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다랑어 : Thunnus albacares (Bonnaterre)
► 외국명 : (영) Yellowfin tuna, Albacore, Ahi(하와이), (일) Kihada (キハダ), Kiwada, Kimeji(幼魚), (프) Albacore, (독) Gelbflossenthun, (스) Atún, (러) Siny tunyets
► 형 태 : 크기는 치대 전장 239㎝, 체중 200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50㎝, 체중 9~45kg 정도이다. 반짝이는 무늬를 가진 아름다운 어류인 황다랑어는 특히 야간에 인상적이다. 어부들은 먹이를 찾는 황다랑어를 보면 하와이인들이 이들을 “아히(ahi)” 또는 “불(fire)”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들 한다. 황다랑어는 주둥이에서 꼬리까지 황색 줄무늬가 있으며, 지느러미는 황색이지만 가장자리는 검다. 긴 가슴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처럼 밝게 빛난다. 황다랑어는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길어서 다른 참치류와는 쉽게 구분된다. 많은 다랑어들처럼 황다랑어 또한 발달된 근육과 신체에 폭넓게 분포한 모세혈관으로 인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온성 동물이다.
크기는 몸길이가 평균 2m, 몸무게는 180kg 정도되며 체중이 최대 201.8kg까지 자란 개체도 있다. 등은 푸른색, 배는 흰색이고 이 사이에 위치한 줄무늬는 연한 노란색이다. 이름처럼 지느러미가 전부 노란색이며, 두 번째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뒤쪽으로 길게 뻗어 나와 있는데 마치 초승달과 같은 모양이다. 특히 다 자란 성체는 이 지느러미가 눈에 쉽게 들어올 정도로 크기 때문에 다른 다랑어류와의 구별이 쉽다.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1번째 연조는 매우 길게 뻗어 있다. 몸은 대형으로 체고는 제1등지느러미의 중앙 부위에서 가장 높고,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전단부가 매우 길다. 눈은 크며 위턱의 뒤끝은 눈 앞가장가지 아래를 조금 지난다. 가슴지느러미는 다소 길어서 뒤끝부가 제2등지느러미의 기부를 조금 지난다. 꼬리지느러미는 초승달 모양이며 꼬리자루에는 1개의 융기연이 있고 꼬리지느러미의 중앙에는 2개의 융기연이 있다. 몸 등쪽은 암청색을 띠며 중앙과 배쪽은 밝은 점들이 몸을 가로지르는 약 20개의 가로띠를 형성한다. 등쪽 및 배쪽 토막지느러미는 선명한 황색을 띠며 바깥쪽 가장자리는 검다.
► 설 명 : 외양성 어류로 한국에서는 여름에 연안에서 회유(적온은 15~25℃, 20℃가 최적)한다. 서식 수온은 18~31℃로 다랑어류 중에서는 비교적 넓은 수온대에 적응하는 종이다. 제한된 서식지에 살지 않고 무리를 지어 먼 거리를 이동하면서 살아간다. 종종 다른 다랑어류나 돌고래와 함께 이동하는 모습도 관찰된다. 주로 갑각류나 두족류, 물고기 등을 먹고 사는데 종종 자기보다 몸집이 작은 다랑어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몸집이 작은 황다랑어는 이빨고래류나 상어, 그리고 자신보다 큰 다랑어류의 좋은 먹잇감이 된다. 산란은 일 년 내내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여름에 알을 가장 많이 낳는다. 알은 약 천만 개쯤 낳으며, 알은 수면 가까이 부유하다가 부화한다. 참다랑어와 달리 완전히 성숙하는데에 2년 정도의 짧은 시간이 걸린다. 먹이는 날치 무리의 작은 어류와 갑각류이다. 최대 수명은 9년 정도이다.
선어와 냉동물로 유통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연승(longline)으로 어획한 것이며, 통조림용 원료는 선망(purse seine)으로 어획된 것이다. 표층 유영군을 선망(권망)등으로 어획하고 중층 유영군은 연승으로 어획한다. 연중 유통되지만 8~11월에는 선어의 공급량이 다소 부족할 수 있다.
황다랑어는 고등어과에 속하며, 전세계 열대 및 온대 수역에 널리 분포한다. 이는 수세기 동안 상업적으로 어획되어온 5종의 참치류 중 하나이다. 황다랑어이라는 이름은 밝은 황색의 등 및 뒤지느러미와 양 측면에 세로로 뻗어있는 줄무늬에서 유래한다. 이들은 대형종으로 보통은 9~45kg 정도의 것이 어획되지만 큰 것은 180kg에 달한다. 다른 참치류와 마찬가지로 황다랑어는 유영 속도가 빠르며, 회유기에는 몇 주간에 수 천 마일을 이동할 때도 있다. 이들은 해양의 온도와 빛에 민감하여 따뜻한 바닷속의 흐름을 따라 먹이를 찾으면서 대형 군집을 형성한다. 조업선들은 수면 아래의 온도차를 감지하기 위해 선박에 걸맞지 않는 엄청난 길이의 전자장비를 갖추고 있다. 황다랑어는 참치류 중에서 두번째로 풍부한 어종이지만 이들은 돌고래와 같이 군집을 이루어 이동하기 때문에 국가별로는 돌고래가 과량으로 혼입된 항다랑어의 교역을 제한하기도 한다. 다수의 어획국에서는 돌고래가 어획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gear와 어법을 변경시키기도 하지만, 미국 정부는 비록 전통적 조업법이 돌고래에 위협을 주지 않더라도 다른 생산국에서의 황다랑어 수입을 금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황다랑어의 육질은 날개다랑어보다 어두우며, 통상적으로 참다랑어와 눈다랑어보다는 저가이다. 스테이크(steak)를 3.5~4.0㎝의 두께로 잘라서 broiled 또는 grilled로 요리한다. 황다랑어는 향신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배폭살은 매우 귀하지만 유통되고 있다. 지방이 많고 마블이 형성된 배폭살의 맛이 가장 좋다고 한다. 생선회 외에 어육소시지로도 가공되며, 통조림으로 가장 많이 가공된다.
참치 통조림으로 많이 가공되며 동양에서는 주로 회, 초밥으로 쓰이고, 서양에서는 종종 타타키로 요리되기도 한다. 참다랑어만큼 비싼 어종은 아니지만 담백한 맛이 나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찾을 때도 있다. 참치회 재료 중에서는 저렴한 축에 속한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호주, 인도 등 인도양~서부태평양, 중부태평양, 대서양 등 전 세계 온대,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수온 18~30℃의 따뜻한 수역에 서식한다. 북미주에서는 캘리포니아 원양을 유영하며, 멕시코만, 남대서양 및 하와이 원양에도 분포한다.
► 품 질 : 단단한 것의 육질 조성이 우수하다. 육질은 투명하여야 한다. 비록 배폭살 부분은 쉽게 변패되지만 어체의 다른 부분으로 변패가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 의심스러우면 플러그 샘플(plug sample)을 채취해서 지방함량과 색택을 측정하여야 한다. 도체의 혈관은 선혈처럼 빛나는 것이 우수한 것이다. 취급이 불량한 것은 혈관이 갈색을 띤다.
참치류는 변패와 하스타민의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어획 후 즉시 얼음으로 빙장해야 한다. 전체적으로는 황다랑어를 얼음에 침지시킨 형태여야 한다. 어체의 두꺼운 껍질은 육질의 건조를 막아준다. 전처리가 양호한 황다랑어의 품질유지기한은 처리 후 약 7일 정도이다. 황다랑어를 -28℃이하의 온도에서 동결 보관하면 색택의 변화가 없다. 냉동육에서 드립(drip)이 발생하면 갈변된다.
다른 참치류와 같이 황다랑어 선어는 인간에게 고등어 생선 독소(scombroid poisoning)를 야기할 수 있는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선상 냉동물이나 통조림 제품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선어도 어획 직후 급냉하면 이의 위해를 방지할 수 있다.
► 비 고 : 황다랑어 종의 학명 알바카레스(albacares)는 “색이 하얀 고기(white meat)”라는 뜻이다. 알바카레스라는 단어는 알바코어(Albacore)라고 부르는 다른 다랑어의 영어 명과 혼동을 일으키기 쉽다. 알바코어(Albacore)는 한국명의 날개다랑어(학명; Thunnus alalunga)이다. 그러나 또한 황다랑어를 프랑스어로는 albacore라고 하고 포르투갈에서는 albacora라고 함으로 혼동이 가중된다.
시중에서 종종 아히(Ahi)라는 이름으로 팔리기도 하는데 이는 하와이 언어에서 유래한 것이며, 눈다랑어를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황다랑어의 종명이 'albacares'라서 영어권 지역에서는 종종 날개다랑어(Albacore)와 혼동되기도 하는데 둘은 서로 다른 종이다.
► 자 원 : 다른 다랑어들처럼 황다랑어 또한 지나친 남획으로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한때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NT)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황다랑어 포획을 빌미로, 황다랑어와 함께 무리를 짓는 돌고래들도 포획하는 다랑어잡이 어선이 생겨나면서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었는데, 1972년 미국에서 이러한 사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양 포유류 보호법(Marine Mammal Protection Act)'이라는 법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개체수가 늘어서인지 최소관심(LC)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