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주목받는 수지 가공제품
다공질 필름이나 시트 제품에서는, 공경(孔徑)의 미세 제어나 공경 분포의 균일화에 의해, 기능을 발현하고, 신규 제품을 개발하는 움직임이 활발화 되고 있다. 기재의 수지 종도 넓어지고 있고, 또한 다공질화를 섬유 집적에 의해 실현하는 공법에서는 섬유경의 미세화나 섬유경 분포의 협소화, 균일화 기술이 진전되고 있다.
① Hagihara(荻原) 공업의 Control release 필름
Hagihara 공업은 독자의 다공질 필름에 휘산성 약제를 담지(擔持)시켜 방출 제어하는 컨트롤 릴리스 필름 “Laysys”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약제의 “제로차 방출”로 휘산성 약제의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실현한 것이다. 특징으로서는 다공질의 틈에 머무른 약제가 항상 일정량 휘산하고, 거의 전체의 액상 약제를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시에 고온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해충 대책제의 방출 제어 등 의약, 화장품부터 산업용 액제까지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액상의 원본도 형태, mono화 할 수 있고, 약제의 효과의 불만을 해소하여, 효과 좋게, 효과 길게, 효과 안정하게 하는 것으로, 낭비를 줄여 코스트 삭감에 공헌하는 것으로 시장에 소구하고 있다.
② Toray Precision의 흡착 pad
Toray Precision은 필름이나 박막 프레임을 흡착 고장하는 용도로 프레임의 비뚤어짐을 억제하여 고정 가능한 흡착 pad(미다공 흡착판: 흡착 plate)를 개발하였다. 특징으로서 ①두께 1㎛ 전후의 박막 흡착이 가능, ②delicate한 박막 시트로의 흡착 흔적을 제어, ③고속 탈착 동작이 가능하여 이형이 쉬움(흡착 on/off의 응답 속도가 빠름), ④흡착 영역은 자유롭게 설계 가능, ⑤maintenance 용이, ⑥저 코스트, 단납기(다공질 흡착과의 비교)를 들 수 있고, 고객 요망에 대응한 설계 제안도 받고 있다고 한다.
③ Hagitech의 다공질 PTFE 필름 복합품
Hagitech은 다공질 PTFE 필름 복합품을 제품화 하여 있다. 이것은 PTFE를 다공질화 한 필름에 부직포나 mesh 등을 복합한 제품으로 다공질 필름 SEF-010 시리즈에 비해, 고 통기(通氣), 고 내수성능을 겸비하여 seal 가공, 타발 가공, 용착 가공이 가능하여 의장성이나 식별용에 흑색 부직포 mesh을 복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특징으로서 ①통기성이 우수, ②미세공에 의한 통기성, 투습성을 가지면서 방수, 발수 성능을 겸비하고 있고, ③발유 타입도 제공 가능하고, ④seal 가공, 타발 가공이나 시트 상 등, 각종 형태로의 제공도 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④ Nitto(日東) 전공 / Techno Oonishi(大西)의 초 고분자량 PE 다공질 필름
Techono Oonishi는 초 고분자량 PE 다공질 필름 Sunmap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Nitto 전공이 독자로 개발한 특수한 소성법에 의한 초 고분자량 PE 분말의 소결 다공질 성형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절삭하는 것으로 실현한 초 고분자량 PE 다공질 필름이고, 내양품성, 내마모성, 이형성 등 초 고분자량 PE의 우수한 특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다공질화 한 것으로, 통기성, 저 마찰계수 등의 특성을 부여한 것. 가공성에도 우수하고, 다양한 용도 개발을 상정하여, 이하의 특징을 내세우고 있다. ①연속 기포의 다공질 필름으로 통기성, 투습성에 우수하고, ②내마모성에 우수, 마찰계수가 낮은 초 고분자량 PE를 다공질화 하는 것으로, 보다 우수한 섭동성을 발휘하고, ③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산, 알칼리 등 거의 모든 약품에 스며들지 않는 우수한 내약품성을 발휘, ④가공성이 우수, heat seal 가공, 타발, 부형(賦型) 가공이 가능
⑤ Aion
Aion은 폴리우레탄계의 스펀지를 상품화 하고 있다. 이것은 미세한 연속 기공 구조를 갖고, 흡수성, 흡액성에 우수한 특수 폴리우레탄 스펀지로, “Soporous” 라고 하는 상품명이 붙어 있다. 특징으로서 ①세련된 모양으로, 소프트한 느낌을 갖고, 흡수성, 흡액성, 보수성, 내마모성에 우수한 것, ②roller상, 시트, block상으로 제공 가능, 다양한 생산 장치나 각종 기기의 안에서 사용 가능, ③건조 시에도 부드럽고, utility성도 우수한 것, ④내열성에도 우수, 100℃의 분위기 내에서도 100℃의 열수 중에서도 가능한 것을 들고 있다(도73). 구체적인 용도로서 lint-free printer 기판, lead frame 소자, 필름 식기계(食機械), medical printer, 사무용품, 청소 용품 등을 제시하고 있다.
⑥ Tokyo Ohka(応化) 공업의 polyimide계 다공질 필름
Tokyo Ohka는 polyimide계의 다공질 필름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고 공극율(空隙率)의 구상 공공(空孔) open cell 구조를 갖고 있고, 연통(連通)한 균일 세공 사이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 통액성이 확보되어 있고, 또한 저 수전성이기 때문에, 절연특성, 시그널 전송의 행상이 모색되어 있다. 리튬이온 전지의 separator 등 각종 분리막, 저 수전체 기재, 방음, 방음재, 단열/단열기재 등으로의 용도 전개를 상정하고 있다(도74).
■ 구상 고공의 open cell 구조
■ 연통한 균일 세공 사이즈
■ 고 공극률 ⇒ 퉁액/통기성의 확보, 저 수전율의 실현
■ 저 수전성 ⇒ 절연특성, 시그널의 향상
Unique하고 균일한 미세 구조
막 물성
Item | Unit | ㎛ pore | Nm pore |
Porosity | % | 70 | 70 |
Gurley | Sec/100cc | 8~10 | 200~300 |
Strength | MPa | 25~35 | 25!40 |
Elongation | % | 20~25 | 20~40 |
Thermal decomposition | ℃ | 571 | 571 |
Dielectric | 1GHz | - | - | 1.495 |
10GHa | - | 1.4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