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두의 분류기준 이야기 >
우리의 주식 쌀은 품질에 따라 등급이 나뉘어 있습니다 !
이처럼 우리가 맛있게 즐기는 커피, 생두에도
품질에 따라 등급이 분류됩니다.
생두는 어떤 기준으로 품질을 분류할까요?
생두의 분류기준 세가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 커피는 생산지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각 나라의 재배환경과 기후, 재배방법 등에 따라
품질의 등급이 다르게 정해집니다.
▶ 생두 분류기준 첫번째 !
- 크기에 따른 분류 -
생두의 크기로 분류를 하는 대표적인 나라는
콜롬비아와 케냐, 탄자니아. 하와이가 있습니다.
이 나라들에서는 생두의 크키가 클수록 좋은 생두로 등급이 정해집니다.
생두의 크기를 정하는 기구를 스크린Screen이라고 부릅니다.
스크린은 콩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뚫린 '체'입니다.
스크린마다 구멍의 크기가 다르며
생두가 걸러지는 스크린의 구멍 크기로 등급이 정해집니다.
스크린의 구멍의 단위는 1/64inch , 약 0.4mm 입니다.
만약 스크린이 사이즈가 17이라면
17 X 0.4mm = 약6.8mm 크기의 생두를 뜻합니다.
스크린으로 커피의 크기를 정하기 때문에
'스크린 사이즈'에 따른 분류라고 말합니다.

▶ 생두 분류기준 두번째 !
- 고도에 따른 분류 -
농작물은 고지대에서 자란 것이 더 맛있습니다 !
커피도 저지대에서 자란 것 보다는
고지대에서 자란 것이 더 품질이 좋습니다.
주로 산악지대 경사면에서 재배되고 있는 중미 생산국에서는
대부분 생산 고도 만으로 커피의 등급이 정해집니다.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기계가 지나가기 힘듭니다.
그래서 기계수확이 어렵기 때문에
인건비를 더 들여 일일이 사람 손으로
붉고 성숙한 열매를 수확하는 방법을 선택하였고
이는 곧 고품질 커피를 생산해내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 생두 분류기준 세번째 !
- 결점두에 따른 분류 -
벌레가 먹거나 곰팡이 슬고,
깨져서 상한 생두들은 결점두로 따로 취급합니다.
결점두 하나는 한 잔의 커피 맛에
심각하게 부적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생두에 결점두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등급을 분류합니다.
결점두에 따른 분류는
미국 스페셜티커피협회(SCAA)가 정한 기준에 따릅니다.
생두의 350g에서 결점두의 점수를 합산하여
계산하고 그에 따라 등급을 분류합니다.
커피맛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결점두는
높은 점수로 체크되고
영향력이 다소 낮은 결점두는
낮은 점수로 체크됩니다.
기준은 아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커피이야기를 나누는 공간
커피노마드 그룹으로
커피인들을 초대합니다 ^^
http://group.kakao.com/g/coffeenomad
http://group.kakao.com/g/coffeenomad
아래 주소를 꾸~욱 누르면
커피노마드 그룹, 커피 소통 공간이 열립니다 !
커피인들 모두 환영합니다 ^^
커피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커피 #커피노마드 #coffee #생두 #커피등급 #스크린사이즈 #커피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