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운 사
선운사는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도솔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본사이며 도솔산은 선운산(禪雲山)이라고도 하며,
조선 후기 선운사가 번창할 무렵에는 89개의 암자와 189개에 이르는 요사(寮舍)가 산중 곳곳에 흩어져 있어
장엄한 불국토를 이루기도 하였다.
도솔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선운사는 김제의 금산사(金山寺)와 함께
전라북도의 2대 본사로서 오랜 역사와 빼어난 자연경관, 소중한 불교문화재들을 지니고 있어
사시사철 참배와 관광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특히 눈 내리는 한겨울에 붉은 꽃송이를 피워내는
선운사 동백꽃의 고아한 자태는 시인ㆍ묵객들의 예찬과
함께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선운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신라 진흥왕이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위덕왕 24년(577)에
고승 검단(檢旦, 黔丹)선사가 창건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하고 있다.
첫 번째 설은 신라의 진흥왕(재위기간 540∼576)이 만년에 왕위를 내주고 도솔산의 어느 굴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이때 미륵 삼존불이 바위를 가르고 나오는 꿈을 꾸고 크게
감응하여 중애사(重愛寺)를 창건함으로써 이 절의 시초를 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곳은 신라와 세력다툼이 치열했던 백제의 영토였기 때문에 신라의 왕이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였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시대적ㆍ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검단선사의 창건설이 정설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선운사를 다녀왔다.

서해안고속도로 선운산 톨게이트를 지나
풍천장어와 복분자를 먹기위해 해성장어집에
자리를 잡았다.


초벌구이 풍천장어



올라오는길에 풍천장어 3마리와
복분자 5병을 사가지고왔다.
전화로 주문하면 택배도 가능하며 특히
해성풍천장어집의 복분자는 달지도 않으면서
지금까지 먹어본 복분자중에서 최고였던것같다.

선운사 입구




대웅전앞


대웅전 뒷산에 있는 나무는
동백꽃나무 꽃이 피웠을때는 아름다웠는데
봄이다보니 동백꽃이 없네요







서울로 올라오는길에
곰소항에 들렸다.


아는 지인이 곰소항에서
곰소미소젓갈집을 하고 있어서 들렸다.


곰소미소젓갈집에서
판매하는 젓갈들이며 짜지도않으면서
상당히 맛이 있었다.

젓갈집앞에서 갑오징어를 삶아
소주를 한잔하엯다.
갑오징어서 나오는 먹물인데 보기는 그렇지만
오징어는 맛이 있었다.

사진으로 봐서는 잘모르겠지만
막 삶아서 꺼낸 갑오징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