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
수입 국가명 |
2006년 수입금액(US$) |
1 |
인도 |
267,284,458 |
2 |
아르헨티나 |
126,550,328 |
3 |
중국 |
40,771,633 |
4 |
태국 |
37,986,662 |
5 |
미국 |
34,070,015 |
6 |
인도네시아 |
31,241,621 |
7 |
싱가폴 |
21,373,953 |
9 |
이탈리아 |
15,566,136 |
8 |
브라질 |
15,419,049 |
10 |
말레이시아 |
13,789,341 |
자료원 : 베트남 무역정보센터(VINANET)
ㅇ 우리나라는 2006년 620만 달러 규모의 수출을 기록했으며, 2006년 수입국 중 17위를
기록했음.
□ 시사점
ㅇ 베트남의 사료가격은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수입수량 자체도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베트남 사료의 경우 내수에서 충족할 수 있는 양이 현재 전체 총수요량 중 70%까지 밖
에 충족을 못하여 약 30%는 반드시 수입을 해야 함. 그 중 부 에너지 원료(옥수수, 밀
등)는 수요의 20% , 각종 보조 사료는 수요의 90%, 부 에너지 사료(soybean oil cake
등)의 경우 수요의 65~70%, 사료첨가제의 경우 수요의 95%를 수입해야 함 .
- 2006년 사료원료 및 제품 수입을 약 7억 만 가량 기록했으나 2007년에는 10억만 가량
수할 것으로 예상됨.
ㅇ 사료 생산기업 투자가 활발해 질 것임
- 베트남 정부의 가축사육분야 개발 계획에 따르면, 2010년도까지 사료 수요가 1,860 톤
그리고 2015년에는 2,410톤 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2010년까지 적극적
인 해외 투자 유치 및 내국 기업 지원으로 현재 수입량의 50%까지 수입량 절감을 목표
로 하고 있음.
- 농업개발부는 쌀,옥수수 등의 부영양화 사료원료를 개발하는데 주력을 다하고, 더불어
각종 부 원료 및 각종 고품질의 사료제품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고 각종 생물학 분야를
연구하여 미생물, enzyme 등의 사료첨가제 원료 국산화에 주력할 것임
ㅇ 향후 최소 3~4년간은 베트남 사료 수입시장이 지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베트남 정
부의 적극적인 해외 기업 투자 유치로 인해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임
정보원: 베트남 무역정보센터, 베트남 농업개발부, 베트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