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P 검사의 해석적 지침
(1) 태도
HTP를 수행하는 태도는 새로운 과제나 어려운 과제를 거부하려는 전반적인 의도를 대략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 일탈적 태도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열렬한 수용 혹은
과도한 자기중심성이고, 다른 하나는 무관심, 패배주의, 포기나 솔직한 거부다. 창의력을
요구하는 HTP가 조직적으로 손상된 수검자에게는 무기력감을 느끼게 할 수 있지만 검사를
완전히 거부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사람은 가장 자주 거부되는 그림이다. 부적응적인 사람은 대개 대인관계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사람을 그리는 것이 집이나 나무에 비해 좀 더 의식적이거나 전의식적인 수준에서의 연상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또 갑작스럽게 몸에 대해 인식케 하는 것은 부적응적인 수검자를
불편하게 만들 수도 있다.
자신의 그림을 객관적으로 보면서 평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과도하게 그림 실력에 대한
평가를 언급할 경우 병리를 지녔을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특별히 말로 지적한 부족한
부분들을 수정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면 더욱 그렇다.
- 페이지의 다른 부분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고 미완성된 대상을 지우지 않고 그냥 버려두는 경우
- 다시 그리려는 시도 없이 그림을 지우는 경우. 이는 보통 하나의 강렬한 갈등을 불러일으킨
세부 사항에 국한된다. 수검자는 그 세부 사항을 한 번은 그릴 수 있지만 두 번은 그릴
수 없다.
- 지우고 다시 그리는 경우. 만약 다시 그린 그림이 더 나아졌다면 좋은 표시다. 그러나 수정
결과를 지나치게 꼼꼼하게 그리려고 시도하거나 완벽하게 그리려는 시도가 지나치거나 형태의
질이 더 나빠진다면 병리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어떤 부분이든지 계속 지우고 다시 그리기를
반복하는 것은 그 세부 사항이나 수검자에게 그 부분이 상징하는 것에 대해 갈등이 있음을
보여준다.
(2) 시간, 지연, 멈춤
그림을 완성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그려진 대상들의 중요성과 대상들 각각의 부분이
수검자에게 얼마나 중요성을 가지는 지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줄 수 있다. 세 그림은 보통 20~30분 안에 완성된다. 과도하게 시간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무엇이든 생산해 내는 것이
망설여지거나 포함된 상징의 강렬한 정서적 중요성 때문에 그렇게 하며, 둘 모두에 해당하는
경우도 있다. 빨리 그리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불쾌한 과제로부터 빨리 벗어나기 위해 그렇게 하기도 한다. 조증인 수검자는 그림에 관련없는 세부 사항을 많이 그려서 오랜 시간을 소요할 수 있다.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 역시 가능한 모든 관련 세부 사항을 꼼꼼하게 그리려는 경향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만약 수검자가 지시 사항을 안내받은 이후 30초가 지나가는 데도 그림 그리기를 시작하지 않으면 정신병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지연은 갈등의
존재를 강하게 시사하며, 질문 시간 가운데 검사자는 이러한 갈등을 만들어 낸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
(3) 비율
수검자의 그림에서 드러난 각 크기의 비율 관계는 대상, 상황 그리고 수검자에 대해서
수검자가 부여하는 가치를 보여준다. 비율 관계 또한 현실의 요소에 객관적인 가치를
할당할 수 있고 판단을 쉽고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대략적인 지표이다.
- 평균적인 그림은 용지의 1/3에서 1/2 정도를 차지한다.
- 종이의 위쪽은 개념이나 공상 세계를 나타내며, 아래가 현실이나 확실하고 구체적인 세계를
나타낸다.
- 그림의 위치가 위쪽인 것은 높은 목표를 가지고 그곳에 도달하려고 노력하거나, 더구나
달성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는 것이다.
- 그림 위치가 위쪽인 것은 자신의 존재가 불확실하여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느끼거나 자신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벗어나, 다가가기 어려운 존재로 하려는 것을 나타내거나 낙천적인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그림 위치가 아래에 있는 것은 자신이 현실적으로 확실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느끼거나 패배감, 불안감, 위화감을 가지고 그 때문에 우울한 기분에 빠져있거나 구체적인
것에 몸을 의지해 안정하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 그림의 위치가 치우침이 현저하거나 너무 작은 그림을 왼쪽이나 오른쪽 위로 그리는 것은
부적응의 지표가 될 수 있다.
- 공간에 비해 과도하게 적은 영역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부적절감, 환경으로부터
철수하는 경향, 그림 대상에 대한 거부를 시사한다.
- 공간의 거의 모든 부분을 차지하거나, 크기 때문에 종이의 절단면에서 그림이 잘려 나간
경우는 제한하는 환경에 대해 적대감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자기 중심적인 시각 역시 큰 그림의 요인이 될 수 있다.
- 평균보다 큰 세부 사항은 수검자가 그리고 있는 요소가 상징하는 것에 대한 과도한 걱정과
집착을 의미한다.
- 평균보다 작은 세부 사항은 일반적으로 수검자에게 세부 사항이 상징하는 것에 대한 거부나
거부하고 싶은 마음을 함의한다.
(4) 원근법
수검자가 공간적인 관계를 묘사하는 방식은 더 넓고 복잡하며 추상적이고 어려운 삶의 과제들을 붙잡고 성공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① 그림의 수평적 위치
- 가운데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수검자가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자신의 욕구와 추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단순하고 정서적인 만족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 그림이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수검자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통제된 행동을 보이며, 즉각적인 욕구와 추동에 대한 만족을 연기하고, 정서적 만족 보다는 지적인 만족을
선호할 것이다.
② 그림의 수직적 위치
- 그림이 페이지의 평균 가운데 지점으로부터 더 밑에 위치할수록 수검자가 불안정하고
부적절하다고 느끼며 이 감정이 우울한 정서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 그림을 아래에 배치시키는 수검자는 현실적이다.
- 수검자가 페이지 밑으로 그림이 계속된다면 매우 거북한 감정을 느끼고 있을 수 있다.
- 가운데 지점보다 그림이 위에 위치할수록 달성할 수 없는 목표를 위해 과도하게 애쓰고
있다고 느낄 가능성이 크다.
③ 용지를 돌려서 그리는 경우
-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경향을 가진 수검자는 제시된 페이지의 위치를 받아들이길 거절하는
것을 통해 제안에 대해 거부를 보일 수 있다.
④ 용지의 가장자리 사용
- 한두 개의 가장자리에 그림이 잘려 그려진 경우는 불쾌한 연상으로 인해 그림을 그리고 싶지
않은 마음을 보여줄 수 있다.
- 그림이 페이지의 밑 부분에서 더 밑으로 내려갈수록 성격 통합을 유지하기 위해 억압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 그림이 왼쪽 가장자리에 있을 경우 미래로 도피하고 싶은 바람을 나타내기도 한다.
- 위의 가장자리에 그림이 있을 경우 사고와 공상을 만족의 자원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고착을 시사한다.
- 옆 가장자리를 사용하는 것은 불안전감과 위축을 시사한다.
- 아래 가장자리를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우울, 그리고 구체적이며 상상력이 부족한 행동 경향을 나타낸다. (아래 가장자리를 사용하는 것이 페이지의 네 가장자리의 이탈적인 사용 가운데
가장 덜 병리적이다.)
⑤ 투시한 그림
- 가려져 보이지 않는 대상을 보이게 그리는 수검자는 심각한 현실 검증력의 어려움을 나타낸다.
⑥ 움직임
- 움직임을 포함하고 있는 그림의 해석은 강도 혹은 행동의 폭력성, 운동에 포함된 유쾌함 혹은 불쾌함, 그리고 운동이 얼마나 자발적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⑦ 세부 사항
- 필수적인 요소가 하나라도 없는 것은 심각하게 간주 된다.
- 많은 필수 세부 사항이 없을수록, 더 많은 그림에서 그럴수록 정신병리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 필수적 세부 사항을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논의가 되고있는 세부 사항이 보여주거나
상징하고 있는 것에 대한 과도한 고민을 함의한다.
- 창문의 커튼이나 나무의 잎사귀 등 부가적인 세부 사항의 한정적인 사용은 좋은 현실 검증력과 민감하고 균형 잡힌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함의한다.
- 과도한 세부 사항의 사용은 정신병리 시작 단계의 환경 혹은 그려진 세부 사항이 상징하거나
표현하는 영역 그리고 그와 연관된 것들에 대한 관념을 시사한다.
- 집 근처의 관목, 나무나 하늘의 새들, 사람 곁의 애완동물 같은 관련 없는 세부 사항이
제한적인 방식으로 사용된다면 경미한 기본적 불안정감이나 상황을 안정적으로 조직화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한다.
- 과도하게 관련 없는 세부 사항들이 사용된 경우 현재 존재하거나 잠정적으로 떠도는 불안을
시사할 수 있다.
- 조증 상태에 있는 수검자는 관련 없는 세부 사항을 매우 많이 그리고 빈번하게 단어 및
이름표를 적어 넣기도 한다. 세사항이 조직화 되어 있고 대상과 밀접하게 관련 있을 경우 잘
소통하고 조직화되어 있음을 시사하지만, 관련이 없이 부적절하게 표현될수록 병리의 가능성이 높다.
- 1차원적, 2차원적 세부 사항은 낮은 지적 능력이나 뇌 손상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나무나 사람에서 ‘막대 형태 그림’은 예외이다.)
- 건강한 음영은 빨리, 가볍게 그리고 몇 몇의 임의적인 획들로 그려지는데, 이것은 추상과
환경에 대한 민감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건강한 것이다.
- 불안과 갈등의 병리를 보여주는 음영은 천천히, 과도한 힘이나 주의를 기울여 혹은 윤곽에
관련 없이 그려진다.
- 특이한 제시순서, 이전에 그린 부분으로 강박적으로 돌아가는 것, 그린 것을 지우고 다시
그리는 것, 세부 사항을 반복적으로 그리는 것 등 평균적인 그림 순서에서의 뚜렷한 일탈은
잠재적인 병리를 나타낸다.
- 과도한 지우기, 세부 사항을 그리는 속도가 느린 것, 기이한 통합, 상처와 같은 손상을 그리는 경우 등 세부 사항이 강조된 경우는 그 세부 사항과 관련된 불안이나 갈등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