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대부흥운동 - 하디의 통회
평양을 제2의 예루살렘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1907년 평양을 중심으로 일어난 대부흥운동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회개하고 믿음을 갖게되어 기독교인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까닭이다. 그런데 이 평양대부흥운동 이전인 1901년 원산에서부터 이미 부흥운동의 불씨가 지펴지고 있었다. 이 기간을 통칭 원산대부흥운동 기간이라고 말한다.
이 시기의 부흥운동은 영적각성운동이었다. 1903년 8월 하디의 공개적 회개는 당시 부흥운동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하디는 토론토 의과대학 교수였던 애비슨(O. A. Avison)의 영향을 받아 졸업후 동 대학의 YMCA 회원들에 의해 8년간의 지원을 약속받고 1890년 9월 30일에 내한한 의료선교사였다. 처음에는 게일과 함께 부산에서 사역하였지만 1892년 11월 동역자 게일과 함께 원산으로 이동 의료선교를 시작했다. 1901년부터 원산과 강원도 통천에서 3년간 의료 및 개척선교를 펼쳤지만 열매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그의 마음은 패배감과 번민에 사로잡혔다. "영적인 능력이 결핍"된 자신을 돌아보며 낙심중에 있을 때 1903년 8월 24일 원산에서 있은 기도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기도회에 참석한 그는 성령의 강한 힘에 이끌려, 모인 수많은 사람들 앞에 섰다.
“나는 3년동안 남감리회가 강원도에 세운 교회에서 애써 일해왔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한국교회가 부흥이 안되는 원인이 한국인에게 있는 줄 알았는데 그 원인이 나한테 있음을 알았습니다.아무리 수고하고 정성을 다해 일을 한다고 해도 성령의 임재와 능력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나의 교만과 완악함과 신앙의 부족을 회개합니다”(국민일보, 믿음의 유산, 9. 대부흥운동)
그는 기도회와 주일 예배시에 동료 선교사들과 대중 앞에서 공개적으로 자신의 교만과 강퍅한 마음, 믿음없음을 통렬히 자복하였다. 눈물로 얼룩진 그의 얼굴은 이전에 보아왔던 하디가 아니었다. 그는 비로소 평안을 얻었고 그의 입술이 열릴 때마다 사람들의 마음이 움직였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죄를 고백하기 시작했고 기도회와 주일예배는 온통 통회자복의 도가니가 되었다. 이것은 통성기도가 한국교회의 특징중의 하나가 되는 시발점이었다. 이제 사람의 성(城)이 무너지고 하나님의 성(城)이 세워지기 시작한 것이다.
존 로스의 한글 선생이었던 양반출신 진천수라는 사람의 고백은 또다른 예이다. 그는 19세 때 수개월 간 병을 앓던 그의 아내를 잃었는데, 그의 아내가 죽음과 사투하는 고통의 날을 보내고 있을 때에도 방탕한 생활을 버리지 못하다가 그의 아내가 세상을 떠나자 친구와 명절을 즐기지 못하게 되었다고 죽은 아내를 저주하였다. 그런 그가 눈물을 흘리며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구하며 새로운 믿음의 세계에 들어선 것이다.
또 한 사람은 윤승근이라는 사람이다. 그는 1901년 원산 부흥회를 참석하고 돌아오던 중 20년 전 주전소(鑄錢所)에서 일할 때, 4달러의 임금을 초과하여 받은 것이 생각나 하디를 찾아와 4달러를 내놓고 그것을 탁지부에 되돌려주기를 부탁했다고 한다.
이렇듯 초기 한국교회의 부흥운동은 "죄의 회개"라는 개인적 신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문제의 근원이 "나"에게 있다는 자각이 제2의 예루살렘을 이끌어 낸 것이다. 결코 무엇을 얻고자 함도 아니요, 무슨 신비한 체험을 위함도 아니었다. 단 하나 하나님 앞에 선 "나"의 "죄인 됨"을 인식하고 자복함으로서 거듭남의 신비를 체험하고 그렇게 거듭난 이들이 영적인 죽음의 사슬을 끊고 하나님이 주시는 사죄의 은총을 통하여 참신앙의 사람들이 된 것이다.
실로 회개는 그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회개는 입술의 고백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마음의 통회와 그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는 것이다.
2001. 8. 9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주님의교회 목사 박찬희
* 이 글의 세가지 사건의 내용은 (평양대부흥운동, 이용규 저, 생명의 말씀사 : 국민일보, 믿음의 유산, 9. 대부흥운동)에 기술된 것을 참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