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부학 깨달음
상부운동사슬 arm line
상지선(arm line)의 개요
- 이 장에서 우리는 중심축 골격으로부터 four quadrants of the arm and four 'sides' of the hand, 즉 엄지손가락, 새끼손가락, 손바닥, 손등으로 주행하는 네개의 분명한 근육근막경선을 확인할수 있음. 외견상 명백히 대칭적임에도 불구하고, 상지선은 다리의 선들보다 이들 종적인 이어짐간에 좀더 교차된 근육근막연결(more corssover mysfascial linkage)을 보임.
- 왜냐하면 인간의 어깨와 팔은 좀더 안정적인 다리에 비해 운동성을 위해 특화되어 있기 때문. 이러한 다각도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좀더 다양한 조절선과 안정선이 요구되고 좀더 inter-line link(상호-선간 연결)이 필요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은 팔의 앞부분을 따라 심부선과 표면선, 팔의 뒷부분을 따라 심부선과 표면선으로 매우 논리적으로 배열되어 있음. 팔의 선들은 어깨를 가로지를때 그들의 배치에 따라서 이름지워짐. 8장에서는 어깨쪽에서 반대쪽 골반을 연결하는 이 선들의 확장을 살펴봄
상지선의 postural function(자세기능)
- 직립자세에서 팔은 상부골격(upper skeleton)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이들은 구조적 척주와 같은 부분은 아님. 그래서 우리는 하지를 기본선과 나선선(cardinal and spiral line)에 포함했지만 팔은 분리해서 고려하려고 남김. 하지만 무게가 주어지고, 운전과 컴퓨터와 같은 우리의 일상활동의 다방면에 연결되어 상지선은 자세기능을 가지고 있음.
- 팔꿈치 긴장은 등 중앙(mid-back)에 영향을 미치고, 어께의 부정렬은 늑골과 목을 당겨 호흡기능에 중대한 부담을 줄 수 있음.
- 이 장은 이완했을때 팔에서부터 중심골격에 당김선을 자세히 살필뿐 아니라 작업이나 운동, 팔굽혀펴기 요가 물구나무서기때 몸을 지지 또는 턱걸이나 나무에서 매달림 동작에서 팔을 사용할때 역할을 하는 긴장선도 살펴봄.
상지선의 movement function(운동기능)
- 검사, 조작, 대응 그리고 환경속에서 움직임같은 일상적인 수많은 손의 활동에서 우리의 눈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팔과 손은 이들 긴장연결성(tensile continuities)을 통해 수행함.
- 상지선들은 무엇인가 몸쪽으로 당기거나, 밀어내거나, 당김, 밈 또는 우리몸의 안정화 또는 세상의 일부분을 잡고 수정을 위해서 10개 또는 그 관절 부위를 넘어서 작용함.
- 이들 선들은 이음매없이 다른 선으로 연결되어 됨. 특히 나선(helical line)인 외측선, 나선선, 기능선 등이 그렇다.
상지선 각론
상지선은 충분히 복잡함.
일반적인 자세보상패턴(postural compensation patterns)은 상지선과 연관되 어 있고, 팔과 손의 문제뿐 아니라 모든 어깨문제를 유발함.
대개 견갑골이 protracted, retracted, lifted, 또는 rounded되어 문제와 연관됨.
이러한 보상패턴은 rib cage로부터의 지지부족이 흔히 관찰되고,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기본선뿐 아니라 나선선, 심부전방선도 함께 살펴야 함.
손목터널, 팔꿈치 그리고 어깨충돌, 만성적인 어깨근육통, 발통점은 이러한 자세보상패턴과 지지결함으로 나타남.
상지선은 중심축 골격에서 손으로 기술하지만 순서는 특별히 중요치 않음.
상지선 위치
상지선은 어깨부위에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이름지워짐. 상지선을 시작하는 4개의 평행면은 분명히 가시적이고 분할이 가능함.
1. 심부전방상지선(deep front arm line)
심부전방상지선은 늑골 3, 4, 5번의 앞쪽에서 시작하는 소흉근의 근육으로부터 시작함.
이 근육은 대흉근 밑의 쇄골에서 겨드랑이까지 주행하는 쇄골흉근 근막에 깊이 뭍혀있음. 이 부위에 신경혈간다발과 림프조직까지 연결되는 소흉근과 쇄골하근을 포함.
거의 대흉근만큼 큰 쇄골흉근근막 전체는 심부전방상지선의 초기 주행경로를 구성함. 하지만 작은 쇄골하근은 쇄골을 잡아주는 반면, 소흉근은 이 복합체에서 견갑골을 지지하는 주된 수축구조물임.
The entire clavipectoral fascia, nearly as large as the pectoralis major, constitutes the initial track of this line; the pectoralis minor, however, provides the chief contractile structural support to the scapula from this complex, while the smaller subclavius tethers the clavicle.1
그림과 같이 늑골 3, 4, 5번 앞쪽 소흉근에서 시작(쇄골하근 포함)
오훼돌기 - 상완이두근 단두, 오훼완근(coracobrachialis)은 오훼돌기에서 시작하여 팔로 이어짐.
원숭이가 매달리거나 철봉에서 매달릴때 이들 근육근막단위는 이어진 선으로 연결됨.
심부전방상지선은 엄지손가락에서부터 가슴앞부분까지 안정화된 선.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심부전방상지선은 엄지와 엄지움켜쥠을 통해 손의 각도를 조절함.
소흉근
소흉근과 쇄골흉근근막(clavipectoral fascia)은 위에 덮여 있는 대흉근과 분리해서 찾아 신장시키기 어려움.
소흉근과 쇄골흉근근막의 과도하 단축은 호흡, 목, 그리고 머리자세(Head posture)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물론 위로 뻗을때 어깨와 팔의 기능은 용이하게 할 수 있음.
철봉에 매달리거나 개기지개(deep downward dog posture)는 이 근막들의 스트레칭을 유발하는 결과를 가져오지만, 보상동작때문에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심부상지전방선의 근위말단에서 중요하고 제한된 구조물을 수기법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어떻게 할까?
소흉근과 쇄골흉근근막의 기능적 단축 3가지 지표
(1) restriction in upper rib movement in inspiration, such that the shoulders and ribs move in strict concert,
- 흡기동안 상부늑골의 움직임 제한으로 어깨와 늑골이 엄격한 concert로 움직임.
(2) if the client has trouble flexing the arm and lifting the shoulder to reach the top shelf in the cupboard, and
- 환자가 팔을 굴곡하는데 문제가 있고, 어깨를 선반상단에 도달하도록 들어올리는 문제가 있을때
(3) if the scapula is anteriorly tilted or the shoulders 'rounded'
- 견갑골이 앞쪽으로 기울거나 어깨가 둥글게 된 경우
이를 정확히 보기 위해서는 환자의 옆에서 보아야
- 견갑골 내측경계가 절벽처럼 수직으로 걸쳐있어야
- 만일 견갑골이 지붕처럼 경사지게 위치해있다면 오훼돌기에서 소흉근의 단축이 아래로 당겨 견갑골을 기울였을 것임.
소흉근 치료 방향
잘 발달된 소흉근은 대흉근위를 통해서 촉지할수 있지만 , 위 그림과 같이 겨드랑이 쪽에서 대흉근을 걷어내고 소흉근에 접근하는 것이 좋음.
이때 늑골골막을 과도하게 압박을 가하면 통증이 발생함. 이유는 늑골골막에 신경분포가 매우 발달해있기 때문
들어올린 팔은 반드시 공중에 걸려있지 않고 지지되어야 대흉근이 잘 이완됨.
소흉근은 쇄골흉근근막에 깊숙이 묻혀있기 때문에 특정 소흉근 조각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대흉근아래 조직을 스트레칭하는 것은 분명 도움이 됨.
소흉근이 확실하게 느껴질때 처음 접하는 근육조직은 5번째 늑골에 부착되어 있는 것임을 잘 알아야.
여성을 치료할때는 림프조직이 흉근주변의 가슴을 겨드랑이에 연결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함.
가슴수술이나 방사선 치료환자는 대흉근후면에 소흉근이 근막으로 붙을 수 있음을 알아야.
위의 방법으로 소흉근을 찾기 어렵다면 "손을 회외시켜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한 후" 대흉근의 후면을 따라 조심스럽게 촉지
소흉근 자가 스트레칭
상완이두근 다관절 근육(biceps express)
상완이두근 단두는 오훼돌기에서 요골결절까지 이어져 상완와관절(gleno-humeral joint), 상완척골관절(humeroulnar joint), 요척골관절(radio-ulnar joint) 3개의 관절을 연결함.
상완이두근을 수축하면 전완을 회외, 팔꿈치굴곡, 상완을 굴곡하는 역할.
다관절 근육인 상완이두근을 보조하기 위해 단관절 근육(local muscle)인 오훼완근이 오훼돌기에서 상완골에 부착되어 상완골을 내전시킴. 상완근은 상완골에서 부착하여 척골에 부착하고 팔꿈치를 굴곡시키는 역할.
The practical point of this distinction is that postural 'set' is often more determined by the underlying locals
than it is by the overlying express. Thus, while in extreme cases the biceps might have a role in chronic
humeral adduction or elbow flexion, the therapist is far more likely to get results from addressing the underlying
locals than from work on the biceps itself.
팔(the lower arm)에서 심부전방상지선
회외근과 회내근의 이해
supinaotr
pronator teres
순서
pronator teres
flexor carpi radialis
palmaris longus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lexor carpi ulnaris
상완이두근의 단두와 회외근은 모두 요골에 부착함.
전완에서 원회내근(pronator teres)은 표면후방상지선에서부터 교차하지만 우리는 심부전방상지선에 포함시킴. 그 이유는 회외근이 원회내근과 함께 요골, 엄지의 회전정도를 분명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원회내근과 회외근은 요골에서 V자형태로 만남.
이후 요골의 골막(periosteum of the radius)을 따라 손목에서 요골경상돌기(styloid process)까지 지나감. 2개의 회전근(회외근과 원회내근) 말단 아래 근막섬유(fascial fabric)는 요골의 골막(periosteum of the radius)에 붙어 있어 해부할때 뼈에서 분리하기 힘듬. -- 근막적 연결(fascial connection)
요골과 척골의 골간막
요골과 척골은 골간막으로 이어져 있으나 미끄러져 움직임. 확인해보기 위해서 요골과 척골을 내전 또는 외전시키보면 움직임이 있으면서 안정성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손목에서 요골측부인대(radial carpal collateral ligament)
주상골(scaphoid)과 대능형골(trapezium), 엄지손가락(thumb)으로 이어짐.
비록 단무지신근(extensor pollicis brevis)과 장무지내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건은 이들 조직을 지나지만 이들 근육은 심부후방상지선의 일부분으로 나중에 논의함.
thenar muscle은 심부전방상지선으로 포함함.
순서
supinator
abductor policis longus
extensor policis brevis
extensor policis longus
extensor indicis
thenar muscle
the abductor pollicis brevis, adductor pollicis, flexor pollicis brevis, and opponens pollicis
엄지선(thumb line)
엄지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시술은 항상 심부전방상지선을 인지할 필요가 있음. 장시간 시술을 위해 건강한 신체효율은 팔을 구부려(팔꿈치 구부림) 엄지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 심부전방상지선을 펴고 길게 유지할 필요가 있음.
올바르지 않은 사용은 엄지손가락 자체에 통증을 호소. 이는 한결같이 심부전방상지선을 붕괴를 나타냄.
|
첫댓글 혈자리와 함께 공부해 보면 참 좋겠다^^
감사하게 잘 볼께요.~~
감사합니다.^^
참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