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초강좌20
작품사진을 찍으려면 강좌3에서 풍경사진과 기상예보를 활용하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바닷가 출사시 바다물이 나가고 들어오는 시간을 일아야 갯골, 몽돌,이끼, 모세의기적 등을 안전하고 멋진 작품을 찍을수가 있으므로 물때표를 소개해봅니다
《여수 : 무슬목 몽돌 이끼》
먼저, 바다물의 움직임을 알기 위해서는 낚시 물때표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아주 먼옛날에는 물때를 어떻게 알고 고기잡이를 했을까 의문을 가지면서 연구해 봅니다.
《길섶나그네.최종복 님의 황산도 갯골》
1. 옛날 물때를 예측하였던 기초는 달의 움직임 입니다
*보름달(15일)과 그믐달이 뜨는 날에는 조류가 빠르게 흐르는 것을 보고 '사리'라고 부르고,
*그믐달과 보름달 사이 중간인 8일과 23일에는 조류가 약하게 흐르는 것을 보고 '조금'라고 불렀던것 같습니다.
2. 매월 15일을 주기적으로 조류가 약한날(8일, 조금)을
1물로 시작하여 2물,3물··· 8물(15일, 사리) 12물,···15물(조금) 등, 15일을 주기로 반복합니다.
* 8일(조금,1물)-15일(사리,8물)-23일(조금 15물)
3. 바닷물이 육지로 들어오는 것을 '밀물(들물)' 최고조로 들어왔을 때를 '만조"라 하고, 바다로 빠져나가는 것을 '썰물(날물)' 최고조로 나갔을때를 '간조'라고 합니다
하루에 2회씩 밀물과 썰물이 6시간 주기로 반복됩니다.
*밀물~6시간후~썰물~6시간후~밀물~6시간후~썰물
위 "피싱톡" 어풀의 물때표(한달간)를 보시고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정리한후 언제쯤 어디로 출사를 갈 것인지 계획을 잡아보시고
위 "물때와 날씨" 어풀의 물때표(하루)를 보시면서
오늘(7월14)은 음력5일이므로 12물이고 조류높이와
조류세기, 간조, 만조시간을 파악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우리가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설명은 참고로
하시고 위의 도표처럼 몇시에 간조 만조이고 물의 높이와 차가 얼마인가를 보시고 활용하시면 됩니다
오늘 서귀포 물때표는
간조시간이 07시 31분과19시15분 이므로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에 이끼와 함께 찍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순천만 용산전망대에서 S라인을 찍기 위해서는 일몰 전후에 간조(썰물)때가 좋겠지요
대부분의 사진촬영지는 물이 빠져야 이끼도 보이고 몽돌도 보이고 갯골도 보이는 등 간조시가 좋으나
안면도 대야리 "모세의 기적"의 출사지는 특이 하게 만조때가 되어야 길이 나타납니다
*본 글과 사진은 저작권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