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척추동물의 소화기관 중 하나로 소장(small intestine) 끝에서 시작해서 항문으로 이어진다. 소화과정 중 수분 흡수를 담당하고 있다.
큰창자라고도 한다. 맹장(caecum), 충수(appendix), 결장(colon), 직장(rectum)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맹장, 직장을 제외한 결장만을 대장으로 부르기도 한다. 길이는 약 1.5미터로 전체 장의 5분의 1 정도이다. 소장 다음에 이어지는 소화관으로 음식물의 수분 흡수,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 저장, 배출을 담당하고 있다. 음식물의 분해 과정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bacteria)들이 생산하는 여러 가지 물질을 흡수 하기도 한다.
맹장(caecum)
맹장은 대장의 첫 부분으로 소장과 결장을 이어준다. 복부 오른쪽 아래에 있으며, 작은 주머니 모양이다. 소화 중인 음식물을 소장으로부터 받아들이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결장으로 이동시킨다. 음식물이 소장의 끝에 다다를 때쯤 소장과 대장의 경계가 되는 판(valve)이 열리면서 맹장이 팽창되어, 여기로 음식물이 들어간다. 이때의 음식물에는 소화가 아직 안된 음식물과 약간의 물, 비타민, 무기물 등이 들어 있다.
충수(appendix)
맹장에서 나온 작은 돌출부이다. 사람의 충수의 경우, 알려진 기능이 없다. 진화과정에서 퇴화된 잔해로 생각된다. 이 부위에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수는 수술로 제거한다.
결장(colon)
대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네 부위로 나누어진다.
1)상행결장(ascending colon) – 맹장에서 시작하여 간(liver)이 있는 위쪽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2)횡행결장(transverse colon) – 여기서 ‘횡행’이란 가로지른다는 뜻이다. 상행결장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으로 복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3)하행결장(descending colon) – 횡행결장에서 이어지는 부분으로 복부 왼쪽에서 아래쪽으로 이어진다.
4)구불결장(sigmoid colon) - S상결장이라고도 한다. 하행결장에서 이어지며 대장의 끝부분으로서 복부 왼쪽 아래에 위치한다. 직장으로 이어진다.
소화가 안된 음식물, 물, 비타민 등이 직장에 있는 점액, 세균과 섞이게 되며, 대변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대변은 대장의 연동운동을 통해 수송하며, 직장을 통과하는 동안 대변에 있는 대부분의 물과 약간의 비타민, 무기물이 직장에 흡수된다.
직장(rectum)
대장의 마지막 부분이다. 대변이 항문으로 배출되기 전에 여기에 저장된다.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
대장에는 무려 700종 이상의 세균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대장에 서식하면서 여러 생산물을 만들어 낸다.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다당류(polysaccharide)는 박테리아에 의해 짧은 길이의 지방산(fatty acid)으로 변화하여 대장에 흡수된다. 또한 소량의 비타민(vitamin)을 생산하는데 여러 비타민 중 특히 비타민 B, K가 생산되고 흡수된다. 이렇게 흡수되는 비타민의 양은 하루에 필요한 양에 비하면 소량에 불과하지만 음식물을 통해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 경우 이 정도의 비타민도 큰 역할을 한다. 만약 박테리아에 의해 만들어진 비타민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 박테리아를 죽이는 항생제(antibiotics)를 복용하면 비타민 부족 현상이 올 수 있다. 다른 생산물로는 가스(gas, flatus)가 있다. 이것은 질소(nitrogen)와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로 이루어져 있고 소량의 수소(hydrogen),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탄(methane)이 섞여 있다. 소화되지 않은 다당류를 박테리아가 발효하면 이와 같은 생산물이 나온다.
세균들은 영양분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물질 생산 뿐만 아니라 숙주의 기관형성과정에도 관여한다. 예를 들어 맹장(caecum)과 림프샘(lymphatic)과 같은 기관의 형성에 장에 서식하는 세균은 필수적이다. 이들은 또한 외부 세균이기 때문에 면역계(immune system)을 자극하여 자신에 대한 항체(antibody)를 만들게 한다. 이러한 항체는 이 세균과 비슷한 균이 몸에 침입했을 때 효과적으로 침입한 균을 막는다.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 중에는 해로운 것도 있다. 하지만 대장의 점막층(mucus layer)이 대장을 이들로부터 보호한다. 그래서 점막층을 점막방벽(mucosal barrier)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