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식 장례
생전에 영세를 받은 사람은 [성교 예규]를 따른다.
천주교는 기독교 장례와 달리 우리나라 전통상례도 어느 정도 수용해서 치루는 편이다.
1. 병자성사 종부성사(終傅聖事)
임종을 앞둔 병자를 위해 행하는 의식이다.
- 사제가 오면 상위 촛대에 불을 켜고 병자가 고백성사를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은 모두 물러가 있는다.
- 고백성사(告白聖事)가 끝나면 신부는 종부성사를 행하고 노자성체(路資聖體)를 영해 준다.
- 임종 전 대사
임종을 앞두고 있을 때 사제가 종부성사를 해줄 처지가 못되더라도 가까운 친지들이 모여 성경구절을 읽으면서
기도해줘도 무관하다.
2. 운명(殞命)
- 임종이 다가오면 임종경을 읽으며 그 영혼을 위하여 기도한다.
- *염경은 숨이 그친 뒤에도 잠시 동안 계속하는 것이 좋다.
- 운명하는 순간 통곡하거나 슬퍼하는 것은 죽는 이의 마지막 마음을 불안하게 하므로 기도문을 읽어주면서
편안하게 보내는 것이 좋다.
·
3. 초상(初喪)
- 환자가 숨을 거두면 시신에 깨끗한 옷을 입혀 손발을 반듯하게 정돈해준다.
- 손은 합장을 시켜 묶거나 십자가상을 쥐어 주고, 눈은 감기고 입은 다물게 한다.
- 머리맡에는 *고상(苦象)을 좌우에 촛불을 켜서 준비하고 가족들은 옆에 끓어 앉아 연도한다.
- 염경이 끝날 때마다 시체에 성수를 뿌리고 만하루가 지난 뒤 시신을 염(殮)한다.
4. *연미사(煉彌撒)
병자가 세상을 떠난 사실을 본당 사제에게 보고하고 *연미사(위령제)를 청한다.
사제와 의논해서 장례일과 장례미사 시간을 결정한다.
5. 장례식
- 장례일이 되어 출관할 때는 모든 이가 함께 관 앞에 고상을 향하여 꿇어 앉아 경을 왼다.
- 관을 들어 발인하여 영구를 본당으로 옮기고 연미사를 거행한 뒤 장지로 옮긴다.
- 관을 묻으면 사제는 성수를 뿌리고 마지막 기도를 올린다.
- 천주교에서는 화장을 금지하고 있어 화장을 하면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치를 수 없고, 교회 묘지에 묻지도 못한다.
- 장례 후 3일, 7일, 30일에, 또 소상과 대상 때 성당에서 연미사와 가족의 영성체를 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