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후보전 : BM (Breakdown Maintenance)
▒ 예방보전 : PM (Preventive Maintenance)
▒ 생산보전 : PM (Productive Maintenance)
▒ 전사적 생산보전 :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 Terotechnology : 설비(유형자산) 수명,비용의 경제성 추구 반하에서 설비에 적용되는 관리적 활동, 재무적 활동, 기술적 활동, 및 기타 활동들을 종합한 기술.
▒ 유형자원관리 : PRM (Physical Resources Management) 또는 PAM(Physical Asset Management)
1.생산에서의 TPM
1). 설비 효율을 최고로 하는것 종합적 효율화)를 목표로
2). 설비의 한 생애를 대상으로 하는 PM의 토털 시스템을 확립하여
3). 설비의 계획 부문•사용 부문• 보전 부문 등 모든 부문에 걸쳐
4). 최고 경영자에서 현장 작업자에 이르기까지 전원이 참가하여
5. 지방정부 소집단 활동, 즉 소집단 자주 활동을 통해 PM을 추진하는 일을 말한다.
2. 전사적 TPM
1). 생산시스템의 효율화를 극한 추구(종합적 효율화)하는 기업 체질 구축을 목표로 하여
2). 생산 시스템의 라이프 사이클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재해 제로•불량제로• 고장제로’등 모든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체제를 현장 현물로 구축하고
3). 생산 부문을 비롯해서 개발, 영업, 관리 등 모든 부문에 걸쳐
4). 최고 경영자에서 현장 작업자에 이르기 까지 전원이 참가하여
5). 중복 소집단 활동을 통해 손실제로를 달성하는 일을 말한다.
3. TPM의 정의: TPM이란?
생산시스템 효율화의 극한 추구(종합적 효율화)를 하는 기업체질 만들기를 목표로 하는 생산시스템의 LIFE CYCLE 전체를 대상으로 한 재해제로, 불량제로, 고장제로등 모든 LOSS를 미연에 방지하는 구조를 현장 현물에 구축하고
TOP에서 제일선 작업자에 이르기까지 전원이 참가하여 중복소집단 활동에 의한, LOSS ZERO를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4. TPM의 목적
5. TPM 8항목
1)업종형태에 따른 목적
2) 장치 산업에서 생산 효율화
• 단체 기기의 설비 효율보다 플랜트 전체의 효율
• 4M (Machine, Material, Man, Method)의 효율
• 생산의 output (P,Q,C,D,S,M)을 최대로
• 설비고장과 프로세스 고장
• 성능 손실
-정상 생산 손실
-비정상 생산 손실
• 품질 불량 손실과 재가공 손실
3) 생산활동에 있어서 Loss구조(16대 Loss)
4) Plant 8대 Loss 정의와 사례
5) 4M 효율화
5) TPM 활동 전체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