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크리스토폴
 
 
 
카페 게시글
┃...◈ 임신♡육아 ◈..┃ 스크랩 [0~24개월] IQ 쑥쑥 좋아지는 젓가락&숟가락 훈련법
박동주다니엘 추천 0 조회 11 08.10.31 10:5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조몰락~ 조몰락~ 0~12개월

 

 

손의 운동능력이 제일 발달되는 시기예요!
태어나서 돌 전까지 아이들의 손은 가장 큰 변화를 겪는다. 뭐든 손에 잡히는 물건만 있으면 꼭 쥐려는 ‘파악반사’의 행동을 보이는 신생아기를 지나, 점차 목을 가누기 시작하는 3개월 무렵에는 손에 딸랑이를 쥐기 시작한다. 6개월부터는 팔의 근력을 이용해 손 닿는 곳에 놓인 장난감을 잡아 흔들기도 한다.
본격적인 변화는 검지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7개월부터. 손 기능의 50%를 차지한다는 검지를 사용하면서 아이는 보는 것에서 만지는 것으로 관심 분야가 옮겨간다. 손 조작 능력이 발달되면서 점차 섬세한 손놀림을 구사할 수 있다. 이때부터는 양손을 골고루 사용하도록 양손에 번갈아가며 장난감을 쥐어줘야 한다.
이런 걸 할 수 있어요!
01개월 손에 작은 고리를 놓아주면 혼자서 고리를 쥔다.
02개월 두 손을 함께 모으기 시작한다.
03개월 딸랑이를 칠 수 있다.
04개월 새끼손가락, 약지, 중지, 손바닥으로 주사위를 잡는다.
05개월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물건을 옮긴다.
06개월 양손에 하나씩 물건을 2개 쥔다.
08개월 과자를 혼자 집어 먹는다.
11개월 크레용을 손 사이에 넣고 적절하게 쥔다.
12개월 엄지와 검지로 콩알을 집는다.


젓가락 훈련법 1단계
아이가 젓가락에 익숙해지게 하세요
다양한 색상의 나무젓가락을 여러 개 쌓아둔 뒤 아이가 젓가락을 스스로 잡고 젓가락 두드리기 등 마음껏 갖고 놀게끔 한다. 젓가락을 익숙하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사인펜 놀이 등으로 손의 힘을 길러줘요
아이의 작은 손에 쉽게 잡히는 동그란 사인펜도 좋은 교구. 사인펜으로 낙서를 하면서 아이는 힘 조절, 속도와 방향 등 적절한 손 운동을 할 수 있다.
각이 진 나무젓가락부터 시작하세요
손의 근력이나 손가락 조절 능력이 약한 12개월 미만의 아이들에겐 손에서 쉽게 빠지는 쇠 젓가락보다는 잘 미끄러지지 않는 나무젓가락을 쥐어주는 게 좋다. 끝이 뾰족하지 않은 플라스틱 젓가락도 갖고 놀기에 좋다.


숟가락 훈련법 1단계
혼자 먹는 버릇을 들이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과자나 감자, 고구마 등의 간식을 아이가 혼자 먹게끔 유도한다. 음식을 집으려다 보면 자연스럽게 검지를 사용하게 되고, 점차 섬세한 손놀림을 익히게 된다.
숟가락에 호기심을 갖게 하세요
장난감들 사이에 알록달록한 플라스틱 숟가락을 놓아둔다. 아이는 호기심으로 숟가락을 찾아 손에 쥐는 연습을 하게 된다. 너무 무겁지 않고, 크지 않은 숟가락이 적당하다.
숟가락은 뒤쪽을 쥐어주세요
아이가 숟가락을 거꾸로 들지는 않는지 계속 확인한다. 뭐든 입에 넣으려는 습성상 손잡이 쪽을 입에 넣으려 하기 때문.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다시 손잡이를 쥐는 연습을 시켜야 한다.


“양손 놀이를 적극적으로 해주세요”
돌을 기점으로 아이들은 왼손, 오른손 중 주로 사용하는 손이 결정된다. 이 때부터 엄마들은 아이가 양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신경 써야한다. 오른손, 왼손 모두 사용해야만 아이의 양쪽 뇌가 골고루 발달할 수 있기 때문. 6~7개월 무렵부터는 ‘잼잼’, ‘곤지곤지’같은 양손 모두 필요한 손놀이를 함께 해주고, 이후엔 양쪽에 손잡이가 있는 컵을 아이 손에 쥐어줘 혼자서 컵을 들고 다니며 먹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 틈틈이 장난감을 오른손과 왼손 번갈아가며 쥐어주는 것도 잊지 말아야한다.


내 맘대로 뚝딱! 12~24개월

 

 

열 손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해요~
돌 이후부터는 손 조작 능력의 발달이 돋보이기 시작한다. 한 번에 두세 개의 물건을 쥐는가 하면, 웬만한 물건은 엄지와 검지로 정확히 집어낼 수 있다. 손과 눈의 협응력도 진일보해, 이전까지 갖고만 놀던 젖병 뚜껑을 정확히 젖꼭지 위에 얹어놓기도 한다. 블록 맞추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는 것도 이 때부터. 각기 다른 모양의 블록들의 형태를 인식하면서 짝이 맞는 부분에 끼우기도 한다. 18개월 이후부터는 손 조작 능력이 더욱 발달해 펜이나 연필 등을 자유롭게 쥐고 동그라미나 세모 등 다양한 도형을 그릴 수 있다. 숟가락질도 제법 할 줄 알게 된다. 점점 늘어나는 호기심만큼 손의 힘과 조절 능력, 눈과의 협응력 등도 발맞춰 성장한다.
이런 걸 할 수 있어요!
13개월 세 개 이상의 주사위를 그릇에 담는다.
14개월 한 번에 서너 장씩 책장을 넘긴다.
16개월 블록 3개로 탑을 쌓는다.
18개월 끈으로 구멍이 큰 구슬을 꿴다.
20개월 사탕 껍질을 혼자서 벗겨 먹는다.
22개월 블록 6개로 탑을 쌓는다.
24개월 종이를 한 번 접는다.


젓가락 훈련법 2단계
손에 가위를 쥐어주세요
엄지와 검지를 끼워 넣고 무언가를 오리는 가위질은 손의 소근육 강화에 한몫을 한다. 손가락의 근력이 강화되면서 젓가락질에 필요한 힘이 키워진다.
젓가락질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세요
엄마가 젓가락질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자주 보여줘야 한다. 엄마를 보면서 아이는 젓가락질에 호기심을 보이고, 급기야 따라 하고 싶은 마음에 젓가락질을 하게 된다.
젓가락을 포크처럼 사용하게 해보세요
아이 양손에 젓가락을 쥐어준 후 양손의 젓가락을 이용해 음식을 먹게 한다. 젓가락질에 앞서 손의 힘을 조절해 젓가락을 사용하면서 젓가락이 익숙해지게 만드는 요령이다.


숟가락 훈련법 2단계
숟가락을 놀이도구로 활용하세요
콩이나 시리얼 등이 담긴 볼과 오목한 부분이 넓은 숟가락을 준비해, 숟가락질을 하면서 아이에게 숟가락에 담긴 콩과 시리얼을 통해 부피개념을 익히게 해준다.
아이 숟가락을 선물해주세요
아이 손 크기에 맞는 숟가락을 구입해 아이에게 선물해주면서 “이게 OOO 숟가락이야!”라고 강조한다. 이후 아이에게 자주 이 숟가락을 주어 장난감처럼 친숙해지게 한다.
좋아하는 음식을 큰 덩어리로 준비하세요
18개월부터는 숟가락으로 혼자 먹는 연습을 시켜도 된다.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큰 덩어리로 잘라 볼 타입의 그릇에 담아낸 뒤, 아이가 직접 숟가락으로 먹게끔 유도한다.


“손가락 끝의 힘을 길러주세요”
손가락 조작 기술이 발달되는 이 시기엔 크레파스 놀이부터 그림 퍼즐 맞추기까지, 손끝의 힘을 강화할 수 있는 놀이를 해줘야 한다. 그림책을 볼 때도 아이 혼자서 책장을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하고, 사탕도 직접 포장을 풀어서 먹게끔 유도한다. 이전까지 블록을 쌓기 놀이로 했다면 이제부터는 블록을 끼워 맞추는 놀이로 전환한다. 퍼즐, 블록, 구슬 꿰기 등이 손가락의 미세한 기능을 강화시키기에 제일 좋은 놀잇감들이다. 이런 놀이들로 집중력과 사고력까지 발달시킬 수 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