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예를 들기 위해서 JBL 사의 Mpro 시리즈의 MP 412 의 사양으로 예를 들어 보자.
1) System Type => 12" Two-way loudspeaker
스피커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출력하느냐의 표기이다. 즉 우퍼와 트위터(고음부) 혼의 갯수를 말한다.
이스피커는 한개의 12" 우퍼와 한개의 트위터로 구성되어있다. 보통의 경우 저음부와 고음부로 나뉘지만 3way, 4way 등으로 갈수록 강한 사운드보다 부드러운 사운드가 난다고 보면 된다.
2) Frequency Range => 50 Hz - 20 kHz (-10dB)
스피커가 낼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주파수란 1초동안에 낼수 있는 음파의 횟수라고 보면 된다. 즉 1초에 20번이 떨리면 20HZ가 된다.
주파수가 작으면 저음이 되고 주파수가 크면 고음이 된다.
사람이 들을수 있는 소리의 음역대를 가청주파수라고 하는데, 그이하의 음역대를 저주파라고 하고
그이상의 음역대를 고주파라고 한다.이 스피커는 50 Hz 에서 20 kHz 까지의 출력을 낼수 있다는 뜻이다.
즉, 이 주파수 대역이 넓을수록 풍부한 소리는 내는 스피커이다.
3) Power Capacity => 350 W (1400W - Peak)
흔히 우리가 말하는 스피커 출력 사양이다.350 W (와트) 라고 쓴것은 RMS 즉 정격출력이다.
1400W - Peak라고 쓴것은 이 스피커가 낼수 있는 최대출력레벨이다.1400W가 넘어가는 앰프출력을 걸어주면 스피커가 손상된다.
우리가 스피커 출력이라고 말할때는 RMS 즉 정격출력을 말하고 이 정격출력을 기준으로 앰프의 출력을 걸어주게 된다.
4) Sensitivity => 99dB (1W, 1m)
이 표기는 소음도를 측정하는 데시벨 표기이다.즉 1W가 1미터 앞에서 출력되어지는 소음도를 측정한 수치이다.
보통 95dB 이상이 되어야 하고 사양에 따라서 140dB 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5) Nominal Impedance => 8 Ω
이 표기는 스피커의 저항값이다.즉 8옴에 350 와트의 사양을 갖고 있는 스피커이다.
이 사양은 앰프의 출력을 걸어줄때 필요한 사양인데, 앰프의 출력사양에 맞춰서 스피커를 골라야 한다.
옴수가 올라가면 출력값이 낮아진다.
6) Transducers => LF 1 X JBL 2023H / HF 1 X JBL 2406H
스피커안의 저음과 고음 스피커의 명칭이다.저음에는 2023H 란모델,고음에는 2406H 란 모델이 1개씩 들러 있다는 표기이다.
7) Dimensions (HxWxD) => 605 x 396 x 344 mm
스피커의 크기를 표기했다.높이,넓이,폭 을 지칭한다.
8) Weight => 21.4 kg
스피커의 무게를 표시했다.
(출처:가야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