이라는 전통적 한의학에만 존재하는 실재이다. 양의학적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존재로 심장질환, 정신질환, 비뇨생식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경락이고 아울러 흉부, 위장질환, 신경질환 치료에도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짐.
2.
▶경혈점은 천지(IX1 or P1),천천(IX2 or P2), 곡택(IX3 or P3), 극문(IX4 or P4), 간사(IX5 or P5), 내관(IX6 or P6), 대릉(IX7 or P7), 노궁(I8X or P8), 중충(IX9 or P9)
12.수소음심포경을 말하라.
▶심경은 심장병과 신경병주치혈이다. 한방에서는 생명의 중심인 에너지 순환 경락으로 알려져 있다. 동계, 흉통, 숨가뿜, 심근경색, 수족의 냉증 등 치료에 사용되는 경혈이다
▶경혈 점은 극천(P1 or1 H),청령(P2 or 2H), (음)소해(P3 or3 H), 영도(P4 or 4H), 통리(P5 or 5H), 음극(P6 or 6H), 신문(P8 or 8H), 소부(P9 or 9H), 소충(P10 or 10 H)
13.수양명대장경을 설명하라.
▶대장경은 대장과 관련된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 주치혈이다. 폐경과 표리의 관계로 호흡기 질환이나 폐에 관련된 모든 질병도 대장경을 치료함으로 효험을 볼수 있다. 두통, 안면통, 치통, 열병, 인후, 입, 귀, 눈질환에도 대장경혈을 시술한다.▶경혈점은 상양(Ⅱ1 or LI1), 이간(Ⅱ2 or LI2), 삼각(Ⅱ3 or LI3), 합곡(Ⅱ4 or LI4), 양계(Ⅱ5 or LI5), 편력(Ⅱ6 or LI6), 온유(Ⅱ7 or LI7), 하렴(Ⅱ8 or LI8), 상렴(Ⅱ9 or LI9), 수삼리(Ⅱ10 or LI10), 곡지(Ⅱ11 or LI11), 주료(Ⅱ12 or LI12), 수오리(Ⅱ13 or LI13), 비노(Ⅱ14 or LI14), 견우(Ⅱ15 or LI15), 거골(Ⅱ16 or LI16), 천정(Ⅱ17 or LI17), 부돌(Ⅱ18 or LI18), (비)화료(Ⅱ19 or LI19), 영향(Ⅱ20 or LI20),
14.수태양소장경을 설명하라.
▶소장경은 소장에 관련된 모든 질환과 발열성 질병치료에 사용되는 주치경혈이다.
수소음심경과 덥루어 열치료에 특효가 있다. 머리, 뒷목, 눈, 퀴,코, 인후질환,
신경질환, 어깨통증치료에도 사용된다.
▶경혈점은 소택(Ⅵ1 or SI1), 전곡(Ⅵ2 or SI2), 후계(Ⅵ3 or SI3), 완골(Ⅵ4 or SI4), 양곡(Ⅵ5 or SI5), 양로(Ⅵ6 or SI6), 지정(Ⅵ7 or SI7), 양소해(Ⅵ8 or SI8), 견정(Ⅵ9 or SI9), 노유(Ⅵ10 or SI10), 천종(Ⅵ11 or SI11), 병풍(Ⅵ12 or SI12), 곡원(Ⅵ13 or SI13), 견외유(Ⅵ14 or SI14), 견중유(Ⅵ15 or SI15), 천창(Ⅵ16 or SI16),천용(Ⅵ17 or SI17), 관료(Ⅵ18 or SI18), 청궁(Ⅵ19 or SI19).
15.수소양삼초경을 설명하라.
▶삼초경은 심포경과 표리의 관계에 있는 경혈로써 삼초경도 역시 양의학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존재이다. 주로 마음, 정신, 울화등 심리적인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
3.
되는 경혈이고 때로는 순환기, 비뇨생식기 질환의 치료에도 사용되고 인후, 가슴, 옆구리, 머리, 귀, 눈병치료에도 사용된다. 상초(목아래-명치), 중초(명치-배꼽),
하초(배곱-치부), 호흡순환, 소화흡수, 비뇨배설로 나눈다.
▶경혈점은 관충(Ⅹ1 or T1), 액문(Ⅹ2 or T2), 중저(Ⅹ3 or T3), 양지(Ⅹ4 or T4), 외관(Ⅹ5 or T5), 지구(Ⅹ6 or T6), 회종(Ⅹ7 or T7), 삼양낙(Ⅹ8 or T8), 사독(Ⅹ9 or T9), 천정(Ⅹ10 or T10), 청냉연(Ⅹ11 or T11), 소락(Ⅹ12 or T12), 노희(Ⅹ13 or T13), 견뇨(Ⅹ14 or T14), 천료(Ⅹ15 or T15), 천유(Ⅹ16 or T16), 예풍(Ⅹ17 or T17), 계맥(Ⅹ18 or T18), 노식(Ⅹ19 or T)19, 각손(Ⅹ20 or T20), 이문(Ⅹ21 or T21), 이화료(Ⅹ22 or T22), 사죽공(Ⅹ23 or T23),
16.족태음비경을 말하라.
▶비경은 췌장(비 또는 지라)에 관련된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 주치혈로서 비뇨기계통의 질병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된다. 특히 췌장은 인슈린이 분비되는 장기로서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는 없어서는 안되는 경혈이다. 소화불량이나 생리곤란 등에 시술하기도 한다.
▶경혈점은 은백(Ⅳ1 or SP1), 대도(Ⅳ2 or SP2), 태백(Ⅳ3 or SP3),공손(Ⅳ4 or SP4),상구(Ⅳ5 or SP5),삼음교(Ⅳ6 or SP6),누곡(Ⅳ7 or SP7),지기(Ⅳ8 or SP8),음릉천(Ⅳ9 or SP9),혈해(Ⅳ10 or SP10),(각)기문(Ⅳ11 or SP11),충문(Ⅳ12 or SP12),부사(Ⅳ13 or SP13),복결(Ⅳ14 or SP14),대횡(Ⅳ15 or SP15),복애(Ⅳ16 or SP16),식두(Ⅳ17 or SP17),천계(Ⅳ18 or SP18),흉향(Ⅳ19 or SP19),주영(Ⅳ20 or SP20),대포(Ⅳ21 or SP21)
17.족궐음간경을 말하라.
▶비경은 간에 관련된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경혈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와 근육계 질환, 안질환, 가슴과 옆구리 울분, 간질등의 치료에도 절대 유효하다. 비뇨계계통 질환, 생식기, 장질환에도 사용된다. 남녀성기의 고장증세가 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경혈점은 대돈(Ⅶ1 or Liv1), 행간(Ⅶ2 or Liv2), 태충(Ⅶ3 or Liv3), 중봉(Ⅶ4 or Liv4), 여구(Ⅶ5 or Liv5), 중도(Ⅶ6 or Liv6), 슬관(Ⅶ7 or Liv7), 곡천(Ⅶ8 or Liv8), 음포(Ⅶ9 or Liv9), 각오리(Ⅶ10 or Liv10), 음렴(Ⅶ11 or Liv11),급맥(Ⅶ12 or Liv12), 장문(Ⅶ13 or Liv13), 복기문(Ⅶ14 or Liv14)
18.족소음신경에 대해 말하라.
▶신경은 모든 신장질환에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주치혈이다. 콩팥자체의 질병은 물론 소화, 비뇨생식기, 방광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도 사용된다. 때로는 장(대장,소장)과 폐의 질환을 치료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4.
▶경혈점은 용천(Ⅷ1 or K1), 연곡(Ⅷ2 or K2), 태계(Ⅷ3 or K3), 대종(Ⅷ4 or K4), 수천(Ⅷ5 or K5), 조해(Ⅷ6 or K6), 부류(Ⅷ7 or K7), 교신(Ⅷ8 or K8), 축빈(Ⅷ9 or K9), 음곡(Ⅷ10 or K10), 횡골(Ⅷ11 or K11), 대혁(Ⅷ12 or K12), 기혈(Ⅷ13 or K13), 사만(Ⅷ14 or K14), 중주(Ⅷ15 or K15), 황유(Ⅷ16 or K16), 상곡(Ⅷ17 or K17), 석관(Ⅷ18 or K18), 음도(Ⅷ19 or K19), 복통곡(Ⅷ20 or K20), 유문(Ⅷ21 or K21), 보랑(Ⅷ22 or K22), 신봉(Ⅷ23 or K23), 영허(Ⅷ24 or K24), 신장(Ⅷ25 or K25), 욱중(Ⅷ26 or K26), 유부(Ⅷ27 or K27)
19.족양명위경에 대해 말하라.
▶위경락은 머리에서 다리끝까지 연결되는 가장 긴 경락중의 하나로 모든 위장과 소화에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경혈이다. 위장병을 위시에서 신경병, 열치료, 인후질환, 머리, 얼굴, 코, 입. 치아통증,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경혈이다. 이 경락에 생기면 얼굴과 피부가 황색이 되고 입술이 트고 갈라진다. 명치끝과 배꼽위를 누르면 통증이 온다.
▶경혈 점은 승읍(Ⅲ1 or S1), 사백(Ⅲ2 or S2), (면)거료(Ⅲ3 or S3), 지창(Ⅲ4 or S4), 대영(Ⅲ5 or S5), 협거(Ⅲ6 or S6), 하관(Ⅲ7 or S7), 두유(Ⅲ8 or S8), 인영(Ⅲ9 or S9), 수돌(Ⅲ10 or S10), 기사(Ⅲ11 or S11), 결분(Ⅲ12 or S12), 기호(Ⅲ13 or S13), 고방(Ⅲ14 or S14), 옥예(Ⅲ15 or S15), 응창(Ⅲ16 or S16), 유중(Ⅲ17 or S17), 유근(Ⅲ18 or S18), 불용(Ⅲ19 or S19), 승만(Ⅲ20 or S20), 양문(Ⅲ21 or S21), 관문(Ⅲ22 or S22), 태을(Ⅲ23 or S23), 활육문(Ⅲ24 or S24), 천추(Ⅲ25 or S25), 의릉(Ⅲ26 or S26), 대거(Ⅲ27 or S27), 수도(Ⅲ28 or S28), 귀래(Ⅲ29 or S29), 기충(Ⅲ30 or S30), 비관(Ⅲ31 or S31), 복토(Ⅲ32 or S32), 음시(Ⅲ33 or S33), 양구(Ⅲ34 or S34), 독비(Ⅲ35 or S35),족삼리(Ⅲ36 or S36),상렴(상거허)(Ⅲ37 or S37), 조구(Ⅲ38 or S38), 하렴(하거허)(Ⅲ39 or S39), 풍륭(Ⅲ40 or S40), 해계(Ⅲ41 or S41),충양(Ⅲ42 or S42), 함곡(Ⅲ43 or S43), 내정(Ⅲ44 or S44), 여태(Ⅲ45 or S45)
20.족태양방광경에 대해 말하라.
▶방광경은 바끝에서 머리끝까지 이어지는 경락 중 가장 긴 경락으로 방광질병치료는 물론 비뇨생식기질환, 신장질환, 요통, 경통, 족통, 배통 등 모든 근육, 신경계통 통증의 주치혈이다. 눈, 코, 머리, 허리, 뒷목, 항문의 질병치료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된다.
▶경혈 점은 정명(Ⅶ1 or B1), 찬죽(Ⅶ2 or B2), 미충(Ⅶ3 or B3), 곡차(Ⅶ4 or B4), 오처(Ⅶ5 or B5), 승광(Ⅶ6 or B6), 통천(Ⅶ7 or B7), 낙극(Ⅶ8 or B8), 옥침(Ⅶ9 or B9), 천주(Ⅶ10 or B10), 대저(Ⅶ11 or B11), 풍문(Ⅶ12 or B12), 폐유(Ⅶ13 or B13), 궐음유(Ⅶ14 or B14), 심유(Ⅶ15 or B15), 독유(Ⅶ16 or B16), 격유(Ⅶ17 or B17),간유(Ⅶ18 or B18), 담유(Ⅶ19 or B19), 비유(Ⅶ20 or B20), 위유
5.
(Ⅶ21 or B21), 삼초유(Ⅶ22 or B22), 신유(Ⅶ23 or B23), 기해유(Ⅶ24 or B24), 대장유(Ⅶ25 or B25), 관원유(Ⅶ26 or B26), 소장유(Ⅶ27 or B27), 방광유(Ⅶ28 or B28), 중려유(Ⅶ29 or B29), 백환유(Ⅶ30 or B30), 상료(Ⅶ31 or B31), 차료(Ⅶ32 or B32), 중료(Ⅶ33 or B33), 하료(Ⅶ34 or B34), 회양(Ⅶ35 or B35), 부분(Ⅶ36 or B36), 백호(Ⅶ37 or B37), 고황(Ⅶ38 or B38), 신당(Ⅶ39 or B39), 의회(Ⅶ40 or B40), 격관(Ⅶ41 or B41), 혼문(Ⅶ42 or B42), 양강(Ⅶ43 or B43), 의사(Ⅶ44 or B44), 위창(Ⅶ45 or B45), 황문(Ⅶ46 or B46), 지실(Ⅶ47 or B47), 포황(Ⅶ48 or B48), 질변(Ⅶ49 or B49), 승부(Ⅶ50 or B50), 은문(Ⅶ51 or B51), 부극(Ⅶ52 or B52), 위양(Ⅶ53 or B53), 위중(Ⅶ54 or B54), 합양(Ⅶ55 or B55), 승근(Ⅶ56 or B56), 승산(Ⅶ57 or B57), 비양(Ⅶ58 or B58), 부양(Ⅶ59 or B59), 곤륜(Ⅶ60 or B60), 복삼(Ⅶ61 or B61), 신맥(Ⅶ62 or B62), 금문(Ⅶ63 or B63), 경골(Ⅶ64 or B64), 속골(Ⅶ65 or B65), 통곡(Ⅶ676 or B66), 지음(Ⅶ67 or B67)
21.족소양담경에 대해 말하라.
▶담경은 모든 담(쓸개)의 질병을 치료한는데 사용되는 주치혈이다. 특히 소화, 근육계질환에 유효하며 흉협신경통, 광기, 간질 등 치료에도 효험이 있다. 간기능이 고장났을 때 담경의 치료는 대단한 효과가 있다.
▶경혈점은 동자료(Ⅺ1 or G1), 청회(Ⅺ2 or G2), 객주인(Ⅺ3 or G3), 함염(Ⅺ4 or G4), 현로(Ⅺ5 or G5), 현리(Ⅺ6 or G6), 곡빈(Ⅺ7 or G7), 솔곡(Ⅺ8 or G8), 촌충(Ⅺ9 or G9), 부백(Ⅺ10 or G10), 두규음(Ⅺ11 or G11), 완골(Ⅺ12 or G12), 본신(Ⅺ13 or G13), 양백(Ⅺ14 or G14), 두임읍(Ⅺ15 or G15), 목창(Ⅺ16 or G16), 정영(Ⅺ17 or G17), 승령(Ⅺ18 or G18), 뇌공(Ⅺ19 or G19), 풍지(Ⅺ20 or G20), 담견정(Ⅺ21 or G21), 연액(Ⅺ22 or G22), 첩근(Ⅺ23 or G23), 일월(Ⅺ24 or G24), 경문(Ⅺ25 or G25), 대맥(Ⅺ 26or G26), 오추(Ⅺ27 or G27), 유도(Ⅺ28 or G28), 거료(Ⅺ29 or G29), 환조(Ⅺ30 or G30), 풍시(Ⅺ31 or G31), 중독(Ⅺ32 or G32), 슬양관(Ⅺ33 or G33), 양릉천(Ⅺ34 or G34), 양교(Ⅺ35 or G35),외구(Ⅺ36 or G36), 광명(Ⅺ37 or G37), 양보(Ⅺ38 or G38), 현종(Ⅺ39 or G39), 구허(Ⅺ40 or G40), 족임읍(Ⅺ41 or G41), 지오희(Ⅺ42 or G42), 협계(Ⅺ43 or G43), 족규음(Ⅺ44 or G44)
22.임맥경을 말하라.
▶임맥경은 모든 음경락을 주관하는 경락으로 여성의 징병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모든 부인병질환, 생리불순, 생리통, 불임증, 체력조절 등에 활용되는 경락이다.
▶경혈 점은 회음(EⅡ1 or CV1), 곡골(EⅡ2 or CV2), 중극(EⅡ3 or CV3), 관원(EⅡ4 or CV4), 석문(EⅡ5 or CV5), 기해(EⅡ6 or CV6), 음교(EⅡ7 or CV7),
6.
신궐(EⅡ8 or C8V), 수분(EⅡ9 or CV9), 하완(EⅡ10 or CV10), 건리(EⅡ11 or CV11), 중완(EⅡ12 or CV12), 상완(EⅡ13 or CV13), 거궐(EⅡ14 or CV14), 구미(EⅡ15 or CV), 중정(EⅡ16 or CV16), 전중(EⅡ17 or CV17), 옥당(EⅡ18 or CV18), 자궁(EⅡ19 or CV19), 화개(EⅡ20 or CV20), 선기(EⅡ21 or CV21), 천돌(EⅡ22 or CV22), 염천(EⅡ23 or CV23), 승장(EⅡ24 or CV24),
23.독맥경을 말하라.
▶독맥경음 모든 양맥(등 뒤로 흐르는) 경을 관장하는 경혈로 정신병, 두통, 신경질환, 불면증, 요통, 고혈압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주치혈이다.
▶경혈 점은 장강(EⅠ1 or GV1), 요수(EⅠ2 or GV2), 요양관(EⅠ3 or GV3), 명문(EⅠ4 or GV4), 현추(EⅠ5 or GV5), 척중(EⅠ6 or GV6), 중추(EⅠ7 or GV7), 근축(EⅠ8 or GV8), 지양(EⅠ9 or GV9), 영대(EⅠ10 or GV10), 신도(EⅠ11 or GV11), 신주(EⅠ12 or GV12), 도도(EⅠ13 or GV13), 대퇴(EⅠ14 or GV14), 아문(EⅠ15 or GV15), 풍부(EⅠ16 or G16V), 뇌호(EⅠ17 or GV17), 강간(EⅠ18 or GV18), 후정(EⅠ19 or GV19), 백회(EⅠ20 or GV20), 전정(EⅠ21 or GV21), 신회(EⅠ22 or GV22), 상성(EⅠ23 or GV23), 신정(EⅠ24 or GV24), 소료(EⅠ25 or GV25), 인중(수구)(EⅠ26 or GV26), 태단(EⅠ27 or GV27), 음교(EⅠ28 or GV28),
11.
㈐기타 : ㉠모든 치료는 매 시술점에 대하여 약 2분간이다.
㉡한번에 모든 시술점들을 치료할 필요는 없다.
㉢소산점인 삼음교를 제외한 모든 점들을 강화 시켜줄 것.
㉣안면강화 및 주름을 펴주는 시술점들-스트레스 및 우울증 시술점들을 치료 하므로서 스트레스를 낯추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