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인원 설화의 변용(變用)
유인원 기원설화의 변용의 실례를 꼽아 보자면, 먼저 중국의『서유기』의 주인공 손오공이 먼저 떠오른다. ‘오공(悟空)’이라? “공을 깨닫는다.“ 라는 그의 이름부터 예사스럽지 않다. 불교적으로 각색된 것이 확실한 이름이다. 하여간 그의 프로필을 마저 보자. 그는 고타마 붓다의 10대 제자 중, ‘해공제일(解空第一)’ 수보리(須菩提)존자에게서 술법을 전수받고 ‘오공’이라는 당호(堂號)를 받고 건당(建幢)했으니 선종용어로 풀이해보자면 한 소식 한 도인이란 뜻이고 또한 출가를 안 했으니 오공거사라고 불러도 되겠다. 오공거사의 속가성씨인 ‘손씨(孫氏)’ 또한 티베트의 왕족인 ‘송쩬(松贊)’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 것을 보면 명문가의 자제일 것이다.
각설하고 아주 먼 옛날, 사대주(四大洲)의 동쪽 동승신주(東勝神州)의 오래국(傲來國) 화과산(花果山) 정상에 하늘땅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모여 만들어진 신묘한 바위가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 바위가 갈라지면서 바위원숭이 한 마리가 튀어 나왔다고 한다. 이른바 돌연변이를 의미하는 대목이다. 타고난 준수함과 자질로 어려서부터 두각을 나타내어 그는 수렴동(水簾洞)이라는 선경에 사는 원숭이들의 우두머리로 추대되기에 이른다. 그렇게 되어 다름대로 그 안에서 풍족하게 살았지만, 그는 배부른 원숭이의 삶에 회의를 품기 시작하여 안락한 왕좌를 버리고 길을 떠났다. 이른바 위대한 가출이며 출가였다.
목적은 불로장생의 술법을 배우기 위해서였다. 어찌하다가 수보리(須菩提)존자를 만나서 수행에 전념한 끝에 짧은 기간에 둔갑술, 신외신법술(身外身法術), 근두운술(觔頭雲術) 등의 초능력을 마스터하고 동해의 용왕으로부터 여의봉까지 얻게 되었다.
이에 기고만장해진 그는 저승세계로 달려가서, 3백년이라고 기록된 자신의 수명이 적힌 염마장(閻魔帳)의 해당기록을 지워 버렸다. 이런 행패를 보다 못한 옥황상제가 오공을 체포하여 벌을 내리려 했으나, 만만치 않을 것을 예상한 태백성(太白星)의 조언을 받아들여 처벌대신 천계로 불러들여 필마온(弼馬溫)이란 벼슬을 내렸다. 채찍 대신 당근이었다.
그러나 오공은 뒤에 그 직책이 말을 돌보는 하찮은 벼슬이라는 것을 알고는 화가 치밀어 사표도 내지 않고 고향인 수렴동으로 내려와 버렸다. 그리고는 스스로 하늘과 맞먹는 성인이란 뜻의 제천대성(齊天大聖)이라 부르며 원숭이나라의 개국을 선포했다. 직무유기도 모자라 반역질이었다. 그러자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된 옥황상제는 천계장군들에게 그를 압송해 오라고 명령했으나 오히려 그들은 번번이 손오공의 여의봉에 얻어터지기만 하고 빈손으로 돌아왔다. 이에 이번에도 중재의 귀재인 태백성이 닭갈비묘책(鷄肋妙策)을 내 놓았다. 옥황상제는 망신살이 뻗치긴 했으나 마땅한 대안이 없는지라 오공거사에게 파격적인 벼슬을 주어 천계에 머물도록 하였다.
그렇게 되어 일개 바위원숭이 주제의 오공은 졸지에 옥황상제로부터 높은 봉호를 받고 천계신선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마침내 오공은 태생을 극복하고 무엇 하나 부러울 것이 명예와 부를 거머쥐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태생적으로 그 정도에서 만족할 그릇이 아니었다. 당시 천계에는 신선이라 할지라도 보직제도가 있었던지, 오공도 천도원(蟠桃園)을 지키는 보직을 받아 근무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늘복숭아가 ‘불로장생’의 특효란 유혹에 넘어가 버린 오공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살 욕심에 빠져, 천도를 한 두 개도 아니고 모조리 따 먹은 뒤에 옥황상제와 천계신선들의 연회에 쓸 음식까지 모조리 작살을 내놓고 태상노군(太上老君)의 금단(金丹)까지 훔쳐서 수렴동으로 삼십육계 해버렸다.
이에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된 옥황상제는 천계에 계엄령을 내려 하늘병사 10만을 출병시켜 수렴동을 포위하고 천계장군들을 총 동원하여 원숭이소굴을 박살내고 오공을 주살하라는 토벌령을 내렸다. (중략) 이에 천계의 장군과 신선들이 총 동원하어 어렵게 오공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이미 오공이 금강불괴의 몸이 된지라 창칼 같은 무기로는 처형할 수가 없었다. 이에 태상노군은 일단 오공을 팔괘로(八卦爐)에 가두었지만, 그러나 그것으로도 오공의 탈출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이에 옥황상제는 마지막으로 체면불고하고 경쟁관계에 있던 석가여래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그렇게 하여 손가락경주 끝에 겨우 오공을 다시 사로잡아 오행산(五行山)에 가두는 것으로『서유기』 의 제1부는 끝이 난다.
그리고 500년이 지나 당 태종 시대가 되었다. 태종은 현장(玄獎)법사를 선발하여 삼장(三藏)이라는 호를 내리며 부처의 나라 천축으로 가서 경전을 구해 오라고 칙명을 내렸다. 그리하여 삼장일행은 석가여래의 도움으로 긴고아(緊箍兒)라는 안전장치, 즉 주문에 의해 조여지는 머리띠를, 오공에 머리에 채워서 가석방시켜 천축으로 떠나게 하였다.(중략)
삼척동자도 아는 뻔한 이야기를 다시 되돌이 해보는 것은, 손오공과 티베트의 조상 원숭이 ‘투’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이다. 누가 보아도 티베트민족의 투와 손오공은 닮은꼴이다. 그렇다면 어느 한쪽이 흉내를 낸 것인데, 누가, 누구를, 언제, 어떻게 모방했느냐?” 를 알아보아야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뽑아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둘 다 돌연변이 변종원숭이 출신이라는 점이고 그 다음으로는 둘 다 오랜 시간 도를 닦는다는 점이다. 또한 노골적인 불교적인 각색에 의해서 스토리가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조상원숭이 ‘투 원숭이’가 관음보살의 안배에 의해 자손을 번창시켰다는 점이나 오공거사가 도교의 옥황상제가 주재하는 천계는 마음껏 농락했지만 끝내는 석가여래의 손바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대목이 그런 대목이다. 물론 기타 주변적인 스토리에 해당되는, 천하무적의 오공이 스스로의 의지로 불교로 귀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나 주문을 외우면 조여드는 ‘머리 띠’를 두르고 천축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는 대목은 부연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오공’과 ‘투’의 비교에서 극명한 차이를 들어내는 대목이 있다. 물론 이것이 오늘의 관전 포인트이기도 하다. 그것은 바로 ‘투’는 스스로의 의지로 유인원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여 인간처럼 되려고 끝없이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는 유인원에 만족하지 않고 반원반인으로 유전인자를 개조해나가며, 비록 자비심을 구실로 바위여자와 결합하여 자식들을 낳았지만, 그의 후예들을 끝내는 사람으로 변하게 만들었다.
물론 ‘투 원숭이’에게 처음부터 그런 투철한 의지와 원대한 프로그램이 있었느냐는 하는 것은 별도의 문제이다. 마치 우리의 환웅(桓雄)할배가 후손들을 인간으로 만들기 위해 곰여자(熊女)와 합방을 했느냐? 하는 것과 같은 문제이기 때문이니까….
여러 번 되풀이 되는 이야기지만 신화나 전설은 그 전승자나 편자들이 후대에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가 중요한 것이지 그 과정이나 방법이 얼마나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냐? 나아가 실증적이고 과학적이냐?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다음으로 집어볼 필요가 있는 꼭지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원숭이의 신화적 변용은 티베트의 조상원숭이나 손오공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또 다른 버전의 원숭이설화가 오히려 훨씬 오래전부터 힌두문화권 전체에 고르게 퍼져 있다. 바로 대서사시 <라마야나>의 주인공 라마(Rama)의 동맹군 장수인 하누만(Hanuman) 혹은 하누마트(Hanumat) 설화에서 이다.
힌두문화에서 하누만은 신과 인간의 중간상태인 반신반인(半神半人) 반원반인(半猿半人)의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또한 ‘랑구르 종(Langurs)’ 원숭이의 왕으로서 수억 명의 힌두교도들은 모든 랑구루들 조차도 그냥 동물이 아니라 신적존재로 여기고 있다. 현재 힌두문화권 나라에는 수많은 하누만 신전이 있는데, 그곳에서는 수많은 원숭이들이 공양물을 받아먹으며 살고 있는 것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하누만은 바람의 신 바유(Vayu)와 압사라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힌두의 대표적인 서사시에 하나인 <라마야나>에서 하누만은 용감한 장군으로 등장한다. 그래서 라마군영의 총대장 라마가 중상을 입게 되자 하누만은 히말라야 너머로 날아가서 카일라스(Kailash)산을 통째로 들고 와 약초를 구해서 다친 군사들을 치료해주기도 하고 인도의 남단 마헨드라 산정에서 라바나 악마가 사는 스리랑카까지 넓은 바다를 건너뛰어 자신의 원숭이병사들로 하여금 바다를 건너갈 다리를 만들게 하여 마침내 라바나 악마를 항복시켜 주공인 라마의 부인을 되찾아 오면서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결정적인 공헌을 한 전쟁영웅이다.
그렇기에 하누만의 위상은 힌두문화가 전파된 전 지역에 넓게 퍼져 있다. 예를 들면 태국에서의 하누만 설화는 <라마끼안> 이란 이름으로 전하지만 그 내용은 거의 일치한다. 태국이 불교의 나라라고 하지만, 불교 역시 힌두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에 태국 뿐 아니라 인도차이나 반도의 나라들의 불교유적들은 힌두교적 영향을 풍기고 있는데, 태국의 왕궁벽화나 앙코르와트의 회랑에서 원숭이설화는 주된 모티브 중에 하나인데, 이는 봉건왕조에 대한 충절의 상징으로 충성을 하도록 부추긴 면도 작용하였을 것이다
이렇듯 하누만의 전설은 불교에 영향을 주었고, 중국으로 무대를 옮겨『서유기』로 패러디되었다는 가설이 있기는 하다. 물론 연대로만 보면 하누만 설화가 훨씬 앞서기에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설득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기에 필자는 이 가설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티베트의 설화가 오공거사 탄생에 깊숙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는 편이다.
한편 근대에 들어와서는 허리우드에서 ‘유인원진화론’에 눈독을 들여 여러 편에 불럭버스터 영화를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혹성탈출 시리즈>이다. 1968년 동명의 소설을 각색하여 처음으로 영화가 만들어 졌는데, 영원한 명화 <벤허(Ben-Hur)>의 명배우 찰톤 헤스톤(Charlton Heston, 1923~2008)이 타이틀롤을 맡아서 열연을 하였고 이어서 <혹성탈출: 지하도시의 음모(1970년)>, <혹성탈출: 제3의 인류(1971년)>, <혹성탈출: 노예들의 반란(1972년)>,<혹성탈출: 최후의 생존자(1973년)>d이 대를 이었고 그 뒤로도 비슷한 아류가 리메이크 되어 <혹성탈출(2001년)>,<혹성탈출: 진화의 시작(2011년)>,<혹성탈출: 반격의 서막(2014년)>, 그리고 올 여름에는 <혹성탈출: 종의 전쟁(2017년, War for the Planet of the Apes)>이 개봉되어 흥행에 성공을 했는데, 여기서는 유인원들이 주인공이란 점이 흥미롭다.
특히 가족과 종족을 위해 투쟁하는 따듯한 가슴을 가진 주인공 ‘시저’의 중후하면서 섬세한 연기가 압권이었고 그외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유인원들이 열연하여 극영화의 재미를 더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현생인류의 세기말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컸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아마도 이 영화는 다시 속편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오히려 필자가 인상 깊게 그리고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는 따로 있다. 바로 <포비던 왕국(Forbiden Kingdom)>이라는 제목의 허리우드 영화였다. 도탄의 시대. 풀 수 없는 힘에 의해 봉인(封印)되어 천년동안 깨어날 수 없는 전설속의 마스터(즉 손오공)을 깨워서 폭정아래 시달리고 있는 백성을 구할 사명을 띤, 개성 넘치는 일단의 쿵푸의 달인들이 전설의 왕국을 찾아가는 줄거리가 박진감이 있었지만, 무협지 팬들에겐 성룡과 이소룡이란 걸출한 액션스타가 한 영화에서 같이 출현한 자체가 흥미를 끌었던 머양이었다.
그러나 필자는 삼장법사를 만나기 전의 손오공의 전설을 패러디하여 줄거리를 삼았다는 대목을 주목하였다. 물론 허리우드 영화중에 동양적이며 신비적인 모티브에 제작 포인트를 맞춘 불럭버스터가 대개 그러하지만, 동서양의 관객을 함께 겨냥한 철저한 오락영화였지만, 유인원진화론이란 내 개인적인 화두를 다룬 것이기에 더욱 흥미롭게 보았던 기억이 새롭다. 말하자면 티베트의 조상을 패러디하여 창조된 오공거사가 드디어 세계적인 문화 콘텐츠의 주인공이 된 것이다.
이렇듯 범아사아권의 유인원설화는 원시신앙이나 도교 또는 불교적 배경으로 자생적으로 생겨나, 때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구비문학으로, 나아가 개국신화로 발전되어 내려왔다. 처음에는 시기적으로 앞선 인도의 원숭이 토템 사상이 티베트의 기원설화에 영향을 주고, 다시 현장법사의 구법여행과 어우러져 손오공이란 아이템을 탄생시켰다.
이것이 결론이지만, 한 번 정리하면『서유기』라는 소설은 뵈릭민족의 시조설화인 유인원 진화설을 모방한, 요즘말로 ‘패러디’한 것이고 물론 제천대성 손오공은 뵈 민족의 시조 ‘투’ 원숭이를 모델로 하여 불교적 각색을 거쳐서 판타지소설이 된 것이라는 사실은 더 강조하지 않아도 이미 독자들은 이해하고 계실 것이라 믿는다. 비록 판타지물로 둔갑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 무늬만일 뿐이지 유심히 속고갱이를 들여다보면 거기에는 ‘윤회론적 진화론’이라는 의미심장한 주제가 깔려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내일부터 학교가 며칠간 수업이 없기에, 오랜만에 지누단다 온천에나 가야겠다. 더운물에 몸을 담구고 만년설에 덥힌 안나푸르나 남봉 너머로 떨어지는 찬란한 저녁노을을 보고 싶다. 그리고 이미 오래된 친구가 된 흰 수염의 원숭이가족 대장을 만나면 한 가지 좀 직접 물어 봐야겠다.
“여보게 흰 수염친구! 잘 있었는감?
근데 정말 자네 조상이 오공거사 손씨 맞는 거여?”
(사족) 이 글을 쓰면서 그 흰 수염을 기른 원숭이들의 생물학적 정체가 궁금하여 여러 차례,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을 해본 결과, 내가 만난 원숭이들은 역시 <Himalayan Langurs>의 이미지들과 일치하고 있다.
첫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