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자연요법 사랑지기
 
 
 
 
 
카페 게시글
┗겨레의 뿌리를 찾아서 스크랩 [15]백제: 마한 지역에 건국을 한 부여-고구려의 분파
주임교수 추천 8 조회 120 14.01.06 06:0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5]백제: 마한 지역에 건국을 한 부여-고구려의 분파

[홍원탁의 동아시아사 바로보기]
Paekche: An Offshoot of the Puyeo-Koguryeo in Ma-han Land

 

홍원탁 wthong@wontockhong.pe.kr

 

거의 대부분의 일본 사학자들은, 야마토 왕국이 4세기 중 어느 때인가 일본열도에 수립되었다는 설을 받아드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그 전제 하에 자신들이 즐기는 얘기를 전개하기 위해), 백제와 신라 역시 4세기 중에 수립되었다고 억지 주장을 한다. 하지만 야마토 조정이 797년과 815년에 편찬 완료한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기록들은, 백제가 4세기 중에 세워졌다는 현대 일본 사학자들의 주장과는 명백하게 상치한다. 4세기 이전의 삼국사기 기록을 모조리 못 믿겠다는 일본 사학자들의 주장을 반박하는데 어째서 이런 사료가 거론이 안 되는지 불가사의 한 세상인 것 같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편집자 주


   
▲ Koguryeo Tomb of General 將軍塚, Ji’an (top), and Paekche Seok-chon-dong 石村洞 Tomb No. 4. with supporting stones 支撑石, Seoul (bottom)

Paekche: An Offshoot of the
Puyeo-Koguryeo in Ma-han Land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The Samguk-sagi records that Chu-mong came down from the Northern Pyueo to the Chol-bon Puyeo area (around the Hun-Yalu river valleys) to found the Koguryeo dynasty, and also that a son of Chumong and his followers came down to the Han River basin area to found the Paekche Kingdom. The majority of the Paekche population was apparently composed of the Ma-han people. The Paekche rulers had maintained the court ritual of presenting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and also to the shrine of Tong-myung, the legendary founder of both Puyeo and Koguryeo (identified as Chu-mong by the Samguk-sagi who was the father of Onj o, the official founder of Paekche kingdom). Paekche later moved its capital further south to Sabi at the Kum River basin area in 538, calling itself, even briefly, the Southern Puyeo.

According to the Dongyi-zhuan, a large number of Han Chinese was taken prisoner by the Han people sometime between 17-19 AD.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Onj o (18 BC-28 AD), the founder of the Paekche kingdom. The Dongyi-zhuan further records that the allied forces of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under the dominion of Wei) launched a large scale attack against the Han River basin area in 246. In the ensuing battle, the governor of Dai-fang was killed.1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234-86) in Paekche. By the mid-third century, Paekche seems to have been actively expanding and consolidating its power base around this area. This attack by the Le-lang and Dai-fang forces was apparently to disrupt and prevent the unification of tribal chiefdoms under the emerging leadership of the Paekche.2 The Dongyi-zhuan, however, simply records that Paekche was one  of the Ma-han states in the Three Han area.

In 260, King Koi appointed six ministers to handle specified administrative functions, established sixteen grades of official rank, and prescribed colors for official dress in accordance with rank. In 262, King Koi decreed that officials who accepted bribes or practiced extortions would be expelled from office after paying a three-fold penalty. The king received his subjects in majestic attire. Such a conspicuous performance by King Koi, as was recorded in the Samguk-sagi, coupled with his military exploits against the Le-lang and Dai-fang allied forces, seems to have made the Zhou-shu record him (K‛iəu-yi) as “the founder of Paekche in the Dai-fang area (see CCI, p. 618).” 3

By the time King Mi-cheon of Koguryeo conquered the Le-lang Commandery in 313, Paekche came to occupy the Dai-fang Commandery. With the final southward flight of the Jin court in 317, the Han Chinese went out of the picture.

Paekche under the reign of the warrior kings Keun Chogo and Keun Kusu represents the most expansionist era (346-384) for the kingdom. In Samguk-sagi, the expression‎ of “King Keun Chogo and (or let) Crown Prince Kusu” very conspicuously appears three times. One  can find such an expression‎ in Nihongi also. According to the Samguk-sagi, Keun Kusu, in the year 369 as the Crown Prince, routed the 20,000-man-strong Koguryeo army and captured five thousand Koguryeo soldiers. In November 369, the King held a grand military parade south of the Han River, fluttering yellow flags [just like the Chinese emperors]. The conquest of the entire Ma-han area occurred immediately thereafter. In 371, King Keun Chogo, together with the Crown Prince, invaded Koguryeo with 30,000 troops, and King Koguk-won (331-371) of Koguryeo was killed by an arrow in a battle at Pyung-yang. In 377, King Keun Kusu led thirty thousand soldiers and attacked Pyung-yang.4 Before the appearance of King Kwang-gae-to the Great in 391, Koguryeo had constantly been battered by Paekche.

According to the Jin-shu (in Annals), an embassy from Paekche had arrived at the court of Eastern Jin in 372, and then a Jin envoy was sent to the Paekche court, granting Keun Chogo the title of “General Stabilizing the East and Governor of Le-lang.”5 The Samguk-sagi records that Keun Chogo sent another embassy to the Eastern Jin in 373. Jin-shu also records the arrival of a Paekche mission in 384. The Jin-shu records that the title of “Commissioner Bearing Credentials, Inspector-General, General Stabilizing the East, and King of Paekche” was granted to King Chim-nyu in 386. 6

These represent the earliest diplomatic contacts (between Paekche and Chinese dynasties) formally recorded in a Chinese dynastic history.7 Unlike Koguryeo that bordered upon the dynasties of mainland China an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namely, frequent warfare) with them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any detailed historical accounts relating to Paekche (or Silla) are absent from the Chinese dynastic chronicles prior to these Jin-shu records. Furthermore, one  has yet to recognize the fact that Jin-shu records all these contacts with the Paekche kingdom in its Annals onl y. In its “Barbarian Section” of Lie-zhuan (Biographies 67), a careless copy of Dongyi-zhuan, it solely mentions the extinct Ma-han and Chin-han as if Paekche (or Silla) does not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itual acts of presenting nominal tributes and awarding grand titles in return enhanced the prestige of the rulers of both Paekche and the dynasties of mainland China, providing symbolic support for dynastic self-esteem and respective claims of legitimacy.8

By the turn of the fifth century, King Kwang-gae-to of Koguryeo overran Paekche’s capital (in 396). His son, King Changsu (413-91), moved the capital southward in 427 from the narrow mountain valleys of Yalu to Pyung-yang at the Tae-dong River basin, and seized the Paekche capital at Han-song in 475, beheading King Kaero. After the loss of the Han River basin to Koguryeo, Paekche had to relocate its capital south to Ung-jin.

Under the reign of Mu-nyung (501-23), Paekche was fully recovered from the aftermath of disastrous defeat of 475. Silla, however, occupied the Han River basin in 553, opening a direct sea route to China. Silla at last extinguished the entire Kaya Federation by conquering Tae Kaya in 562, and encircled the entire land frontiers of Paekche. After Silla’s occupation of the Han River basin, Silla became Paekche’s primary foe.

When King Mu (600-641) of Paekche died, Tai-zong of Tang himself donned white robes and issued a statement of grief at the Xuan-wu Gate in the northern wall of the capital city.9 King Uija (641-660) of Paekche captured more than 40 Silla castles in 642 and, forming a military alliance with Koguryeo, laid a joint siege upon the Tang-hang Fortress at the mouth of the Han River in 643 in order to cut off the Silla’s access to the Yellow Sea. Queen Sun-duck (632-47), the first of the three woman rulers of Silla, sent a desperate memorial to the Tang court. Best (1982: 482) quotes Ce-fu Yuan-kui: Tai-zong promised to take some concrete measures to stop their aggression, but could not help voicing to the envoy his opinion that Silla’s troubles might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kingdom was ruled by a woman and consequently lacked the respect of its neighbors.”10 What an odd prophecy to be uttered by Tai-zong on the impending fate of Tang under the Empress Wu!

DATING THE FOUNDATION OF THE PAEKCHE KINGDOM

Since virtually all Japanese historians accept the thesis that the Yamato kingdom was established in the Japanese islands sometime during the fourth century, they want to believe that the Paekche and Silla kingdoms also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sometime during the fourth century.

Shoku-Nihongi was finished by the Yamato court in 797. It is the official history of the Yamato kingdom covering the period between 697 and 791. Its record for the ninth year of Kanmu (781-806) states that Kanmu’s mother was an offspring of the Paekche King Mu-nyung (501-23). The record also tells that Chu-mong (the founder of Koguryeo who was the father of the Paekche’s founder) was born to the daughter of River God (Habaek). It further declares that Kanmu’s mother was therefore a descendant of Chu-mong. The records of Shoku-Nihongi on the following year state that King Keun Kusu (375-84) was the “sixteenth” king of Paekche when counted from the Paekche’s great ancestor, Chu-mong.11 Shouku-Nihongi apparently regards Chu-mong as the symbolic founder of Paekche.

The Samguk-sagi regards Onj o (the third son of Chu-mong) as the official founder of Paekche. Samguk-sagi further records that King Keun Kusu was the fourteenth king of Paekche when counted from Onj o. That is, according to the Samguk-sagi, King Keun Kusu (375-84) should be the “fifteenth” king if counted from Chu-mong. The Chewang-un’gi, a Korean chronicle compiled in 1287, states, however, that Onj o’s elder brother (Chumong’s second son) was the first king of Paekche, who died five months after enthronement. That is, there was an ephemeral king between Chu-mong (the symbolic founder of Paekche) and his third son Onj o who should have been recorded as the official founder of Paekche. Such a possibility was indeed acknowledged by the Samguk-sagi itself in a footnote. According to the Chewang-un’gi, however, the Samguk-sagi should have recorded Onj o as the second king and his elder brother as the official founder of Paekche in the main text instead of suggesting such a possibility in the footnote as a mere conflicting story. 12

The Shinsen Shoujiroku (A New Compilation of Clan Register) was finished by the Yamato court in 815 under the auspices of King Saga (786-842). It records that King Munju(475-77) was the “twenty-fourth” king of Paekche when counted from Chu-mong while the Samguk-sagi places him as “twenty-second” king of Paekche counted from the official founder, King Onj o.13

Unlike the tradition of Samguk-sagi, the tradition of both Shoku-Nihongi and Shinsen Shoujiroku that were compiled by the Yamato court was to have Chu-mong stand for the symbolic founder of Paekche. Furthermore, the latter two records apparently do not regard Onj o as the de facto founder of Paekche, or as the second king of Paekche when counted from Chu-mong but regard him, just like the Chewang-un’gi, as the third king of Paekche.14 In any case, these records of the extant Japanese chronicles clearly contradict the arguments of modern Japanese historians that Paekche was established in the fourth century.


BIBLIOGRAPHY


[각주]

1 三國志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韓傳 魏略曰 王莽地皇時(20-22) …我等漢人…爲韓所擊得…皆斷髮爲奴 積三年矣…景初中(237-9) 明帝…越海定二郡…臣智激韓忿 攻帶方郡…時太守弓遵 樂浪太守劉茂 興兵伐之 遵戰死

2 See Lee (1984: 36-37).

3 周書 卷四十九 列傳 第四十 一 異域上 百濟者 其先蓋馬韓 之屬國 夫餘之別種 有仇台者始 國
晉書 卷九十七 列傳 第六十七 四夷 馬韓 武帝太康元年 二年 其主頻遣使入貢方物 七年八年 十年 又頻至... 咸寧三年復來

The Jin-shu, in Biographies, records the embassies to the Jin court sent by a certain king of Ma-han in 277, 280 and 281 that must have been King Koi.

4 近肖古王 二十四年 秋九月 高句麗王斯由帥步騎二萬 來屯雉壤 分兵侵奪民戶 王遣太子以兵徑至雉壤 急擊破之 獲五千餘級 其虜獲分賜將士 冬十一月 大閱於漢水南 旗幟皆用黃 二十六年 高句麗擧兵來 王聞之伏兵於浿河上 俟其至急擊之 高句麗兵敗北 冬 王與太子帥精兵三
萬 侵高句麗攻平壤城 麗王斯由 力戰拒之 中流矢死 (S2: 31)

神功 攝政卌九年 … 於是其王肖古及王子貴須 亦領軍來會. . .四邑自然降服 是以百濟王父子及荒田別木羅斤資等…(NII: 357)

近仇首王 三年 王將兵三萬 侵高句麗平壤城 (S2: 32)

辰斯王 六年 九月 王命達率眞嘉謨伐高句麗 拔都坤城 虜得二百人 (S2: 45)

5 晉書 卷九 簡文帝 二年 六月 遣使拜百濟王餘句 爲鎭東將軍 領樂浪太守

Among the five stone-mounded tombs excavated south of Han River at Seok-chon-dong, Seoul, the largest one  (Tomb No. 3) may be the grave of King Keun Chogo. The step-pyramid design of these tumuli compares closely to the stone tombs of Koguryeo in the Tong-gou region including the
one believed to be the grave of King Kwang-gae-to. See Best (2002: 183-89).
6 晉書卷九 孝武帝 十一年 以百濟王世子餘暉爲使持節 都督 鎭東將軍 百濟王

7 Best (1979: 128) and (1982: 453).

8 Prior to 567, with the exception of the single embassy sent to the Northern Wei court in 472 (inciting Wei to take military action against Koguryeo), the exchange of emissaries was conducted exclusively with the southern dynasties. Perhaps the existence of a Paekche colony in the Liao-xi area had prevented an early development of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Paekche and northern dynasties. Paekche sent more than 63 missions to the courts of mainland China during 372-652. See Best (1982: 452).

9 Best (1982: 480)

舊唐書 東夷列傳 百濟 武德十五年 璋卒 …太宗素服哭之 新唐書 帝爲擧哀玄武門

10 冊府元龜 卷九九一 外臣部 備禦四 貞觀十七年 九月 帝謂使人曰…爾國以婦人爲主爲隣國輕侮
11 續日本紀 桓武天皇 延曆 八年 . . .皇太后 姓和氏諱新笠 . . . 后先出自百濟武寧王之子純陀太子 . . . 其百濟遠祖都慕王者 河伯之女 感日精而所生 皇大后 卽其後也 . . . 延曆九年七月 . . . 貴須王者 百濟始興第十六世王也 夫 百濟大祖都慕大王者 日神降靈 奄扶餘而開國 . . . 諸韓而偁王 (NS 5: 448-52, 468-72)

12 帝王韻紀 百濟始祖名溫祚 . . . 與母兄殷祚南奔立國 殷祚立五月而卒

三國史記 百濟本紀 第一 一云 始祖沸流王 . . .北扶餘王解扶婁庶孫 母召西奴 卒本人延陀勃之 女...生子二人 長曰沸流 次曰溫 祚 寡居于卒本 後朱蒙不容於扶 餘...南奔至卒本 立都 號高句麗 娶召西奴爲妃...及朱蒙在扶餘所 生禮氏子孺留來 立之爲太子..於是沸流謂弟溫祚曰. . . 我母氏傾 家財助成邦業...不如奉母氏南遊 卜地 別立國都 與弟率黨類 . . .至彌鄒忽以居之 (S2: 15)

13 It also records that King Hye was the thirtieth king of Paekche when counted from Chu-mong while the Samguk-sagi records him as the twenty-eighth king of Paekche counted from King Onj o.

新撰姓氏錄 第三帙 左京諸蕃下 百濟朝臣 出自百濟國都慕王三十世孫惠王也 百濟公 出自百濟國都慕王二十四世孫汶淵王也 石野連 出自百濟國人近速王孫憶賴福留也 (SS: 286-287)

14 The Shinsen Shoujiroku records a clan that has the seventh king of Paekche, Saban (234 AD), as its progenitor. It further records two clans that have King Piryu (the eleventh King of Paekche, 304-344) as their progenitor who was, the Shinsen Shoujiroku specifies, the descendant of King Chogo (the fifth King of Paekche, 166-214). It records a clan that has a descendant of the thirteenth King of Paekche, Keun Chogo (346-375) as its progenitor. We can see that the Shinsen Shoujiroku records the Paekche kings who, according to the Samguk sagi, ruled during 166-214 (King Chogo) and in 234 (King Saban) as the progenitors of some Yamato ruling clans. Furthermore, we can see that the Shinsen Shoujiroku clearly distinguishes Keun Chogo (the thirteenth King) from Chogo (the fifth King) by recording that the eleventh King Piyu was a descendant from the latter.

新撰姓氏錄 第三帙 右京諸蕃下 春野連 出自百濟速古王孫比流王也 汶斯氏 春野連同祖 速古王孫比流王之後也 半毗氏 百濟國沙半王之後也 (SS: 301, 304)

http://www.wontackhong.pe.kr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백제: 마한 지역에 건국을 한 부여-고구려의 분파


홍원탁 (서울대 교수)


삼국사기는 주몽이 북부여(北夫餘)로부터 훈강-압록강 계곡 주변의 졸본부여(卒本夫餘) 땅으로 내려와 고구려를 세웠는데, 주몽의 둘째, 셋째 아들과 그 추종자들이 한강 유역으로 내려가 백제를 세웠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당시 백제 왕국 백성들의 대다수는 워낙 그곳에 살고 있던 마한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백제의 지배자는 천지(天地)에 제사를 지냈으며, (부여와 고구려 모두의 시조인) 동명 사당에도 제사를 지냈다. 1 백제는 그후, 538년에 금강 유역의 사비성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잠시나마 국호를 남부여라 불렀다.

위서 동이전에 의하면, AD 17-19년 기간 중, 상당히 많은 한족들이 삼한 사람들에게 포로로 잡혔던 것 같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당시는 바로 백제 시조 온조(溫祚, BC 18-AD 28)의 재위 기간 중이었다 동이전은 또, 위(220-65) 나라가 접수한 낙랑군과 대방군의 연합군이 246년경에 한강 유역을 대규모로 공격하였다고 말한다. 그 전투에서 대방군 태수가 전사했다. 2 백제가 한강 유역에서 기반을 다지며 적극적으로 영토를 확장해 나갔던 시기는 3세기 중엽 고이왕(古爾王, 234-86)의 재위 기간인 것으로 보인다. 낙랑-대방 연합군의 공격은, 백제의 주도로 주변 부족들이 통합되는 것을 저지하려는 의도에서 나왔을 것이다. 3 그런데 동이전은, 백제를 당시 삼한 지역의 마한에 속해 있던 수많은 국가들 중의 하나로만 기록을 하고 있다.

260년, 고이왕은 정해진 업무를 분장하는 6부의 대신을 임명하고, 16품계의 관위를 만들고, 직위에 따라 관복의 색깔을 지정하였다. 고이왕은 이어 262년에, 뇌물을 받거나 백성을 상대로 갈취를 한 관리들을, 세 배의 벌과금을 징수한 다음, 파면토록 했다. 왕은 장엄한 의상을 입고 신하들을 접견했다. 삼국사기가 기록하고 있는 고이왕의 이 같은 인상적 행동은, 낙랑-대방 연합군에 대한 군사적인 업적과 결부되어, 주서(周書)로 하여금 고이왕을 “대방지역에서 백제를 세운 시조”라고 기록하게 만든 것 같다. 4

313년, 고구려의 미천왕이 낙랑군을 정복하자, 백제는 대방군을 점령하였다. 317년, (서)진이 망해 남쪽으로 도망을 치면서 한족들은 그로부터 250년 이상 북중국 무대에서 자취를 감추게 된다.

근초고(近肖古)왕과 그의 아들 근구수(近仇首)왕의 재위기간(346-84) 중, 백제는 그 역사상 가장 큰 영토 확장을 이룩했다. 우리는 삼국사기에서 「근초고왕과 태자 구수」라는 표현을 여러 번 보며, 일본서기(日本書紀)에서도 그런 특이한 표현을 본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근초고왕이 369년에 태자에게 2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군을 습격하도록 해, 5천 명의 포로를 잡는 전과를 올렸다 그해 11월, 왕은 한강 남쪽에서 (마치 중국의 황제처럼) 황색기를 날리며 웅장하게 사열식을 거행했다. 곧이어 마한 전 지역을 정복하였다. 371년, 근초고왕은 태자와 함께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했고, 고구려 고국원왕(故國原王, 331-71)은 평양 전투에서 화살에 맞아 죽었다. 377년에도 근구수왕은 3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평양을 공격했다. 5 391년에 광개토대왕이 출현하기 전까지는 고구려가 계속 백제에 의해 깨진 것 이었다.

진서의 연대기는 백제 사신이 372년에 동진(東晋) 조정에 도착했고, 진 조정은 백제 조정에 사신을 보내 근초고왕에게 진동(鎭東) 장군 낙랑태수의 칭호를 수여했다고 기록을 하고 있다. 6 삼국사기는 근초고왕이 373년에 또 동진에 사신을 보냈다고 기록을 했고, 진서에는 백제의 사신이 384년에 도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서는 386년에 또 침류왕(枕流王)에게 사지절 도독, 진동장군, 백제왕의 칭호를 수여한 것으로 기록을 하고 있다. 7

이상은 중국 정사에 정식으로 기록된, 백제와 중국 왕조 사이에 오고 간 최초의 외교적인 접촉이 된다. 8 건국 초부터 중국 본토와 경계를 맞대며 밀접한 관계(즉, 잦은 무력충돌)를 지속한 고구려와는 달리, 진서의 기록 이전에 백제(혹은 신라)에 대해 자세히 기술을 한 중국 왕조의 정사는 하나도 없다. 하긴 진서의 백제에 관한 기록도 단지 연대기에만 있을 뿐이다. 위서 동이전을 무성의하게 베껴 놓은 진서 열전(제67)은, 마치 한반도에 백제(혹은 신라)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마한-진한 얘기만을 하고 있는 것이다.

명목상으로 조공을 보내고, 그 답으로 거창한 칭호를 수여하는 의식적 관행은 백제와 중국 본토 왕조의 위신을 모두 높여 주고, 각자의 자존심과 정통성 주장을 상징적으로 지원을 해 주는 효과가 있었다. 9

5세기가 될 무렵(396년), 광개토왕은 백제의 수도를 공격했다. 그의 아들 장수왕(長壽王, 413-91)은 427년에 수도를 비좁은 압록강 계곡에서 대동강 유역의 평양으로 옮겼다. 475년에는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蓋鹵王)을 죽여버렸다. 고구려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긴 백제는 수도를 남쪽 웅진으로 옮겨야 했다. 백제는 무녕왕(武寧王, 501-23)대에 이르러, 475년의 참패에 따른 재앙으로부터 완전히 회복을 했다. 하지만 신라가 553년에 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중국으로의 뱃길을 열었다. 신라는 562년의 대가야 정복으로, 가야 연맹을 모두 합병하게 되었고, 백제의 모든 국경을 신라가 둘러싸게 되었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이후, 신라는 백제의 주적이 되었다.

백제 무왕(武王, 600-41)이 죽었을 때, 당 태종이 몸소 소복을 하고 수도 장안의 북쪽 현무문(玄武門)에서 애도식을 거행했다고(곡을 했다고) 구당서는 기록을 하고 있다. 10 642년에 백제 의자왕(義慈王, 641-60)은 신라의 성들을 40여 개나 빼앗고, 신라의 황해 출구를 제거하려고 고구려와 군사 동맹을 맺어 643년에는 한강 어귀의 당항성(黨項城)을 포위 공격했다. 그러자 (신라 여왕 세명 중 첫 번째인) 선덕(善德, 632-47)여왕은 당 조정에 필사적인 탄원서를 보냈다. 책부원귀(冊府元龜)는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고 있다: “당 태종은 백제-고구려의 침략을 저지할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겠노라고 약속을 하면서, 사신에게, 신라의 재난은 나라를 여왕이 다스리기 때문에 이웃으로부터 존경을 받지 못해 야기된 것이 아니냐는 말을 덧붙였다.” 11 바로 얼마 후에 전개되는 측천무후(則天武后) 치하의 당나라 운명을 앞두고 당 태종이 얼마나 기묘한 예언을 한 셈인가?

백제 왕국의 창건 년도

거의 대부분의 일본 사학자들은, 야마토 왕국이 4세기 중 어느 때인가 일본열도에 수립되었다는 설을 받아드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그 전제 하에 자신들이 즐기는 얘기를 전개하기 위해), 백제와 신라 역시 4세기 중에 한반도에 수립되었다고 주장을 하며 믿으려 한다.

속일본기(續日本紀)는 야마토 조정에 의해 797년에 편찬 완료되었다. 이는 697-791년 기간 중 야마토 왕국 역사의 공식적인 기록이다. 간무(桓武, 781-806) 9년 조를 보면, 간무의 모친은 백제 무녕왕의 후손이고, (고구려의 시조이며 백제 시조 온조의 부친인) 주몽은 하백(河伯)의 딸에게서 태어났고, 간무의 어머니는 바로 주몽의 후예라고 말한다. 속일본기의 그 다음해 기록을 보면, 근구수왕이 백제 원조(遠祖, 大祖) 주몽으로부터 헤아려서 16대 왕이라고 말한다. 12 속일본기는 주몽을 백제의 상징적인 시조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삼국사기는 주몽의 셋째 아들인 온조를 백제의 공식적인 시조로 간주하며, 근구수왕을 온조로부터 헤아려서 14대 왕으로 기록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근구수왕을 주몽으로부터 세어 본다면 “15대” 왕이 된다. 그런데 1287년에 편찬된 제왕운기(帝王韻紀)에 의하면, (주몽의 둘째 아들인) 온조의 형이 백제의 첫 번째 왕이 되었고, 즉위한지 다섯 달 만에 죽었다. 그렇다면 (백제의 상징적인 시조) 주몽과 그의 셋째 아들인 온조 사이에 단명한 왕이 하나 있었고, 그가 바로 백제의 공식적 시조로 기록되었어야 한다. 삼국사기의 각주에서도 이러한 가능성을 기록하고 있다. 제왕운기를 따른다면, 삼국사기는 단지 각주에다 한 개의 이설로 기록을 할 것이 아니라, 마땅히 본문에 온조를 백제의 2대 왕으로, 또 그의 형을 백제의 공식적인 시조로 기록을 해야 한다. 13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은, 사가(嵯峨, 809-23)의 후원 하에, 야마토 조정에 의해 815년에 편찬 완료되었다. 신찬성씨록은 문주왕(文周王, 475-77)이 주몽부터 헤아려서 “24대” 왕이라고 기록을 하고 있다. 반면 삼국사기에 의하면, 문주왕이 (백제의 공식적 시조) 온조로부터 헤아려 22대 왕이다. 14 삼국사기의 전통과는 달리, 야마토 조정이 편찬한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전통은 주몽을 백제의 상징적인 시조로 간주하였다. 이들은 모두 온조를 백제의 시조로 간주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왕운기식으로, 온조를 주몽부터 세어 백제의 3대 왕으로 간주한 것 같다. 15 온조가 주몽으로부터 세어 2대 왕이건 3대 왕이건 간에, 야마토 조정이 편찬한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기록들은, 백제가 4세기에 세워졌다는 현대 일본 사학자들의 주장과는 명백하게 상치하는 것이다.

4세기 이전의 삼국사기 기록을 모조리 못 믿겠다는 일본 사학자들의 주장을 반박하는데 어째서 이런 사료가 거론이 안 되는지 불가사의 한 세상인 것 같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15 (2005. 4 2)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삼국사기는 (백제의 공식적 시조 온조의 부친인) 주몽을 동명으로 간주하고 있다.

2. 三國志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韓傳 魏略曰 王莽地皇時(20-22) …我等漢人…爲韓所擊得…皆斷髮爲奴 積三年矣…景初中(237-9) 明帝…越海定二郡…臣智激韓忿 攻帶方郡…時太守弓遵 樂浪太守劉茂 興兵伐之 遵戰死

3. Lee (1984: 36-37) 참조

4. (CCI: 618) 참조. 진서의 지(志)에는 마한의 어떤 왕이 277년, 280년, 그리고 281년에 진나라에 사신을 보낸 기록이 있다. 아마도 고이왕 이었을 것이다 晉書 卷九十七 列傳 第六十七 四夷 馬韓 武帝太康元年 二年 其主頻遣使入貢方物 七年八年 十年 又頻至... 咸寧三年復來


5. 近肖古王 二十四年 秋九月 高句麗王斯由帥步騎二萬 來屯雉壤 分兵侵奪民戶 王遣太子以兵徑至雉壤 急擊破之 獲五千餘級 其虜獲分賜將士 冬十一月 大閱於漢水南 旗幟皆用黃 二十六年 高句麗擧兵來 王聞之伏兵於浿河上 俟其至急擊之 高句麗兵敗北 冬 王與太子帥精兵三萬 侵高句麗攻平壤城 麗王斯由 力戰拒之 中流矢死 (S2: 31)
神功 攝政卌九年 … 於是其王肖古及王子貴須 亦領軍來會. . 四邑自然降服 是以百濟王父子及荒田別木羅斤資等…(NII: 357)
近仇首王 三年 王將兵三萬 侵高句麗平壤城 (S2: 32)
辰斯王 六年 九月 王命達率眞嘉謨伐高句麗 拔都坤城 虜得二百人 (S2: 45)

6. 한강 남쪽 석촌동(石村洞)에서 발굴된 5개의 적석고분(積石古墳) 중 가장 큰 3호 분은 근초고왕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계단식 피라미드 형태의 고분은, 광개토왕의 것으로 믿어지는 고분을 포함하여, 통구(通溝) 지역의 고구려 고분들과 상당히 유사하다. Best (2002: 183-89) 참조

晉書 卷九 簡文帝 二年 六月 遣使拜百濟王餘句 爲鎭東將軍 領樂浪太守

7. 晉書 卷九 孝武帝 十一年 以百濟王世子餘暉爲使持節 都督 鎭東將軍 百濟王

8. Best (1979: 128) 와 (1982: 453) 참조.

9. 북위에게 고구려를 공격하라고 부추기려고 472년에 북위로 단 한번 사절을 보낸 것을 제외하고는, 사신의 교환은 567년까지 전적으로 남쪽의 왕조들하고만 이루어졌다. 아마도 요서에 위치한 백제 식민지의 존재가 백제와 북중국 왕조 사이에 우호관계의 발전을 저해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는 372-652년 기간 중 여러 중국 조정에 63번 이나 사절을 보냈다. Best (1982: 452) 참조

10. Best (1982: 480) 참조.

舊唐書 東夷列傳 百濟 武德十五年 璋卒 …太宗素服哭之 新唐書 帝爲擧哀玄武門

11. Best(1982: 482) 참조.

12. 續日本紀 桓武天皇 延曆 八年 . . .皇太后 姓和氏諱新笠 . . . 后先出自百濟武寧王之子純陀太子 . . . 其百濟遠祖都慕王者 河伯之女 感日精而所生 皇大后 卽其後也 . . 延曆九年七月 . . . 貴須王者 百濟始興第十六世王也 夫 百濟大祖都慕大王者 日神降靈 奄扶餘而開國 . . . 諸韓而偁王 (NS 5: 448-52, 468-72)

13. 帝王韻紀 百濟始祖名溫祚 . . . 與母兄殷祚南奔立國 殷祚立五月而卒

三國史記 百濟本紀 第一 一云 始祖沸流王 . . 北扶餘王解扶婁庶孫 母召西奴 卒本人延陀勃之 女..生子二人 長曰沸流 次曰溫 祚 寡居于卒本 後朱蒙不容於扶 餘..南奔至卒本 立都 號高句麗 娶召西奴爲妃..及朱蒙在扶餘所 生禮氏子孺留來 立之爲太子.於是沸流謂弟溫祚曰. . 我母氏傾 家財助成邦業..不如奉母氏南遊 卜地 別立國都 與弟率黨類 . . 至彌鄒忽以居之 (S2: 15)

14. 삼국사기가 혜왕(惠王)을 온조로부터 세어 28대 왕으로 기록을 한데 반해, 신찬성씨록은 혜왕이 주몽부터 세어 백제의 30대 왕으로 기록하였다.

新撰姓氏錄 第三帙 左京諸蕃下 百濟朝臣 出自百濟國都慕王三十世孫惠王也 百濟公 出自百濟國都慕王二十四世孫汶淵王也 石野連 出自百濟國人近速王孫憶賴福留也 (SS: 286-287)

15. 야마토 왕국의 지배씨족들의 조상을 기록하는 신찬성씨록을 보면, 백제의 7대 왕인 사반왕(沙伴王, 234)을 선조하는 씨족이 있다. 또, 백제 11대 왕인 비류왕(比流王, 304-44)을 시조로 하는 두 개의 씨족을 기록하면서, 비류왕이 5대 왕인 초고왕(肖古王, 166-214)의 후손이라고 기록하였다. 또한 13대 왕인 근초고왕이 조상인 씨족도 있다. 삼국사기가 166-214기간 중 왕위에 있었다는 초고왕과, 234년에 왕위에 있었다는 사반왕을 선조로 하는 지배씨족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신찬성씨록은 11대 왕인 비류왕이 초고왕의 후손이라고 기록을 함으로서 13대 왕인 근초고왕과 5대 왕인 초고왕을 분명하게 구별하고 있는 것이다. 4세기 이전의 삼국사기 기록 불신론을 전개 하기 위해 이런 기록들을 모두 모르는 체 하는 것이다

新撰姓氏錄 第三帙 右京諸蕃下 春野連 出自百濟速古王孫比流王也 汶斯氏 春野連同祖 速古王孫比流王之後也 半毗氏 百濟國沙半王之後也 (SS: 301, 304)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