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 빈야사요가]빈야사 요가-아사나 종류와 빈야사 수련의 구조.
기본 아사나 종류와 빈야사 수련의 구조.
요가 수련에는 전통적으로 84개의 기본 아사나가 있습니다.
각 아사나에 따라 이름과 동작을 취하는 방법이 있으며, 근력과 안정감 그리고 유연성과 가벼움을 향상시켜 줍니다.
이 84개 아사나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대표적인 아사나로서, 이를 바탕으로 수백 개의 자세가 변형되어 수련에 활용됩니다.
아사나 (Asana) 란?
"스띠라 쑥함 아-사남(Sthira sukham asanam)"
아사나는 확고하고 편안한 자세다.
- 파탄잘리의 요가 수뜨라 2장 46절-
스띠라 (Sthira) - 단단함과 안정성을 의미 합니다. 도전성과 인내심을 갖고 힘을 발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섬세하게 현존하며 의식을 기울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쑥하 (Sukha) - 편안함을 의미합니다. 불편하지 않고 아픔과 고통이 없다는 것, 행복함,즐거움,이완됨,가벼움,쉬움 등 원활한 상태를 포함합니다.
즉 자신 그대로를 인정하고 즐기는 것입니다.
아사나 (Asana) - 앉은 자리 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정확하게는 하타 요가 자세를 의미합니다. 단순히 육체적인 자세뿐 아니라 정신과 감정, 영적 자세를 의미하기도 하며, 지바묵띠 요가의 설립자인 데이비드 라이프와 샤론 개논은 아사나를 '지구 또는 모든 생물체와의 연결'이라고 가르칩니다.
아사나 수련이란?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감각과 느낌에 완전히 몰입하여 경험하며 요가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
아사나 수련이란?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감각과 느낌에 완전히 몰입하여 경험하며 요가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입니다.
긴장과 이완, 노력과 놓아버림, 편안함과 도전 등 극단적인 양면 사이에 존재하는 자신을 발견하여 몸과 마음, 영의 합일 그리고 존재하는 모든 이와의 하나됨을 겨엄할 수 있는 자세와 균형을 찾는 것이다.
아사나는 크게 선자세,균형자세,팔균형자세,역자세,후굴자새,전굴자세,비틀기자세와 골반열기자세로 나눌수 있습니다.

.
1. 선자세
선자세란 비라바드라아사나1(전사1)등 서서 취하는 모든 자세를 의미합니다.
이 자세는 초보자 또는 수업 추반에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자세는 신체 부위중 큰 근육인 허벅지와 엉덩이 근육을 사용함으로써 전신에 열기를 호율적으로 가동시켜 몸을 충분히 풀어주고, 활기를 불어넣어 몸과 마음이 깨어나듯 활력을 찾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체의 체력과 힘을 향상시켜 자신감과 용기가 자연스레 생기고, 지면과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지구력가 안정감도 얻게 됩니다.

2. 균형자세
균형자세는 한 다리를 지지대로 쓰는 선자세를 의미합니다.
일반인들에게는 익숙한 자세는 나무자세인 브륵샤아사나 일 것입니다.
균형자세는 모든 선자세와 동일하게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내면의 중앙선을 찾아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수련시켜 줍니다.
나무자세 같은 균형 동작을 취할 때 흔히 일어나는 증상은 수련생이 균형을 잡는 데 집중하기 위하여 호흡을 멈추는 것 입니다. 이것은 삶에서 낯설거나 불안정한 상황에 맞닿았을 때 , 생명의 기력인 호흡의 깊은 힘을 무시하며 그저 물리적인 힘으로 밀고 나가거나 그 상황을 견디는 것과 같습니다.
호흡의 참된 힘을 되찾아 신체와 마음과 정신의 평온을 경험 하루 있게 됩니다.
3. 팔 균형자세
팔 균형자세란 사다라자세와 차툴랑가 단다아사나등 팔을 지지대로 사용하여 균형을 잡는 자세를 의미 합니다.
팔균형자세는 상체와 하체의 근력뿐만 아니라 상당한 유연성을 요구하고, 신체의 중심 부위인 코어의 근력 항샹에 필수적 입니다.
반복적인 아사나 수련을 통해 상체의 힘과 전신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신체의 균형이 잡힐수록 팔균형자세는 점점 더 수월해 지게 됩니다. 또한 이 자세들은 상체의 근력을 활용하고 뼈에 체중을 실어 주어 뼈밀도를 증가시키고 골다공증을 방지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역자세
역자세란 시르사아사나(머리서기) 와 아드호 묵하 스바아나 아사나(견상)등 심잠보다 머리가 낮게 위치하는 자세를 의미 합니다.
역자세는 강력하고 자극을 주는 머리서기, 몸의 열기를 내려 주고 이완시켜주는 어깨서기등이 역자세입니다.
혈액과 림프의 흐름과 중력과 반대로 만들어 놓기 때문에 노페물을 효육적으로 제거하여 면역성과 순환을 향상시켜 주며, 하체의 부기를 감소 시키고 머리에 새로운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주기도 합니다.
5. 후굴자세
후굴자세란 우르드바 묵하 스바아나아사나(업독)와 세뚜 반다아사나(브릿지 자세)등 몸의 앞면을 열어 주고 뒷면의 곡선을 깊게 만드는 아치자세를 의미합니다. 몸의 앞면을 여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낯설게 느껴집니다.
얼굴,눈,심장.페,생식기등 신체의 민감한 모든 부의는 몸의 앞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공격 당한다고 느낄 때 어깨와 가슴을 모아 몸의 앞면을 본능적으로 보호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몸의 앞면을 여는 후굴자세는 상당한 용기를 필요로하며 자신에 대한 신뢰를 쌓고 마음의 열림을 허락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비틀기 자세
비틀기자세는 아르나 맛츠앤드라아사나(반 비틀기 자세)등 척추를 좌우로 비트는 자세 이며, 몸과 척추를 중립 위치로 돌려주기 때문에 처진 몸에는 활기를 불어넣어 주고 신경을 차분하게 가라 앉혀 균형을 잡아줍니다. 신체의 장기, 내분비계, 신경계,순환걔를 비틀어 노페물을 제거하고 항상성을 돌려줍니다.

7. 전굴자세
전굴자세는 자누시르사아사나,파스치모타다아사나등 상체를 앞으로 숙여 몸의 뒷면을 열어 주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전굴자세는 신경계를 차분하게 이완하여 체온을 내리는 효과가 있고, 몸의 앞면을 가려 내면으로 더 깊게 들어가게 해주며 고요함을 주기 때문에 요가 수련 마무리 단계에 추천한다.
전굴자세는 다리,엉덩이,몸통 뒷면 전체를 늘려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몸 앞면에 위치한 장기를 수축하여 탄력을 줍니다.

8. 골반열기 자세
현대인들은 골반을 포함한 하체 부위에 긴장감과 스트레스를 많이 실어 놓고 있습니다. 받다코나아사나(나비자세)등의 골반열기 자세는 고관절 내에 대퇴골이 더 깊이 있게 회전할 수 있도록 허벅지의 앞팎과 옆과 뒷면의 근육을 열어주고 풀어주며, 골반에 묶어 둔 육체-감정-정신적 스트레스를 풀어준다. 즉 골반을 여는 자세를 취하면 분노,슬픔, 짜증, 답답함등이 올라 올수도 있습니다. 이때 깊은 호흡으로 신선한 호흡과 자비심을 그 부위로 보내면, 묶어 놓았더 감정을 해소하고 놓아버리게 됩니다.
JAI YOGA |자이요가
http://blog.naver.com/shmnoopy/150168305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