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지는 시작점 1번에서 귀바퀴를 돌린다
나머지 손가락 사지는 앵글로스 와 승장 사이에 두고
손 가락전체의 압을 같게 하여 서서히 돌리후
후 이복근을 유양돌기로 부드럽게 4지로끌어올린다.
3번테크닉은 프로 픈더스와 흉쇄유근을 자극하는 관리로
터미누스로 내려주면 얼굴의 부기및. V라인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실겁니다.
멀미는 귀 속에 있는 몸의 평형감각을 조절하는 부위에 이상이 생기면서 식물신경
을 흥분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항히스타민제란 알레르기 질환의 한 원인인 히스타민의 작용에 길항하는 약제로서 항히스타민 작용 외에 국소마취 ·교감신경차단 ·부교감신경차단 ·진정 ·진토작용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알레르기증 ·기관지천식 ·두드러기 ·약물진·혈청병 외에, 감기의 초기나 차멀미에 쓰이지요.
또 연고제로서 알레르기성 피부병에도 쓰이는데 내복을 할 때는 졸음이 오거나 소화불량 ·흥분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최근 밝혀진 바에 의하면 멀미를 진정시키는데 흔히 사용하는 항히스타민제인 드라마민(Dramamin)보다 생강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됐다고 합니다.
특히 생강은 뇌에 작용하지 않고 장에 작용하기 때문에 드라마민처럼 졸음을 가져오는 법이 없다나요.
붙이는 멀미약을 귀 밑에 붙이면 반고리관을 마비시켜서 차나 배가 흔들릴때의 감각을 반고리관이 못 느끼도록 해 줍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붙이는 멀미약은 귀밑 반고리관 위 피부에 붙이게 되는데 이는 피부를 통해서 스코폴라민이란 성분이 일정하게 흡수되어 일정한 유효 혈중 농도를 유지시키고 중추신경계로 들어오는 내이신경섬유의 망상체에 있는 구토반사중추를 억제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 : 이 세가지 큰 침샘에서 분비부위와 그에 이어진 도관부위의 일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
귀밑샘은 순수한 장액샘으로서 그 분비물은 사이관 줄무뉘관 소엽사이관을 거쳐 차례로 엽사이관으로 모아지고,,
이어서 주도관을 통하여 입안으로 배출된다.
턱밑샘은 장액샘포가 우세한 혼합샘으로서 장액샘으포에서 분비된
믈질은 사이관을 거쳐 줄무늬 관 으로, 그리고 점액샘포와 혼합샘포의 분비물은 직접 줄무늬 관을 통하여 소엽사이관으로 배출 된다,
혀밑샘은 점액샘포가 우세한 혼합샘으로서 점액샘포와 혼합샘포의 분비물은 소엽속에까지 연장되어 들어온 소엽사이관으로 직접 배출되며, 장액샘포에서 분비된 물질은 짧은 사이관 줄무의관을 거쳐 소엽 사이관으로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