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말은 " 조심, 신중 ♡
● 영명은 " Mountain-ash "
마가목은 봄에 나오는 새싹이 말의 이빨(馬芽木) 처럼 강하게 나온다하여 붙여진 이름, 가지런한 잎, 하얀 꽃, 빨간 열매, 가을의 단풍까지 정원식물로 자격요건은 다 갖춘 모범신사다.
열매로 술 담그면 색상도 좋고 기능성도 있어 술로 담기도 한다. 초여름 습도가 높을때 새로 나온 가지를 삽목하면 쉽게 뿌리 내린다. 성목을 옮겨 심을 때는 묵은 뿌리를 제거해줘야 새뿌리가 빨리 나온다.
마가목은 장미과,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형제들이 살고 있다. 당마가목, 산마가목, 팥매나무... 다양한 약효가 전해진다.
천식, 가래, 기침 등 폐질환에 좋으며,
"마가목 지팡이만 짚고 다녀도 신경통이 낫는다"는 말도 있다. (송정섭)
마가목 꽃은 수술이 길게 뻗어 나와 안개가 낀 듯 아련해 보인다. 말(마, 馬) 이빨 같은 새싹(아, 牙) 이 나오는 나무(목, 木)라고 마가목이다.
( 계 ) : 식물
( 과 ) : 장미과(Rosaceae)
( 학명 ) : Sorbus commixta Hedl.
( 생약명 ) : 정공피(丁公皮)
( 개화기 ) : 5~6월
● 구분 ㅡ 장미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 큰키나무로 줄기가 하나 또는 몇 개 올라오거나 밑동에서 줄기가 갈라져 키 6~10m 정도로 곧게 자란다. 가지가 무성하게 비스듬히 뻗어 위쪽이 둥그스름해진다.
● 자생지 ㅡ 높은 산 1,000~1,300m 고지의 바위 많은 곳이나 서늘한 음지 쪽, 계곡가에 주로 자생한다.
● 특징 ㅡ 좁고 뾰족한 잎이 깃털처럼 달리고 흰 꽃이 우산처럼 모여 핀다.
● 잎 ㅡ 홈이 있는 잎줄기에 길이 1.5~8㎝ 정도의 잎이 9~13장씩 어긋나게 달려 홀수로 난 깃털 모양이 된다.
끝이 뾰족하고 긴 피침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다.
앞뒷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 아래에 달린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 가을에 노랗다가 붉게 물든다.
● 꽃 ㅡ 5~6월에 가지 끝에 흰색으로 핀다. 어긋나게 두 번 갈라져 쟁반처럼 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지름 8~10㎜ 정도의 꽃이 달린다.
암술대는 3개, 수술은 20개다. 꽃잎은 5장이다. 꽃받침잎은 5장이며 연한 녹색을 띤다.
● 열매 ㅡ 9~10월에 씨방이 응어리지고 과육이 있는 지름 5~8㎜ 정도의 열매가 붉은색으로 여문다.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다.
● 줄기껍질 ㅡ
어린 나무는 회색빛 도는 갈색을 띤다. 묵을수록 노란빛 도는 갈색이 되며 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밝은 청회색의 얼룩이 생긴다.
고목이 되면 밝은 회갈색이 되며 껍질이 얇게 벗겨져 너덜너덜해진다. 껍질눈이 있다.
● 줄기 속 ㅡ 가장자리는 노란빛 도는 밝은 갈색을 띤다. 안쪽에는 짙은 노란 갈색의 심이 있다. 한가운데에는 밝은 갈색의 작은 속심이 있다.
● 가지 ㅡ
햇가지는 붉은 갈색을 띠다가 점차 노란 갈색이 된다. 묵으면 회색빛 도는 갈색을 띠며 어두운 회색의 얼룩이 생긴다. 껍질눈이 있다. 짧은 가지에는 주름마디가 있다.
● 겨울눈 ㅡ 가운데가 조금 불룩한 긴 원뿔 모양이다. 붉은 갈색을 띤다.
( 용도 )
● 약용 : 기관지염, 위장병, 허약 체질, 흰머리
● 식용 : 나물
● 민간요법 ㅡ 철분이 많아 오래 먹으면 몸이 무거워질 수 있다.
줄기 속껍질(정공피, 丁公皮).
열매(마가자, 馬家子)
줄기 속껍질은 가을~봄에, 열매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기관지염, 위장병, 허약 체질, 흰머리 나는 데 말린 것 1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 식용방법 ㅡ 어린 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산림법
※ 모든 산림은 소유자가 있습니다. ※
산림소유자의 동의 없이 임산물을 무단으로 채굴․채취하는 행위는 모두 불법행위에
해당되어 다음과 같은 처벌을 받게 됩니다.
산주의 동의 없이 산채․약초․녹비․
나무열매․버섯․덩굴류 등을 채취하는 행위 :
현행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법률"
<약칭 "산림법"> 의거 산림 내에서 소유자
동의 없이 산나물 등을 불법 채취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등에 처해집니다.
#출처:김종원(양평)
#출처:오리지날산약초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