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수의 계산
촌수는 방계(傍系. 형제 관계) 친척, 즉 내 직계를 제외한 "직계 형제들의 멀고 가까움을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촌수는 직계 혈족 간에는 따지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직계(直系) 혈족 간의 촌수는 나와 아버지 사이에만 존재하며 1촌이다(1 마디로 간주). 직계는 위로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등이고 아래로는 子·女(자녀), 孫子·女(손자녀), 증손자·녀(曾孫子女), 현손자·녀(玄孫子女) 등이다. 방계는 형제, 백·숙부모(아버지의 형제), 종백·숙부모,(아버지의 4촌형제), 재종백·숙부모(아버지의 6촌형제) 등이다.
형제간의 촌수(2촌)
나와 아버지간 촌수 1, 나의 형·아우와 아버지간 촌수 1, 둘 합해서 2촌이다.
종형제간의 촌수(4촌)
나와 아버지간 촌수 1, 아버지와 아버지 형제인 백·숙부간 촌수 2, 나의 종형제와 백·숙부모간 촌수 1, 셋 합해서 4촌이다.
쉽게 계산하는 촌수
아버지가 같으면 형제간으로 형제는 2촌이다(2촌 * 1대 = 2. 1대:아버지)
할아버지가 같으면 종형제간으로 종형제는 4촌이다(2촌 * 2대 = 4. 2대: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가 같으면 재종형제간으로 재종형제는 6촌이다(2대 * 3대 = 6. 3대: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가 같으면 삼종형제간으로 삼종형제는 8촌이다(2대 * 4대 = 8. 4대: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나만의 촌수 계산
나와 특정인의 촌수를 따질 경우에는 먼저 내 조상과 특정인 조상의 아버지를 찾는다[아버지가 같으면 형제간으로 2촌이다] 즉 나를 기준으로 거슬려 올라가서 몇 대·세 선조가 촌수를 따지고자 하는 두 사람 조상의 아버지인지를 파악한다. 예를들어 5대·세(5대·세 :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5대 할아버지)선조가 아버지일 경우는 10촌 간이 된다[2촌 * 5대·세 = 10]. 이 때 숙질간이면 9촌이 된다[숙:아재비 뻘 되는 사람 한테는 고조할아버지 즉 4대가 되고, 질:조카 뻘 되는 사람 한테는 5대 할아버지가 됨]. 보편적으로 사람들은 집안의 특정인과 정확히 촌수는 모르지만 형제간 항렬인지, 또는 숙질간 항렬인지는 잘 알고 있다.
촌수의 법칙
형제 관계 항렬의 촌수는 2촌(형제), 4촌(종형제), 6촌(재종형제), 8촌(삼종형제) 등으로 짝수로 늘어나며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숙질 관계 항렬은 1촌(숙·질간), 3촌(백·숙부간), 5촌(종백·숙부간, 7촌(재종백숙부간), 9촌(삼종백·숙부간) 등으로 홀수로 늘어나고 수직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형제간은 굳이 촌수로 따지면 2촌 이지만 촌수로 말하지 않는다. 그냥 형 또는 아우이다. 통상 10촌이 넘어가면 촌수를 따지지 않는다. 이유는 멀어서 촌수를 셈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동고조팔촌(同高祖八寸)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고조가 같으면 같은 형제 항렬끼리는 전부 8촌간이라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