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꿀은 꿀벌들이 꽃꿀, 수액 등 자연물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것을 채밀한 후에 숙성시킨 식품으로 천연 식품이자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천연벌꿀인지에 대한 진위여부※, 품질, 안전성 등에 대해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소비자시민모임(회장 김자혜)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벌꿀의 품질 및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여, 벌꿀에 대한 소비자의 합리적인 구매를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14년 상반기동안 1372 소비자상담센터로 접수된 벌꿀 제품 상담 중 진위여부 및 성분에 대한 검사 요청 상담이 가장 많음.
어떤 제품을 선정하였나?
벌꿀의 주된 판매경로*와 벌꿀에 대한 소비자(500명)의 소비 실태 조사 결과 등을 고려하여 총 13개 제품을 조사대상 제품으로 선정하였다.
품질에 대한 동일한 기준의 평가를 위해 모두 잡화꿀**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제품 중 사양벌꿀로 표시된 제품은 없었다.
* 2013년 양봉산업 현황 자료(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벌꿀의 주된 판매 경로는 대형마트(48%), 생산자 직거래(25%), 농협(8%), 기타(8%), 백화점(6%), 전문판매점(5%) 순임.
** 벌꿀은 주밀원(벌이 꿀을 빨아주는 근원)의 종류에 따라 아카시아벌꿀, 밤꿀 또는 잡화꿀 등으로 구분됨.
시험대상 제품 |
구분 |
제품명 |
식품유형(밀원) |
원산지 |
중량(g) |
소분원(제조사) |
판매원 |
유통기한 |
구입처 |
100g당가격* |
국
내
산 꿀 |
향로봉벌꿀 |
|
국산 |
2,400 |
|
|
|
11번가 |
991 |
프리미엄 홈플러스 잡화꿀 |
벌꿀 (잡화꿀) |
국산 |
1,100 |
소분원:㈜꽃샘식품 |
㈜홈플러스 |
2016.3.16 |
홈플러스 강서점 |
1,700 |
이마트 잡화벌꿀 |
벌꿀 (잡화꿀) |
국산 |
1,000 |
소분원:㈜동아양봉원 |
㈜이마트 |
201.66.09 |
이마트 공덕점 |
1,730 |
프라임엘 잡화꿀 |
벌꿀 (잡화꿀) |
국산 |
1,000 |
소분원:㈜허니스티 |
㈜롯데쇼핑 |
2016.2.18 |
롯데마트 서울역점 |
1,820 |
오뚜기 벌꿀 잡화 |
벌꿀 (잡화꿀) |
국산 |
1,000 |
소분원:영월농협가공사업소 |
㈜오뚜기 |
2016.5.01 |
NC백화점 강서점 |
1,829 |
하성잡화꿀 |
밀원명 :잡화꿀 |
국산 |
1,000 |
북부농업협동조합 |
|
2015.9.24 |
홈플러스 강서점 |
1,905 |
동서벌꿀 다화꿀 |
벌꿀 (잡화꿀) |
국산 |
900 |
동서식품 |
|
201.62.13 |
홈플러스 강서점 |
2,050 |
지리산토봉꿀 |
|
국산 |
1,200 |
생산지:지리산뱀사골토종꿀영농조합법인 |
|
소분일:2014.07.19 (소분일로부터 2년) |
11번가 |
2,233 |
프리미엄 벌꿀 잡화꿀 |
벌꿀 (잡화꿀) |
국산 |
600 |
소분원:㈜동아양봉원 |
|
2015.12.22 |
롯데백화점 본점 |
2,400 |
농협안심야생꽃꿀 |
밀원명: 잡화 |
국산 |
1,000 |
소분업소: 북부농업협동조합 |
농협중앙회축산물판매분사, 북부농업협동조합 |
2015.12.08 |
GS eShop |
3,290 |
가을에 채밀한 한국토종꿀 |
주요밀원 잡화꽃 |
국산 |
600 |
소분판매원:마천농업협동조합 |
|
2016.1.03 |
현대백화점 목동점 |
5,600 |
수입꿀 |
클로버 꿀** |
꿀(꽃 꿀) |
미국 |
1,360 |
스미티비 자기야 주식회사 |
수입원:㈜꽃샘식품 |
2014.10.3 |
홈플러스 강서점 |
1,911 |
호주유칼리꿀 |
벌꿀 (유칼리꿀) |
호주 |
1,000 |
제조사:CAPILANO HONEY LIMITED 수입업소 및 소분원 :유화엔에프 |
㈜두리케이통상 |
2018.4.17 |
이마트 공덕점 |
2,990 |
* 100g당 가격은 구입가격 기준임
** 향로봉벌꿀은 제품에 식품유형과 제조사 및 판매원을 표시하지 않았고, 지리산토봉꿀은 식품유형을 표시하지 않음.
*** 클로버 꿀은 현재 수입판매원에서 수입하지 않고 있음. ※ 소분원(소분업소) :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의 완제품을 나누어 유통할 목적으로 재포장·판매하는 영업 업소 |
시험·평가 항목 및 방법
벌꿀의 품질 평가를 위해 ①식품공전상 벌꿀류 기준 및 규격, ②잔류동물용의약품 검출 검사와 ③탄소동위원소비 검사(사양벌꿀 여부 판별)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범으로 운영하고 있는 ④꿀 등급판정 기준(축산물품질평가원 2013-17호)을 통해 꿀의 등급 평가를 하였다.
평가요소별 시험항목 및 방법 |
시험·평가 항목 |
내용 |
① 벌꿀류 기준 및 규격 |
- 수분, 물불용물, 산도, 전화당, 자당,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타르색소, 인공감미료, 이성화당, 그레이아노톡신 Ⅲ*를 식품공전의 벌꿀류 기준 및 규격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적합 여부를 확인함. * 주로 히말라야 지역 고산지대(해발 3,000m이상)에서 자라는 철쭉(Rhododendron)속의 식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독소로서 벌꿀에서는 검출되어서는 안됨. |
② 잔류동물용 의약품 |
-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잔류동물용의약품 검출 여부를 정량검사함.(식품공전의 식품 중 잔류동물용의약품시험법) - 네오마이신,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아미트라즈, 코마포스, 플루메쓰린, 플루발리네이트, 클로람페니콜, 시미아졸, 엔로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을 검사함. |
③탄소동위원소비 |
- 천연벌꿀(꽃꿀)과 사양벌꿀의 구분을 위한 탄소동위원소비율 기준은 -23.5‰(다만, 잡화꿀은 -22.0‰)로 함.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양벌꿀 자율표시기준’) |
④꿀 등급판정 (축산물품질평가원 2013-17호) |
- 탄소동위원소비 검사 결과 ?23.5‰ 이하이고, 식품공전상 벌꿀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 꿀만을 대상으로 등급을 판정함. - 등급판정항목은 수분, 과당/포도당비,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향미,색도, 결함임. |
수분 |
수분은 꿀 숙성 후에 남은 것으로 꿀의 품질, 저장중의 발효, 결정, 점도,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성분임 |
과당/포도당비 |
과당과 포도당의 비율은 꿀의 결정화에 영향을 주게 되며, 결정화는 곧 품질에도 영향을 줌. 과당/포도당 비율이 클수록(과당이 클수록) 결정화 속도가 느림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
HMF는 당 성분이 열에 의해 변성이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중간물질로 열이 주원인이 되지만 열 이외에도 빛, 효소, 산, 자외선 등도 HMF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벌꿀의 처리, 가공 또는 저장 중에 생기는 품질저하 지표 성분의 하나로 제품의 신선도 측정에 활용됨 |
벌꿀의 식품공전상 벌꿀류 기준 및 규격, 잔류동물용의약품 허용기준과 꿀 등급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벌꿀류 기준 및 규격과 잔류동물용의약품 허용기준 |
항목 |
기준 |
기준 근거 |
벌꿀류 기준 및 규격 |
수분(%) |
20.0 이하 |
식품공전상 벌꿀류 기준 및 규격 |
물불용물(%) |
0.5 이하 |
산도(meq/kg) |
40.0 이하 |
전화당(%) |
60.0 이상 |
자당(%) |
7.0 이하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mg/kg) |
80.0 이하 |
타르색소 |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
인공감미료(g/kg) |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
이성화당 |
음성이어야 한다 |
그레이아노톡신 Ⅲ(mg/kg) |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
잔류 동물용 의약품 |
네오마이신(mg/kg) |
0.1 이내 |
식품공전상
잔류동물용의약품 기준 및 규격 |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mg/kg) |
불검출 |
스트렙토마이신(mg/kg) |
불검출 |
옥시테트라싸이클린(mg/kg) |
0.3 이내 |
아미트라즈(mg/kg) |
0.2 이내 |
코마포스(mg/kg) |
0.1 이내 |
플루메쓰린(mg/kg) |
0.01 이내 |
플루발리네이트(mg/kg) |
0.05 이내 |
클로람페니콜(mg/kg) |
불검출 |
시미아졸(mg/kg) |
1.0 이내 |
엔로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합(mg/kg) |
0.03 이내 |
꿀 등급판정 기준 |
등급판정 항목 |
품질등급 |
1+(Premium)등급 |
1(Special)등급 |
2(Standard)등급 |
수 분(%) |
20%이하 |
20%초과~25%이하 |
25%초과 |
(단, 소분 판매시에는 20% 이하로 적용) |
과당/포도당 비 |
·아카시아, 밤꿀 : 1.5이상 ·잡화 : 1.3이상 |
·아카시아, 밤꿀 : 1.3이상~1.5미만 ·잡화 : 1.1이상~1.3미만 |
·아카시아, 밤꿀 : 1.3미만 ·잡화 : 1.1미만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Hydroxymethy
lfurfural) (mg/kg) |
3 이하 |
3 초과~30 이하 |
30 초과 |
향 미 |
밀원의 일반적인 향미를 갖고 있으며 발효, 화학물질 등 다른 원인으로 인한 불쾌한 향이 없는 꿀 |
밀원의 일반적인 향미를 갖고 있으며 발효, 화학물질 등 다른 원인으로 인한 불쾌한 향이 거의 없는 꿀 |
1+,,1 등급에 해당되지 않은 꿀 (단, 아카시아 및 밤꿀의 경우 색도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밀원을 잡화로 변경하여 신청할 수 있다.) |
색도 |
밀원 고유의 색을 가지고 있는 꿀
·아카시아 : No.1~No.2
·밤꿀 : No.9, No.10 ·잡화 : No.1~No.10 |
밀원 색을 가지고 있으나 고유의 색보다 옅거나 짙은꿀
·아카시아 : No.3~No.4
·밤꿀 : No.8 ·잡화 : No.1~No.10 |
결 함 |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결함이 전혀 없는 꿀 |
어느 정도의 결함이 있지만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꿀 |
꿀 색도 기준 |
 |
주요 항목별 시험·평가 결과
천연벌꿀(꽃꿀)과 사양벌꿀 여부
13개 벌꿀 제품 중 2개 제품은 사양벌꿀로 나타났으나, 제품의 광고와 표시사항에 사양벌꿀임을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천연벌꿀(꽃꿀)과 사양벌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탄소동위원소비 검사 결과, 13개 제품 중 향로봉벌꿀과 지리산토봉꿀(생산지: 지리산뱀사골토종꿀영농조합법인) 2개 제품은 탄소동위원소비가 각각 -13.89‰, -13.59‰로 사양벌꿀로 나타났다.
나머지 11개 제품은 탄소동위원소비 검사 결과 22.0‰(잡화꿀 기준)이하로 나타나, 모두 천연벌꿀(꽃꿀)로 나타났다.
시험결과, 사양벌꿀로 확인된 2개 제품은 제품 표시상에 식품유형을 표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사양벌꿀임을 표시하지 않음. 또한 오픈마켓의 인터넷 광고에는 ‘순수한 자연 벌꿀(향로봉벌꿀 광고 중)’, ‘공해가 없는 더더욱 깊은 곳에서 토종꿀을 채취(지리산토봉꿀 광고 중)’라는 문구를 사용하였다.
식약처는 사양벌꿀 또는 이를 함유한 벌꿀은 식품유형을 “벌꿀(사양벌꿀)”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자율표시기준이므로 업체에서는 사양벌꿀 표시를 생략하여 판매할 수 있어 소비자가 사양벌꿀인지에 대해 모르고 구입할 가능성이 있다.
사양벌꿀로 나타난 향로봉벌꿀은 100g당 가격이 991원으로 천연벌꿀(꽃꼴) 제품에 비해 저렴하지만, 지리산토봉꿀은 100g당 가격이 2,233원으로 천연벌꿀(꽃꿀)의 가격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양벌꿀로 나타난 제품 |
제품명 |
소분원(제조사) |
100g당 가격 |
구입처 |
탄소동위원소비 |
향로봉벌꿀 |
- |
991원 |
11번가 |
-13.89‰ |
지리산토봉꿀 |
생산지 : 지리산뱀사골토종꿀영농조합법인 |
2,233원 |
11번가 |
-13.59‰ |
벌꿀류 기준 및 규격 적합 여부
13개 벌꿀 제품 중 1개 제품은 기준규격 부적합제품으로 나타나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은 벌꿀의 처리, 가공 또는 저장 중에 생기는 품질저하 지표 성분의 하나로, 벌꿀류 기준 및 규격에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기준은 80.0mg/kg 이하로 정해져 있다.
클로버 꿀(제조사: 스미티비 자기야 주식회사, 수입원: ㈜꽃샘식품)은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이 133.07mg/kg으로 기준치(80.0mg/kg)를 초과하여 기준규격 부적합 제품으로 나타났다.
※ 위 제품은 2012년 12월 21일에 수입된 제품으로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은 제조이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 해당 제품은 현재 수입 판매되고 있지 않음.
나머지 12개 제품은 수분, 물불용물, 산도, 전화당, 자당,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타르색소, 인공감미료, 이성화당 등이 검사 결과, 모두 벌꿀류 기준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동물용의약품 검사 결과, 13개 벌꿀 제품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잔류동물용의약품 검사 결과, 13개 제품 모두 12종의 잔류동물용의약품은 모두 허용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꿀 품질 등급판정 반영 결과
시범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꿀 등급판정 기준을 반영하여 꿀 품질 등급을 평가한 결과, 13개 제품 중 1+(Premium)등급은 없었으며, 1(special)등급은 6개 제품, 2(Standard)등급은 4개 제품으로 나타남.
13개 조사대상 제품 중 기준규격 부적합 1개 제품과 사양벌꿀 2개 제품을 제외한※ 10개 제품의 수분, 과당/포도당비,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향미, 색도, 결함을 종합하여 품질 등급을 평가하였다.
※ 꿀 등급판정은 탄소동위원소비 검사 결과 -23.5‰이하의 천연벌꿀(꽃꿀)을 대상으로 식품공전상 벌꿀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 꿀만을 대상으로 등급을 판정하므로, 사양벌꿀로 나타난 2개 제품과 기준규격 부적합 1개 제품은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10개 제품 모두 수분, 과당/포도당 비, 향미, 색도, 결함에서는 1등급 이상이었지만, 신선도를 나타내는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평가 결과, 6개 제품은 1등급, 4개 제품은 2등급으로 나타나 제품 간 신선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품질 등급이 1등급인 6개 제품은 이마트 잡화벌꿀(소분원: ㈜동아양봉원, 판매원: ㈜이마트), 프라임엘 잡화꿀(소분원: ㈜허니스티, 판매원: ㈜롯데쇼핑), 오뚜기 벌꿀 잡화(소분원: 영월농협가공사업소, 판매원: ㈜오뚜기), 동서벌꿀 다화꿀(제조사: 동서식품), 프리미엄 벌꿀 잡화꿀(소분원: ㈜동아양봉원), 호주유칼리꿀(제조사 : CAPILANO HONEY LIMITED, 수입업소 및 소분원: 유화엔에프, 판매원: ㈜두리케이통상)로 나타났다.
최종 품질 등급이 1등급인 제품 중 이마트 잡화벌꿀(100g당 1,730원)과 프라임엘 잡화꿀(100g당 1,820원), 오뚜기 벌꿀 잡화(100g당 1,829원)는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꿀 품질등급 평가 결과 |
제품명 |
소분원(제조사) |
100g당가격 |
수분(%)* |
과당/포도당비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
향미 |
색도 |
결함 |
최종 등급** |
프리미엄 홈플러스 잡화꿀 |
㈜꽃샘식품 판매원: ㈜홈플러스 |
1,700원 |
18.4 |
1+등급 |
2등급 |
1등급이상 |
No. 7 |
결함 없음 |
2등급 |
이마트 잡화벌꿀 |
㈜동아양봉원 판매원: ㈜이마트 |
1,730원 |
17 |
1+등급 |
1등급 |
1등급이상 |
No. 7 |
결함 없음 |
1등급 |
프라임엘 잡화꿀 |
㈜허니스티 판매원: ㈜롯데쇼핑 |
1,820원 |
17.6 |
1+등급 |
1등급 |
1등급이상 |
No. 8 |
결함 없음 |
1등급 |
오뚜기 벌꿀 잡화 |
영월농협가공사업소 판매원: ㈜ 오뚜기 |
1,829원 |
18.8 |
1+등급 |
1등급 |
1등급이상 |
No. 7 |
결함 없음 |
1등급 |
하성잡화꿀 |
북부농업협동조합 |
1,905원 |
16.2 |
1-등급 |
2등급 |
1등급이상 |
No. 7 |
결함 없음 |
2등급 |
동서벌꿀 다화꿀 |
동서식품 |
2,050원 |
14 |
1+등급 |
1등급 |
1등급이상 |
No. 7 |
결함 없음 |
1등급 |
프리미엄 벌꿀 잡화꿀 |
㈜동아양봉원 |
2,400원 |
19.6 |
1+등급 |
1등급 |
1등급이상 |
No. 8 |
결함 없음 |
1등급 |
호주유칼리꿀 |
제조사 : CAPILANO HONEY LIMITED
소분원:유화엔에프 판매원 : ㈜두리케이통상 |
2,990원 |
17 |
1+등급 |
1등급 |
1등급이상 |
No. 6 |
결함 없음 |
1등급 |
농협안심 야생꽃꿀 |
북부농업협동조합, 판매원: 농협중앙회축산물판매분사, 북부농업협동조합 |
3,290원 |
19.6 |
1+등급 |
2등급 |
1등급이상 |
No. 8 |
결함 없음 |
2등급 |
가을에 채밀한 한국토종꿀 |
마천농업협동조합 |
5,600원 |
17.4 |
1+등급 |
2등급 |
1등급이상 |
No. 8 |
결함 없음 |
2등급 |
* 품질 등급 평가 항목 중 ‘수분’은 소분 판매시에는 등급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20% 이하로 적용함.
** 최종 등급은 평가 항목 중 가장 낮은 등급으로 결정됨. ※ 본 품질등급 기준은 소분 전 단계의 원료꿀에 대한 기준이며, 본 품질등급 평가 결과는 해당 검사 제품에 한한 결과임. |
조사대상 제품 중 소분원(제조사)이 동일한 제품의 품질 등급 평가 결과, 최종 품질 등급은 같지만, 판매원(브랜드)에 따라 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성잡화꿀과 농협안심야생꽃꿀은 모두 북부농업협동조합에서 소분하였고, 최종 품질등급도 2등급으로 같지만, 농협안심야생꽃꿀(100g당 3,290원)이 하성잡화꿀(100g당 1,905원)에 비해 가격이 약 1.7배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 잡화벌꿀과 프리미엄 벌꿀 잡화꿀은 모두 동아양봉원에서 소분하였고, 최종 품질등급도 1등급으로 같지만, 프리미엄 벌꿀 잡화꿀(100g당 2,400원)이 이마트 잡화벌꿀(100g당 1,730원)에 비해 약 1.4배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