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1
15. Ezra [ézrə 에즈러] : 에스라
* sources : “Good News Translation English Bible Overview” (GNT영어성경 개요)
(Korean Translation : Lee Chang-bok)
1) Ezra Introduction (GNT Bible) : 에스라 소개
The Book of Ezra, as a sequel to Chronicles, describes the return of some of the Jewish exiles from Babylon and the restoration of life and worship in Jerusalem. These events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stages: 1) The first group of Jewish exiles returns from Babylonia at the order of Cyrus, the Persian emperor. 2) The Temple is rebuilt and dedicated, and the worship of God restored in Jerusalem. 3) Years later another group of Jews returns to Jerusalem under the leadership of Ezra, an expert in the Law of God, who helps the people reorganize their religious and social life in order to safeguard the spiritual heritage of Israel.
역대기 속편인 에스라서는 바벨론에서 유배된 일부 유대인들의 귀환과 예루살렘에서의 삶과 예배의 회복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러한 사건은 다음 단계로 제시됩니다. 1) 유대인 유배 자들의 첫 번째 그룹 즉 1차 귀환자들이 페르시아 황제인 고레스의 명령으로 바빌로니아에서 돌아옵니다. 2) 성전이 재건되어 봉헌되었고,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에 대한 예배가 회복되었습니다. 3) 몇 년 후 2차 귀환자들이, 이스라엘의 영적 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백성들이 종교적, 사회적 생활을 재구성하도록 돕는 율법학자 에스라의 지도 아래. 예루살렘으로 돌아옵니다.
2) Outline of Contents : 내용 개요
The first return from exile (1.1—2.70) : 유배로부터의 첫 귀환 (1.1-2.70)
The Temple is rebuilt and dedicated (3.1—6.22) : 성전이 재건되고 봉헌됨 (3.1–6.22)
Ezra returns with other exiles (7.1—10.44) : 에스라는 다른 유배 자들과 함께 돌아옴 (7.1 ~ 10.44)
*** 요약 2
Summary
Summary of the Book of Ezra
This summary of the book of Ezra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itle, author(s), date of writing, chronology, theme, theology, outline, a brief overview, and the chapters of the Book of Ezra.
요약
에스라서 요약
이 에스라서 요약은 에스라서의 제목, 저자, 저작 연대, 연대기, 주제, 신학, 개요, 간략한 개요 및 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Ezra and Nehemiah
Although the caption to Ne 1:1, "The words of Nehemiah son of Hacaliah," indicates that Ezra and Nehemiah were originally two separate compositions, they were combined as one very early. Josephus (c. a.d. 37-100) and the Jewish Talmud refer to the book of Ezra but not to a separate book of Nehemiah. The oldest manuscripts of the Septuagint (the pre-Christian Greek translation of the OT) also treat Ezra and Nehemiah as one book.
에스라와 느헤미야
"하가랴의 아들 느헤미야의 말"이라는 느 1:1의 표제가 에스라와 느헤미야가 원래 두 개의 별개 작품이었음을 나타내지만,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초창기에는 하나로 합쳐져있었습니다. 요세푸스(주후 37-100년경)와 유대교 탈무드는 에스라서를 언급하지만 느헤미야서를 별도로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칠십인역의 가장 오래된 사본(구약의 기독교 이전 그리스어 번역본)도 에스라와 느헤미야를 한 권의 책으로 취급합니다.
Origen (c. a.d. 185-253) is the first writer known to distinguish between two books, which he called 1 Ezra and 2 Ezra. In translating the Latin Vulgate (c. a.d. 390-405), Jerome called Nehemiah the second book of Esdrae (Ezra). The English translations by Wycliffe (1382) and Coverdale (1535) also called Ezra "I Esdras" and Nehemiah "II Esdras." The same separation first appeared in a Hebrew manuscript in 1448.
오리게네스/오리겐(주후 185-253년경)는 두 권의 책을 에스라 1서와 에스라 2서라고 구별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저술가입니다. 불가타 라틴어 성경(주후 390-405년경)을 번역하면서 제롬은 느헤미야를 에스라의 두 번째 책이라고 불렀습니다. 위클리프(1382)와 커버데일(1535)의 영어 번역본은 또한 에스라를 "에스드라스1서"로, 느헤미야를 "에스드라스2서"라고 분리하여 불렀습니다. 동일한 분리가 1448년 히브리어 사본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What are the books of 1 Esdras and 2 Esdras(1 Ezra and 2 Ezra.)? The books of 1 and 2 Esdras are not part of the biblical canon. First Esdras is part of what is considered the Apocryphal/Deuterocanonical scripture. Second Esdras is an apocalyptic work and is considered pseudepigraphal. Except for some Greek Orthodox, Episcopal, or Lutheran Bibles, 1 and 2 Esdras do not appear in most Bibles. Authorship and dating of 1 and 2 Esdras are somewhat problematic, and some scholars place the writing of certain portions of 2 Esdras as late as the 2nd century AD. “Esdras” is another form of the name Ezra, which means “help.” 에스드라스1, 2서(에스라1,3서)는 어떤 책입니까? 에스드라스1, 2서는 정경正經에 속하는 성경의 일부가 아닙니다. 에스드라스1서는 외경外經/제2정경正經으로 간주되는 것의 일부입니다. 에스드라스2서는 묵시/계시적인 작품이며 위경僞經으로 간주됩니다. 일부 그리스 정교회, 성공회 또는 루터교 성경을 제외하고 에스드라스1, 2서는 대부분의 성경에 나오지 않습니다. 에스드라스1서와 2서의 저자와 연대는 다소 문제가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에스드라스2서의 특정 부분에 대한 기록을 서기 2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습니다. "에스드라스"는 "도움"을 의미하는 에스라의 또 다른 형태입니다.
The Roman Catholic Council of Trent in 1546, which officially recognized several books of the Apocrypha, listed “the first book of Esdras, and the second” as part of the biblical canon. However, these are the books we normally call “Ezra” and “Nehemiah” today and are not to be confused with the pseudepigraphal 1 and 2 Esdras (which appeared in the Vulgate as 3 and 4 Esdras). 여러 권의 외경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1546년의 로마 가톨릭 트렌트 공의회는 “에스드라스1,2”서를 성서 정경의 일부로 열거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에스라"와 "느헤미야"라고 부르는 책이며 위서僞書 에스드라스1,2서(불가타에 에스드라스3서와 에스드라스4서로 등장)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There are some historical problems with 1 and 2 Esdras. In the narrative of 1 Esdras, the reign of the Persian King Artaxerxes incorrectly precedes those of Cyrus the Great (c. 559—529 BC) and Darius I (Darius the Great, 521—486 BC), although some believe this is simply a literary device called “prolepsis” in which a person or event is assigned to an earlier period or represented as if it had already occurred. First Esdras appears in the Septuagint as an expanded book of Ezra, containing four additional chapters. It is an account of King Josiah’s reforms and history of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in 586 BC and chronicles the Jews’ return from Babylonian captivity under Zerubbabel. This book was said to be known by Josephus (born AD 38). 에스드라스1,2서에는 몇 가지 역사적 문제가 있습니다. 에스드라스1서의 이야기에서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의 통치가 고레스 대왕(기원전 559-529년경)과 다리우스 1세(다리우스대왕, 주전 521-486년)의 통치보다 앞서는 것은 잘못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단순히 사람이나 사건이 이전 시대로 지정되거나 이미 발생한 것처럼 표현되는 "시일 전기(前記)"라는 문학적 장치라고 믿기도 합니다. 에스드라스1서는 에스라서의 내용이 확장된 책으로 70인역에 등장하며, 네 개의 장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요시야 왕의 개혁과 기원전 586년 성전 파괴의 역사에 대한 기록이며 유대인들이 스룹바벨 치하의 바빌론 포로에서 돌아온 연대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요세푸스(서기 38년 출생)에 의해 알려졌다고 합니다. * 시일전기(prochronism) : (연대, 날짜 등을 실제보다 앞당기는) 시일(연대) 전기
Second Esdras was written too late to be included in the Septuagint and, therefore, does not appear within the more prominent canon (Jewish, Protestant, Catholic, or Orthodox). Second Esdras is also known by many other names, making it difficult to track fully. For example, 2 Esdras contains portions known in some circles as 3 Ezra, 4 Ezra, 5 Ezra, and 6 Ezra. The Ethiopian Church considers 4 Ezra to be canonical, whereas the Eastern Armenian Church labels it as 3 Ezra. Further, some scholars believe these books were written by several authors, including some possibly as late as the second century AD. 에스드라스2서는 칠십인역에 포함되기에는 너무 늦게 쓰여졌으므로 더 유명한 정경(유대교, 개신교, 가톨릭 또는 정교회의 정경)에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에스드라스2서는 다른 많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어 완전히 추적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에스드라스2서는 에스라3서, 에스라4서, 에스라5서, 에스라6서 범주에 해당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교회는 에스라4서를 정경으로 간주하는 반면, 동방 아르메니아 교회는 그것을 에스라3서로 분류합니다. 더욱이 일부 학자들은 이 책들이 AD 2세기 후반경에 일부 저자를 포함하여 여러 저자에 의해 쓰여졌다고 믿고 있습니다.
Second Esdras is often referred to as the Jewish Apocalypse of Ezra and contains seven visions of Ezra dealing with his angst over the pain and suffering inflicted upon Jews by Gentiles. Some scholars believe the book was written shortly after the AD 70 destruction of the temple in Jerusalem during the reign of Emperor Domitian(AD 81—96). While there is a definite tone of sadness in this work, there is consolation regarding ultimate retribution. There are six Messianic references within 2 Esdras. 에스드라스2서는 종종 에스라의 유대인 묵시록으로 불리며 이방인이 유대인에게 가한 고통과 고통에 대한 그의 불안을 다루는 에스라의 일곱 가지 환상을 포함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책이 도미티아누스 황제 통치 기간(AD 81-96)인 AD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직후에 쓰여졌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는 분명한 슬픔의 기조가 있지만 궁극적인 응징에 대한 위로가 있습니다. 에스드라스2서에는 6개의 메시아적 언급이 있다.
|
* 정경正經 : 그리스도교에서 공식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경전을 가리키는 말. 즉 신·구약성서를 말하며 정전正典이라고도 함
* 외경 外經 : 성경 외경은불가타와칠십인역에 포함되어 있지만히브리어 성경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서방교회에서천주교는 이런 작품들을제2경전으로 인정하지만,개신교는 이런 작품들을 외경이라고 구분함. 따라서 개신교 성경은 구약 정경에 이 책들을 포함하지 않음
* 제2정경正經 : 구약 성서 중 그리스어역 성서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히브리어 성서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부분
* 위경(僞經, Pseudographia/pseudepigraphal) : 기독교의 경전인구약성서와신약성서중 현재기독교모든 종파에서 공식적 경전인정경이나 신앙에 도움이 되는 공인 문서로도 인정받지 못하는 경전을 말한다.[1] 개신교에서는 정경은 아니지만 신앙에 도움이 되는 외경(Apocrypha)과 비록 기독교의 복음을 담았다고는 하나 읽기에 좋지 않은 위경(Pseudographia)을 구분하며,정교회나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제2경전을 개신교의외경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며 위경을 구분하여 사용한다.[2] 기독교의 모든 교파에서 위경은 기독교의 전통적 교리에서 벗어나거나 정경의 일부인 것으로 보이게 쓰여진 문헌들을 지칭하는 명칭이다. 기독교의 초기에 쓰여진마리아의 복음서나베드로의 복음서와 같은 문헌들은 비록 예수의 가르침이나 말씀을 보존하였지만 전체적인 논지가 전통적 기독교 교리와 거리가 있거나 이단적 요소를 담고 있어 위경이라 지칭한다.
* 시일 전기(前記): 실제보다 앞당겨서 기재하기
Literary Form and Authorship
As in the closely related books of 1 and 2 Chronicles, one notes the prominence of various lists in Ezra and Nehemiah, which have evidently been obtained from official sources. Included are lists of (1) the temple articles (Ezr 1:9-11), (2) the returned exiles (Ezr 2, which is virtually the same as Ne 7:6-73), (3) the genealogy of Ezra (Ezr 7:1-5), (4) the heads of the clans (Ezr 8:1-14), (5) those involved in mixed marriages (Ezr 10:18-43), (6) those who helped rebuild the wall (Ne 3), (7) those who sealed the covenant (Ne 10:1-27), (8) residents of Jerusalem and other towns (Ne 11:3-36) and (9) priests and Levites (Ne 12:1-26).
문학 형식 및 저자
밀접하게 관련된 역대상하의 책에서와 같이 공식적인 출처에서 얻은 것이 분명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의 다양한 목록이 두드러진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그 목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전 물품(스 1:9-11), (2) 귀환한 포로들(스 2장, 느 7:6-73과 사실상 동일함), (3) 에스라의 족보(스 7:1-5), (4) 씨족의 우두머리들(스 8:1-14), (5) 잡혼(雜婚)/이(異)종교[민족]간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들(스 10:18-43), (6) 성벽재건을 도운 자들(느 3장), (7) 언약을 인봉한 자들(느 10:1-27), (8) 예루살렘과 다른 마을의 주민들(느 11:3-36), (9)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느 10:1-27) 12:1-26).
Also included in Ezra are seven official documents or letters (all in Aramaic except the first, which is in Hebrew): (1) the decree of Cyrus (1:2-4), (2) the accusation of Rehum and others against the Jews (4:11-16), (3) the reply of Artaxerxes I (4:17-22), (4) the report from Tattenai (5:7-17), (5) the memorandum of Cyrus's decree (6:2b-5), (6) Darius's reply to Tattenai (6:6-12) and (7) the authorization given by Artaxerxes I to Ezra (7:12-26). The documents are similar to contemporary non-Biblical documents of the Persian period.
또한 에스라서에는 일곱 개의 공식 문서 또는 편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히브리어로 된 첫 번째 문서를 제외하고 모두 아람어로 되어 있음): (1) 고레스의 법령(1:2-4), (2) 유대인에 대한 르훔과 다른 이들의 고발(4:11-16), (3) 아닥사스다 1세의 회답(4:17-22), (4) 닷드내의 보고(5:7-17), (5) 고레스의 칙령 각서(6 :2b-5), (6) 닷드내에 대한 다리우스의 답변(6:6-12) 및 (7) 아닥사스다 1세가 에스라에게 준 권한(7:12-26). 이 문서는 페르시아 시대의 비성서적 문서와 유사합니다.
Certain materials in Ezra are first-person extracts from his memoirs: 7:27-28; 8:1-34; 9. Other sections are written in the third person: 7:1-26; 10; see also Ne 8. Linguistic analysis has shown that the first-person and third-person extracts resemble each other, making it likely that the same author wrote both.
에스라서의 특정 자료는 그의 회고록에서 1인칭으로 발췌한 것입니다: 7:27-28; 8:1-34; 9. 다른 부분은 3인칭으로 기록됨: 7:1-26; 10; 또한 Ne 8 참조. 언어 분석 결과 1인칭과 3인칭 발췌물이 서로 유사하여 동일한 저자가 둘 다 썼을 가능성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Most scholars conclude that the author/compiler of Ezra and Nehemiah was also the author of 1,2 Chronicles. This viewpoint is based on certain characteristics common to both Chronicles and Ezra-Nehemiah. The verses at the end of Chronicles and at the beginning of Ezra are virtually identical. Both Chronicles and Ezra-Nehemiah exhibit a fondness for lists, for the description of religious festivals and for such phrases as "heads of families" and "the house of God."
대부분의 학자들은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저자/편찬자가 역대상하의 저자이기도 하다고 결론짓습니다. 이 관점은 역대기와 에스라-느헤미야에 공통된 특정 특성에 근거합니다. 역대기 끝과 에스라서 시작 부분의 구절은 사실상 동일합니다. 역대기와 에스라-느헤미야는 모두 종교 축제에 대한 설명과 "가족의 우두머리"와 "하나님의 집"과 같은 문구를 선호합니다.
Especially striking in these books is the prominence of Levites and temple personnel. The words for "singer," "gatekeeper" and "temple servants" are used almost exclusively in Ezra-Nehemiah and Chronicles. See Introduction to 1 Chronicles: Author, Date and Sources.
이 책들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레위인들과 성전 직원들의 탁월함입니다. "노래하는 자", "문지기", "성전의 종"이라는 단어는 에스라-느헤미야와 역대기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됩니다. 역대상 소개: 저자, 날짜 및 출처를 참조하십시오.
Date
The Ezra memoirs (see note on 7:28) may be dated c. 440 b.c. and the Nehemiah memoirs c. 430. These were then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somewhat later. See Introduction to 1 Chronicles: Author, Date and Sources.
날짜
에스라의 회고록(7:28 참조)은 기원전 440년, 그리고 느헤미야 회고록은 430년으로 추정됩니다. 그런 다음 이들은 다소 후에 다른 재료와 결합되었습니다. 역대상 소개 참조: 저자, 날짜 및 출처를 참조하십시오.
The Order of Ezra and Nehemiah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Ezra arrived in Jerusalem in the seventh year (Ezr 7:8) of Artaxerxes I (458 b.c.), followed by Nehemiah, who arrived in the king's 20th year (444; Ne 2:1,11).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반차
전통적 견해에 따르면 에스라가 아닥사스다 1세(기원전 458년) 7년(스 7:8)에 예루살렘에 도착했고, 느헤미야가 아닥사스다 1세 20년(444; 느 2:1,11)에 도착했습니다.
Some have proposed a reverse order in which Nehemiah arrived in 444 b.c., while Ezra arrived in the seventh year of Artaxerxes II (398). By amending "seventh" (Ezr 7:8) to either "27th" or "37th," others place Ezra's arrival after Nehemiah's but still maintain that they were contemporaries.
어떤 이들은 느헤미야가 주전 444년에 도착한 반면 에스라는 아닥시스다 2세 제7년(398년)에 도착했다는 역순을 제안했습니다. "일곱째"(스 7:8)를 "27번째" 또는 "37번째"로 수정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은 에스라가 느헤미야의 도착 이후에 도착했지만 여전히 그들이 동시대 사람이었다고 주장합니다.
These alternative views, however, present more problems than the traditional position. As the text stands, Ezra arrived before Nehemiah and they are found together in Ne 8:9 (at the reading of the Law) and Ne 12:26,36 (at the dedication of the wall).
그러나 이러한 대안적 견해는 전통적인 입장보다 더 많은 문제를 제시합니다. 본문 그대로 에스라가 느헤미야보다 먼저 도착했고 그들은 느헤미야 8:9(율법을 낭독할 때)과 느헤미야 12:26,36(성벽을 봉헌할 때)에서 함께 발견됩니다.
Languages
Ezra and Nehemiah were written in a form of late Hebrew with the exception of Ezr 4:8 -- 6:18; 7:12 -- 26, which were written in Aramaic, the language of international diplomacy during the Persian period. Of these 67 Aramaic verses, 52 are in records or letters. Ezra evidently found these documents in Aramaic and copied them, inserting connecting verses in Aramaic.
언어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페르시아 시대의 국제 외교 언어인 아람어로 쓰여진 에스라 4 : 8 - 6 : 18; 7:12 - 26을 제외하고는 후기 히브리어 형태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67 개의 아람어 구절 중 52 개가 기록이나 편지로 되어 있습니다. 에스라는 분명히 아람어로 된 문서들을 발견하고 아람어로 연결 구절을 삽입하여 복사했습니다.
Major Theological Themes
The books of Ezra and Nehemiah relate how God's covenant people were restored from Babylonian exile to the covenant land as a theocratic (kingdom of God) community even while continuing under Gentile rule.
주요 신학적 주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하나님의 언약 백성들이 이방인의 통치를 계속 받으면서도 어떻게 바벨론 유배상태로부터 신정적(하나님의 왕국) 공동체상태로 회복되었는지를 설명합니다.
Out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