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방 - 채만식
● 요점정리
* 갈래 : 단편 소설
* 배경 : 시간(광복 직후). 공간(서울)
* 성격 : 풍자적. 비판적. 해학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구성 :
발단 - 백 주사와 술잔을 기울이며 거들먹거리는 방상복
전개 - 광복 직후 미군 장교의 통역으로 취직해 출세길에 오른 방상복
절정 - 아들의 친일 행각으로 광복 직후 몰락한 백 주사가 방상복에게 복수를 부탁함
결말 - 자신이 뱉은 양칫물이 미군 장교에게 떨어져 다시 몰락하는 방상복
* 제재 : 광복 직후 사회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인물의 삶
* 주제 : 광복 직후 새롭게 진주한 외세에 기대어 출세를 지향하는 세태에 대한 비판
● 등장 인물
(1) 방상복 :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신기료 장수를 하고 있는 보잘것없는 처지였으나 영어를 조금 할 줄 안다는 것에 힘입어 광복 직후 진주한 미군 장교의 통역으로 취직해 출세길에 오른다.
(2) 백 주사 : 전형적인 친일파로, 광복이 되어 군중들에게 봉변을 당하고 재산을 빼앗긴 뒤 피신해 있다가 방상복을 찾아와 미군 장교의 도움으로 복수를 하고 일제 강점기에 누렸던 부(富)를 회복하고자 한다.
(3) S 소위 : 광복 직후 혼란한 우리 나라에 실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제3의 인물로, 방상복을 출세의 길로 들어서게 하는 미군 장교이다.
* 출전 : <대조>(1946)
● 줄거리
짚신 장수의 아들 방상복은 농사를 짓다 돈벌이를 하려 일본으로 떠났다가 한 10년 만에 더 초라해져서 돌아온다. 그 후 서울로 올라와 신기료 장수를 하던 방상복은 해방을 맞아 영어를 할 줄 아는 덕택에 미군 장교의 통역(미스터 방)이 된다. 방상복은 S 소위의 주선으로 호화 주택을 얻어 살게 되면서 그에게 청탁하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의 뇌물로 치부를 한다. 한편, 방상복과 같은 고향의 백 주사는 아들 백봉선이 일제 강점기에 경찰이었던 덕택에 지주이자 고리 대금업자로 치부를 하였는데, 해방이 된 후 부자가 함께 군중들의 습격을 받아 봉변을 당하고서는 서울로 피신을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방상복을 만난 백 주사는 방상복이 미군 장교의 통역 일을 한다는 걸 알자, 그 미군 장교의 도움으로 복수를 하고자 한다. 백 주사가 방상복에게 청탁을 하자, 방상복은 들어 주겠노라 장담하고 나서 양치질을 하고는 그 물을 노대 바깥으로 내뱉었는데, 마침 방상복을 찾아오던 미군 장교가 그 양칫물을 뒤집어쓰고는 방상복에게 욕을 하고 주먹질을 해 댄다.
● 작품 이해하기
이 작품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는 인물은 주인공 미스터 방(방상복)과 그에게 개인적인 복수를 청탁하기 위해 찾아온 백 주사 두 사람이다. 방상복은 일제 강점기에 외국을 돌아다니기는 하였으나 신기료 장수를 하고 있은 보잘것없는 인물로, 영어를 조금 할 줄 안다는 것에 힘입어 광복 직후 진주한 미군 장교의 통역으로 취직해 출셋길에 오른다. 백 주사는 전형적인 친일파로 광복이 되어 군중들에게 봉변을 당하고 재산을 빼앗긴 뒤 피신해 있다가 방상복을 찾아와 미군 장교의 도움으로 외세(미국)에 빌붙어 출세를 도모하는 주인공과 같은 모리배들과 친일로 치부했다가 다시 새로운 외세를 이용하여 그 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백 주사와 같은 친일파들을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인공에게 찾아와 뇌물로 청탁을 하는 상류층들, 그러한 부조리를 용인하는 미군정 등이 이 작품의 풍자 및 비판의 대상이 되는데, 지은이는 이를 통해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사회상과 인간상을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