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기묘己卯 일주
가. 己土의 특성
나. 卯木의 특성
다. 己卯 일주의 특성
【물상. 기상 등 복합적 특성】
【오행의 변화와 육신(재물, 진로, 적성, 학업, 건강 등)】
【육친】
|
가. 己土의 특성
▣일간 己土는 戊土와 달리 “습기를 머금은 기름진 옥토”로
만물을 생장시키는 비옥한 토양으로
木이 좋아하는 땅이다
“논, 밭, 화분, 텃밭”등의 물상을 지니고 있어
수용성과 적응력이 뛰어나고 안정적인 것을 좋아한다.
모난 구석이 없고 사람 사귀기를 좋아한다.
◉丙火가 있으면 생토生土가 되고,
丙火가 있을 때는 왕旺 하여야 하는데,
조후가 잘 되어야 대국大局을 이룬다
◉丙火나 丁火가 없으면 농사를 짓지 못하는 사토死土가 된다
그러나 여름철에는초목이 왕성하게 자라는 계절이므로
丙火가 없어도 생토가 된다
◉丁火가 왕 할수록 더욱이 조후가 잘 되어서 좋지만
丁火는 대국大局은 못되기 때문에 부분적인 영광이 있다
▣己土는 목적을 위해서 인위적으로 조성이 된 토지이기 때문에
아무 것이나 받아들이지 않고 분별력이 있다
그리고 농작물을 길러내니
포용력과 희생정신이 있고 보수적인데,
巳. 午. 未月의 己土는 농사를 지을 계절의 농토이므로
대국大局이 많다
▣己(자기 기)土는 한자의 뜻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어
외부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지키려는 성향이 강하다.
또한 己土는 천간 10글자 중에서 중간으로 음과 양을 연결한다.
포용력이 있으면서 중개자 역할을 잘한다
중개자 역할을 잘 하려면 아는 것도 모른척해야 할 일이 많다.
따라서 己土는 속을 알수 없다.
▣己巳 일주는 자존심이 강하여 남의 밑에 있기를 싫어 한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잘 참지만
언젠가는 정상에 오르겠다는 집념을 갖고 있다
▣己土는 辰. 戌 충이나 丑. 未 충을 반긴다
농토는 자주 갈아 주어야 옥토로 변하기 때문에
충이 되면 자주갈아주고건드려 주는 격이 된다.
※다른 오행의 충은 90% 이상이 나쁜 작용을 한다
나. 卯木(편관)의 특성
▣卯木은 토끼에 비유하여 해석한다
⦿양순, 부지런, 민첩, 예민, 지혜롭다. 또한 겁이 많아
모험적인 일보다는 안정적인 일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상이 작고 큰일을 하지 못 한다
⦿도화성으로 치장하기를 좋아한다. 부처님과 비유하기도 한다
(부처님귀와 토끼귀가 비슷하기 때문)
⦿토끼는 한곳에 오래 머물러 있지 못하고 촐싹거리기 때문에
직장이나 주거를 자주 옮긴다
⦿왕지의 특성상 완벽주의를 추구 한다
※子. 午, 卯, 酉 중 酉金이
제일 완벽주의(寅卯辰, 巳午未를 다 거쳤기 때문)이다,
酉金이 부드러워 질려면 午火가 있어야 한다
▣卯木은 이른 봄의 기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밝고 따뜻하지만 고독하고 우울한 내면을 감추고 있으며
예민하고 신경질적인 성향이 강해서
이러한 성격을 고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卯木은 잡초이므로 강한 생명력을 지녔다
▣卯木은 무성하다, 왕성하다의 뜻과 함께
대문을 양쪽으로 활짝 열어 제친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때는 안에 것을 밖으로 끌어내거나
밖에서 안을 훤히 들여다 볼 수있기 때문에
무엇을 꾸미거나 치장을 하는 등 내면보다 외면을 중시,
즉 내가 외부에 관심을 가지는 동시에 타인의 관심을 유도 한다
⦿준비 작업을 완전히 끝내는 시기이다.
卯月은 문을 활짝 열어 밖에 있는 寅月의 건조함을 밀어내고
습기를받아만물이 성장할 수 있는에너지를 공급 한다
▣『卯』字는 칼로 물건(잎)을 2개로 발긴 형태로
분기점이나 기준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공이나 실패의 분기점으로도 작용 한다
⦿춘분이전에는 낮의 길이가 짧다가
춘분이후 부터는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계절적인 분기점도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이별,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나
독립의 의지로도 해석 한다
우후죽순의 상황처럼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다
▣왕지는 자기들이 오행의 중심이기 때문에
다른 오행으로 부터 生을 받거나
다른 오행을 生하는데도 인색하다. 즉 적극적이지가 못하다.
따라서 왕지와 왕지가 만나면 상생이 잘 되지가 않는다
※子卯의 경우⇨ 子水는 卯木을 잘 生하지 않으면서
卯木은 습한 상태를 유지한다. 고로 子卯 형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때에도 丙火가 있어 卯木의 습한 기운을 해소해 주면
子卯 형은 해소가 된다
▣卯木이 사주에 있으면⇨ 외모가 예쁘고 치장하기도 좋아 하는데,
절대로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모나지 않고 부드러운 인상과 태도를 지닌다.
⦿위험부담이 큰일을 피하고 외형적인 안정감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火가 지나치면 내실보다는 외형에 관심을 쏟는다
⦿卯木이 3개 있으면 가지가 엉켜있는 형상이 되기 때문에
성장이 안되며,이때는 庚金으로 가지치기를 해야 한다
▣卯月에는 천지자연의 분위기가 하루하루 다르기 때문에
돌출행동이나 예상치 못한 의외의 일이 발생 한다
卯木의 가장 핵심적인 의미는 뛰쳐나옴으로
앞뒤 분간하지 못하고 저지르고 보는 순진함과 도발적인 행동이다
▣卯月(봄철)의 대청소와 관련하여
대청소를 하려면 털어낼 일이 있는 것처럼
각종 우환의 발생도 우려 된다
◉봄 청소를 하려면 통풍작용을 하기 때문에
卯 대운에 이사나 인사이동 등 변화가 예상되며
◉또한 문을 활짝 열어 제치고 새로운 기운을 받아드리려면
지난날에 정들었던 묵은 기운이나 환경과의 이별도 감수해야 한다
▣卯木에는 도화와 이별, 이산이 있기 때문에
이성 관계에서 卯 운은 별로좋지 않게 해석한다.
卯 운이 있으면 한번 쯤은 이별을 경험 한다
▣卯月은 파종의 시기로 바쁘고, 새롭게 투자를 하거나
새로운 공부를 하는 것으로 풀이 된다
▣卯時는 안개가 자주 끼는 등 묘한 시기인데다
무엇을 청소하고 씻어내는 뜻을내포하고 있어
전과 등 과거(씻어내어야 할)가 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卯木은 木이 성장할 수 있는 만큼 양기가 충분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에 고통을 견뎌내고 단단해 져야 한다
즉 꽃샘추위를 이겨내고 단련 되어야만
단단한 木으로 거듭나게 된다
다. 己卯 일주의 특징
【물상과 기본 특성】
▣己卯는 “산토끼(들토끼)”로
여기저기 분주하게 돌아다니므로 이동이 많으며
행동이 민첩하고 생각이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이다
또한“밭에 자라나는 새싹”의 모습으로
어린 새싹(卯木)은 낙천적이고 순수하고 붙임성이 좋다
이외에 “화분의 화초”의 형상으로 미남미녀가 많다
▣천간 己土는 만물을 포용하고 생산하는 전답을
그리고 卯木은 만춘晩春의 기운을 의미하므로
己卯 일주는 물상적으로 “봄날의 전답”을 의미한다.
남녀 모두 자상하고 꼼꼼한 면이 있다
▣일지에 편관이 있는 사람은 자존심이 강하다
卯木은 왕지이니 더욱 그러하다,
명예와 자존심이 가치판단의 기준이다
일지 이외에 다른 곳에도 편관이 많으면
주변의 눈치를 보게되어 자신있게 행동을 하지 못하고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다
정관이 일반적인 책임이라면 편관은 무한책임을 의미한다
▣己土는 입의 형상인 가운데 己卯 일주는 현침살로
예리하고 정곡을 찌르는 말을 잘하기 때문에
가까운 사람에게 말로 상처를 주는 경우가 많으니
항상 언행에 조심을 해야 한다.
★입의 형상을 가진 己土는
丙火처럼 말을 많이 하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조리있고 설득력 있는 언변을 한다
또한 己土는 木.火와 金.水 사이에 있으니
양 쪽의 의견들을 잘 경청한다
【오행의 변화와 육신(재물, 학업, 진로.적성, 건강 등)】
▣己卯 일주의 지장간에 정관(甲木)과 편관(乙木)이 있어
관살혼잡의 구조가 되는데, 일지 지장간에 관살혼잡이 될 경우
일반적으로 사주의 구조가 불안정한 것으로 풀이를 하는데
己卯 일주의 경우에는 관살혼잡이 되더라도 길하게 작용을 한다
◉이는 일간 己土는 甲木(정관, 나무)과 乙木(편관, 화초 등)을
구분하지 않고 다 키울 수 있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戊土 일간은 甲木을 좋아하는 한편으로
乙木을 천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己土는 습토이기 때문에 甲木이나 乙木 구분하지 않고 모두 좋아한다.
따라서 己卯 일주의 지장간에 있는 甲木과 乙木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
◉“木”의 편관은 다를 오행(金,水)의 편관과는 다르다
己土는 생명을 키우는 것이 본분이기 때문에
관성인 甲木이나 乙木의 통제를 기꺼이 받아드린다
따라서 己土에 대한“木” 관살의 압박은 심하지 않은 편이다
또한 己土는 음간이기 때문에 무토에 비해서
칠살 乙木의 통제를 잘 받아 들인다
◉또한 관살혼잡의 요인으로 작용을 하고 있는
지장간의 甲木(정관)이 일간 己土와 자화간합(甲己 合土)을 하면서
관살혼잡의 요인이 사라져 버린다
◉따라서 己卯 일주는 관살혼잡의 기미가 없는
순수한 편관으로 풀이를 하게 된다
▣위와 관련하여 己卯 일주는 결론적으로
지장간에 편관(乙木) 하나만 존재하는 형국 이므로
60간지 중에서 가장 고요하고 안정된 일지 편관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안정된 편관의 기운이 깨끗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삶과 젊음의 호연지기가 공존한다.
▣己卯 일주는 성실하고 의협심과 뚝심이 있는 가운데
자손심이 강하고 명예를 중요시 하여
지도적 입장에 서있는 사람이 많다.
한편으로 남을 의심하는 경향이 있는가 하면
지구력이 부족하여 쉽게 싫증을 내기도 하며
자존심을 너무 중요시 하다보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일지 편관의 영향으로
의협심이나 명예를 앞세우다 보니 외형에 집착하여
규모가 큰 사업을 하려는 욕심이 있지만
재물에 관한 실리를 잘 챙기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식상이 공망에 해당 하므로
큰 재물을 모으는 데는 재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재물에 큰 욕심을 부리다가는 낭패를 보는 경우가 우려된다
따라서 직장 생활 등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하는 것이 좋다.
사업을 하게 될 경우에는 납품업, 대리점, 하청 사업 등이 좋다.
▣기타 진로. 적성
◉(남명) 사주가 상격이면 권력기관이나 의약계통애서 대성하나
하격인 경우 건달이나 깡패 등 법보다 주먹이 가깝다
◉의사, 약사, 법관, 무관 등 만인을 구제하는 분야에 적합하며
신앙심이 깊어서 종교나 철학에도 뜻이 깊다
◉생명을 키우는 논밭에 해당이 되므로
교육자 등 가르치는데 소질이 있다
【육친】
▣일지 편관의 영향으로 남녀 모두 배우자 연은 좋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木”의 편관은
다른 오행인 “金.水” 편관에 비해 그 통제가 덜하기 때문에
己卯 일주의 편관은 다른 일주의 편관 보다는 나은 편이다
▣(남명) 일지 편관(卯木)의 특성으로
성격이 드센 여자를 만나는 등 배우자와의 갈등이 많다.
그리고 아내보다는 자식과 일을 더 중요시 하는데
자식이나 직장이 자신을 힘들게 하는 경우가 많다.
▣(여명) 일지 卯木이 편관인데다 현침살이기 때문에
남편의 간섭이 심하여 고통이 따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편관이 식상과 반대의 기운이 되기 때문에
자식과의 인연도 좋지 않은 편이다.
▣한편으로 일간 己土와 지장간의 甲木(정관)이
자화간합(甲己 합)을 하기 때문에
己卯 일주는 다정다감한 경우도 많다
이와 관련하여 己卯 일주는 가족 우선주의 이다.
따라서 본인이 고통을 겪더라도 웬만해서는 이혼하지 않는다.
60간지 중 이혼율이 가장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