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1장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 知者不博, 博者不知. 聖人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 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爭.
(무위가) 미더운 사람은 말하는 데 있어 (일부러 일삼아) 아름답게 하지 않고, (일부러 일삼아) 아름답게 말하는 사람은 (무위가) 미더운 사람이 아니다. (무위를) 잘 일삼는 사람은 (옳고 그름, 착하고 착하지 않음 등을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여) 말하지 않고,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여) 말하는 사람은 (무위를) 잘 일삼는 사람이 아니다. (자연이자 무위이고, 성性이자 명命이며, 덕스러움德인 도道를) 알아차린 사람은 (말로써 도道를 가르치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두루 하지 않고, (말로써 도道를 가르치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두루 하는 사람은 (도道를) 알아차린 사람이 아니다. (따라서) 성인은 (이미 자신에게 자리하는 도道와 덕스러움德을) 쌓아두지 않고, 이미 자신에게 자리하는 도道로써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데, 자신이 더욱 가지게 되고, 이미 자신에게 자리하는 덕스러움德으로써 세상 사람들을 더불어 하는데, 자신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 (이른바) 하늘의 도道는 (무위로써 만물을) 이롭게 하는데, 따라서 (만물을 일삼는 데 있어 무위를) 해치지 않는다, 성인의 도道는 (무위로써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 데 있어 유위를) 다투지 않는다.
言信者, 質而. 無采. 言美者, 華而無實.
말이 미더운 사람은 (무위無爲가) 질박하다. 따라서 (그 말은 일부러 일삼은) 색깔을 가지는 바가 없다. (그) 말이 (일부러 일삼아) 아름다운 사람은 (유위有爲가) 빛난다. 따라서 (그 말은 저저로 그러한) 알맹이(實; 無爲)를 가지는 바가 없다.
善, 故不辯. 不辯, 不足掩其善. 辯, 由不善. 不善, 不能飾以辯.
(무위無爲를) 잘 일삼는 사람은 따라서 (옳고 그름, 착하고 착하지 않음 등을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여) 말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여) 말하지 않는 사람은 그 (무위無爲를) 잘 일삼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가리기에 부족하게 된다.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여) 말하는 사람은 (따라서 그 무위無爲를) 잘 일삼지 못하는 바를 말미암게 된다. (따라서 무위無爲를)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꾸미는 바로써, 말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知者不博. 一致. 而該萬殊. 博者不知, 多聞. 而寡要旨.
(도道를) 알아차린 사람은 (세상 사람들에게 말로써 도道를 가르치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두루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몸으로써 도道를 가르치는 바) 하나가 (세상 사람들에게 저절로 그러하게 두루) 다다르게 한다. 왜냐하면, (세상 사람들은 이미) 저마다 분수된 바(殊; 性·命·自然·無爲·道·德)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 사람들에게 말로써 도道를 가르치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두루 하는 사람은 (도道를) 알아차린 사람이 아니다. (따라서 그는 세상 사람들이) 듣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많아지게 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이미 저마다 분수하여 갖추고 있는) 근원(要; 性·自然·道)과 근본(旨; 命·無爲·德)을 (일부러 일삼아) 줄어 들게 하게 된다. 〔박세당에 따르면, 성性과 명命, 자연自然과 무위無爲, 도道와 덕스러움德은 상호 분별되지 않는다〕
言妙道, 不在於辯博華美之間. 眞知至善誠信之言. 又衆人, 所同忽. 此, 亦歎天下之, 莫己知也.
(이른바, 무위有爲가) 어렴풋한 도(道; 自然·性·德·命)는 (옳고 그름, 착하고 착하지 않음 등을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여) 말하고, (말로써 도道를 가르치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두루 하며, (유위有爲가) 빛나고, (말이 일부러 일삼아) 아름다운 사람 가운데 자리하지 않는다.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도道는 무위無爲가) 참되고, (도道를) 알아차리며, (무위無爲를) 잘 일삼고, (무위無爲를) 받들며, (무위無爲가) 미더운 사람 가운데 자리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도道가 자리하는 사람을) 소홀히 하는 바와 (더불어) 같이 한다. (지자부박知者不博, 박자부지博者不知) 이 문장은 따라서 (노자가 세상을) 한탄하는 문장이다. “세상이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도道가 자리하는) 나를 알아보지 못한다!”
以力爲人, 以財與人, 則人, 共歸助, 力, 愈强, 而財, 愈富. 以道爲人, 以德與人, 則人, 共化服, 道, 愈大, 而德, 愈盛. 此, 爲人與人, 愈有愈多之效. 而以不積爲積者也.
(이른바, 나에게 자리하는) 힘으로써 세상 사람들을 일삼고, (나에게 자리하는) 재화로써 세상 사람들을 더불어 하면, 세상 사람들이 (스스로 나에게) 되돌아오는 바와 (스스로 나를) 돕는 바를 더불어 하게 되고, (따라서 나의) 힘이 더욱 굳세지게 되며, 따라서 (나의) 재화가 더욱 넉넉해지게 된다. (나에게 자리하는) 도(道; 性·自然)로써 세상 사람들을 일삼고, 덕스러움(德; 命·無爲)으로써 세상 사람들을 더불어 하면, 세상 사람들이 (스스로 나의 도道를 말미암아 무위無爲로 바뀌고) 달라지는 바와 (스스로 나의 덕스러움德을 말미암아 좇고) 따르는 바를 더불어 하게 되고, (따라서 나의) 도道가 더욱 커지게 되며, 따라서 덕스러움德이 더욱 채워지게 된다. 이것이 세상 사람들을 일삼고, 세상 사람들을 더불어 하는데, 더욱 가지게 되고, 더욱 많아지게 되는 (성인의) 공능功能이다. 따라서 (성인은 자신에게 자리하는 도道와 덕스러움德을) 쌓아두지 않음으로써, (자신의 도道와 덕스러움德을 더욱) 쌓게 되는 것이다.
故曰天之道, 利物. 而不害, 於物. 聖人之道, 爲人. 而不爭, 於人.
따라서 (노자는) “하늘의 도道는 (무위無爲로써) 만물을 이롭게 한다. 따라서 만물을 일삼는 데 있어 (무위無爲를) 해치지 않는다, 성인의 도道는 (무위無爲로써)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 데 있어 (유위有爲를) 다투지 않는다”라고 일컬었다.
八十一章之旨, 都在於爲而不爭. 故結之以此.
(노자가 지금까지 일컬은) 81개 장의 요지는 모두 위이부쟁(爲而不爭; 무위無爲로써 세상 사람들을 일삼아야 하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을 일삼는 데 있어 유위有爲를 다투지 말아야 한다)에 자리한다. 따라서 (이 장은) 그것으로써 끝을 맺었다. 〔박세당은 『도덕경』의 요지를 무위無爲로 파악하고 있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