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81년(辛酉)년도 3月경 보사종반에 중앙종친회 구성의 열망이 대두되어 남원 보소(南原譜所)에서 첫 창립총회를 열어 초대회장에 병희(昞熙) (울산종친회 : 察訪公派)씨를 추천 첫발을 내 딛었다. 부회장에 기동(奇同) 병원(炳元) 병식(昞植) 대현(大炫) 귀진(貴進) 완섭(完燮) 만수(萬洙) 성춘(成春) 소영(韶寧)이 피선되고 감사에 병일(昞壹) 윤영(允永) 석봉(錫鳳)이 피선되다. |
| |
(2) | 82.2.28 회장단 회의를 동국대에서 개최하여 관 시조(貫 始祖) 설단(設壇)을 결의 하여 82. 4. 5에 설단 제막식(設壇 除幕式)을 하다. |
| |
(3) | 82년도 11月 언양 시제 시에 울산 종중의 열성으로 위열공(威烈公)의 묘역정화 제막식을 겸하다. |
| |
(4) | 언양 위열공(威烈公) 묘소가 87.5月에 사적(史蹟)으로 평가받아 경상남도 문화재(文化財) 제85호로 지정 받았으나 현재는 울산시 문화재 기념물 제 7호로 개정되었다. |
| |
(5) | 89년엔 언양재각(彦陽齋閣)을 蔚山宗中에서 건립하여 송릉재(松陵齋)라 명명 하였으며 92년도에 강화재각(江華齋閣)을 서울 종친회 주관 하에 창건하다. |
| |
(6) | 기타 우리종문의 유적정화사업(遺蹟淨化事業)과 종친간의 친목을 위하여 진력하며 현재 군 단위지역 종친회 결성이 50여곳에 이르다. |
| |
(7). | 1995. 3. 7 언양 송대리 산소에 선조님 7위(2세,3세,4세,5세,6세,7세,9세)의 단소(壇所)를 수립하여 제막식을 하다. |
| |
(8) | 2002. 6. 30 현재의 회관을 구입하여 입주하다. |
| |
(9) | 2010. 12. 6 강화 위열공 묘 인천광역시 문화재로 지정 (문화재자료 제25호) |
| |
(10) | 2011. 위열공 학술회의(2. 11 롯데호텔 울산, 2. 17 용산 전쟁기념관) |
| |
(11) | 2012년∼2013. 3. 19 고려명장 문하시중 김취려 사료집 발행 및 출판기념회 |
| |
(12) | 대종회(大宗會) 任員錄은 생략하고 역대회장은 아래와 같다. |
![]() |
1981년
| 초대
| 김 병 희 | 1999년 | 10 대 | 김 만 희 | 1985년
| 2 대 | 김 병 률 | 2001년 | 11 대 | 김 성 각 | 1985년
| 3 대 | 김 성 춘 | 2003년 | 12 대 | 김 병 은 | 1987년
| 4 대 | 김 병 일 | 2005년 | 13 대 | 김 병 은 | 1989년
| 5 대 | 김 병 일 | 2007년 | 14 대 | 김 일 웅 | 1991년
| 6 대 | 김 수 환 | 2009년 | 15 대 | 김 일 웅 | 1993년
| 7 대 | 김 성 춘 | 2011년 | 16 대 | 김 일 웅 | 1995년
| 8 대 | 김 성 춘 | 2012년 | 16 대 | 김 세 영 | 1997년
| 9 대 | 김 만 희 | 2014년 | 17 대 | 김 연 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