尙州市
경상북도 서부에 있는 시.
1995년 상주군과 통합시를 이루었다. 오랜 문화와 전통이 있는 고장이며, 경상북도 서북부지역의 교통요지이다. 넓고 비옥한 평야가 많은 도내 굴지의 농업지대이다. 특히 상주 삼백(三白)의 고장으로서 쌀·누에고치·곶감의 생산지이다. 함창읍·사벌면·중동면·낙동면·청리면·공성면·외남면·내서면·모동면·모서면·화동면·화서면·화남면·화북면·외서면·은척면·공검면·이안면·남성동·서성동·인봉동·서문동·낙양동·개운동·연원동·남장동·무양동·초산동·부원동·죽전동·만산동·남적동·냉림동·낙상동·중덕동·화산동·계산동·복룡동·화개동·외답동·헌신동·병성동·도남동·성하동·성동동·거동동·인평동·서곡동·신봉동·가장동·양촌동·지천동·오대동·흥각동 등 1개읍 17개면 36개동이 있다. 시청소재지는 무양동이다. 면적 1,254.81㎢, 인구 115,693(2003), 인구밀도 92.2명/㎢(2003).
연혁
삼한시대에는 상주시 지역에 사벌국(沙伐國:또는 沙伐梁國, 沙弗國)이라는 소국이 있었다. 그후 3세기 중엽에는 신라의 세력권에 들어 사벌주·상주(上州)·상주(尙州) 등 신라의 행정구역이 설치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상주(尙州)가 설치되어, 1주(州), 10군(郡), 3현(縣)을 관할했다. 고려시대에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상주목(尙州牧)·귀덕군절도사(歸德郡節度使)·안동대도호부 등으로 개칭되었다가 1018년(현종 9) 전국에 8곳의 목(牧)을 설치할 때 상주목이 되었다. 당시 상주목은 7개의 속군(屬郡)과 18개의 속현(屬縣)을 거느린 대읍이었다.
조선시대에 들어 1392년(태조 1)에 경주로부터 관찰사영이 상주로 옮겨와 경상도의 정치·행정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임진왜란중인 1596년(선조 29)에 관찰사영은 경상도의 중앙에 위치한 대구로 옮겨갔다. 상주의 별호는 상락(上洛)·상산(商山)·타아(
阿) 였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1등 군(郡)이 되어 안동부에 소속되었으며, 1896년에 도제(道制)가 실시되어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로 상주의 두입지(斗入地)였던 영순면·산동면·산서면·산북면·산남면이 문경으로, 단동면·단서면·단남면·단북면이 비안으로 이관되어 면적이 크게 축소되었다. 1914년 군면폐합 때에 상주군의 24개면이 15개면으로 폐합되고, 함창군이 폐지되어 공검·함창·이안의 3개면이 편입됨으로써 다시 영역이 넓어졌다. 1914년에 내동면·내서면·내남면·내북면이 통합되어 이루어진 상주면이 1931년에 읍으로 승격되고, 1986년에는 상주읍이 시로 승격, 상주군으로부터 분리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던 상주군과 도시기능을 담당했던 상주시가 하나로 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도농통합시인 상주시를 이루었다.
자연환경
낙동강이 흐르는 동부일대를 제외하면 이 지역의 대부분은 소백산맥의 영향으로 험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시의 동부지역 일대에는 넓은 평야가 발달했다. 동쪽에 삼봉산(三峰山:448m)·건지봉(乾芝峰:421m), 서쪽에 속리산(俗離山:1,058m)·형제봉(兄弟峰:803m)·팔음산(八音山:762m)·포성봉(捕城峯:933m), 남쪽에 갑장산(甲帳山:806m)·국수봉(
水峰 : 793m), 북쪽에 남산(南山:822m)·작약산(芍藥山:763m), 시의 중앙에 노음산(露陰山 : 729m)·천봉산(天鳳山 : 436m) 등이 솟아 있다. 주요하천으로는 국수봉과 김천시의 백운산에서 발원하여 북동류하면서 공성면·청리면을 거쳐 중심시가지에서 북천(北川)과 합류, 낙동강에 흘러드는 병성천(屛城川)과, 소백산맥의 형제봉에서 발원하여 화서면·외서면·이안면을 거쳐 함창읍에서 영강(潁江)과 합류하는 이안천(利安川)이 있다. 또한 서남부를 지나 영동군으로 흘러가 금강에 합류하는 석천(石川)이 있다. 이들 하천유역에는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북동부를 흐르는 이안천의 하류지역에 함창평야와 사벌평야가 있으며, 병성천의 곡저에는 공성평야·외남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다. 비옥한 충적평야는 도내의 주요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기후는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기온의 연교차가 심하며, 강수량은 적은 편이다. 연평균기온은 12.7℃ 내외로, 1월평균기온은 -3.4℃ 내외이며, 8월평균기온은 26.4℃ 내외를 기록한다. 연평균강수량은 1,050㎜ 정도이다. 식생은 위도상 온대림에 속하며 주로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나무·굴참나무·물푸레나무 등이 자라며, 현재는 참나무류와 소나무류가 우세하다. 함창읍·이안면·은척면에는 뽕나무가 인위적인 식생군락을 이루며, 내륙의 많은 지역에는 감나무가 단지를 이루며 자란다.
인구
통합 이전 상주군의 인구변화는 1960년에 23만 9,653명에서 1965년에 26만 5,670명으로 5년간 2만 6,017명이 증가한 이후 계속 감소했다. 1965~75년에는 26만 5,670명에서 22만 2,072명으로 줄어들어, 10년간 16.4%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또한 1975~85년에는 19%의 감소율을 보였다. 1985~90년에는 8만 4,067명이 감소했는데, 이는 1986년에 상주읍이 시로 승격해 행정구역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통합 이전 상주시는 1960~70년 약 12%의 인구증가율을 보였으나, 1970~80년에는 약 7%의 감소율을 보였다. 시로 승격되기 전에 잠시 인구가 증가했으며, 1986년에는 인구 6만 1,945명의 시가 되었다. 1985~90년에는 5년간 12.5%의 높은 인구감소율을 나타냈다. 이는 상주시가 주변 농촌지역의 중심지로서 농촌인구의 감소에 따른 역할감소와 특별한 생산기반시설이 없었기 때문이다. 1995년 상주군과의 통합으로 시의 인구는 13만 5,980명으로 증가했으나, 1996년 현재 인구는 다시 감소해 13만 3,872명이 되었다. 읍·면지역에 시 전체인구의 59.5%(인구밀도 69명/㎢)가 거주하고 있으며, 동지역에 41.5%(인구밀도 494명/㎢)가 거주한다. 행정동별로 볼 때 1만 명 이상의 인구가 분포하는 지역은 함창읍(1만 647명)과 남원동(1만 3,413명)에 불과하며, 화남면(1,343명)과 화북면(2,322명)의 인구가 특히 적다.
상주시의 인구순위가 낮고, 1986년 시 승격 이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은 상주시가 배후지역에 대한 중심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합시 이후 도시내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효율적인 도시계획을 수립하여 배후지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능을 갖춘다면 경상북도 서부지역의 성장거점지역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교통
농업이 주요산업으로 낙동강연안의 낙동면을 비롯하여 상주·사벌·함창 평야를 중심으로 논농사가 활발하다. 예천과 더불어 이 일대는 영남분지의 주요 농업지대로 농산물의 집산지이기도 하다. 경지면적 285.04㎢ 가운데 논이 94.83㎢, 밭이 190.21㎢로 밭이 2배 이상 많으며, 경지율은 22.7%이다(1995). 농가수는 2만 2,588가구로 총가구수의 54.3%를 차지하여 상주시 절반 이상의 가구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요농산물은 쌀·보리이고 특산물로는 참깨·사과·곶감 및 명주·감식초·누에가루·참기름 등이 있으며, 인삼과 엽연초 재배가 이루어진다. 특히 예로부터 서부산록 지역은 양잠의 중심지로 유명했으나 지금은 점차 그 지역이 감소하고 있다.
공업은 1995년 현재 공장 140개소에 3,214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있으며, 누에고치를 원료로 한 제사업과 섬유제조업이 발달했다. 무양동·낙양동·서문동 일대가 택지로 조성되었으며, 외답동·화개동 일대는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공업지역으로 바뀌었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주변지역 농산물의 집산지 역할을 했다. 상업활동은 남성동의 중앙시장, 성동동의 남문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5일 정기시장으로 공성장·화령장·함창장·은척장 등이 있다.
경북선이 시의 동부를 남북으로 통과하여 김천에서 경부선과, 북쪽으로는 영주에서 중앙선 및 영동선과 연결되어 내륙 산간지방까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도로는 문경과 김천을 연결하는 국도가 시를 남북으로 지나고, 보은과 구미를 연결하는 국도가 동서방향으로 나 있다. 그밖에 각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가 방사상으로 뻗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도로총길이 511km, 도로포장률 80%이다(1995).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보물 12, 천연기념물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8, 기념물 7, 민속자료3), 문화재자료 9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화북면에서 마제석검이 출토되었으며, 사벌국과 삼국시대의 유적으로는 병성동의 병풍산 기슭에 있는 고분군을 비롯하여 지천동·거동동·서곡동의 고분군 및 전사벌왕릉·전고령가야왕릉 등 크고 작은 고분이 곳곳에 분포하고 있다. 산성으로는 모동면에 있는 신라시대 최고(最古)의 고성인 금돌성(今突城: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을 비롯해 화북면에 견훤산성(甄萱山城:경상북도 기념물 제53호)·노고산성, 만산동에 자산산성(紫山山城), 병성동에 병풍산성(屛風山城)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함창읍에 증촌리석불입상(曾村里石佛立像 : 보물 제118호)·증촌리석불좌상(曾村里石佛坐像 : 보물 제120호), 서성동에 복룡리석불좌상(伏龍里石佛坐像:보물 제119호), 복룡동에 복룡리당간지주(伏龍里幢竿支柱: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호), 남장동 남장사에 남장사철불좌상(보물 제990호)·보광전목조탱화(보물 제992호)·관음선원목조탱화(보물 제993호), 화서면에 신봉리석조보살입상(新鳳里石造菩薩立像: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26호), 거동동에 무양리석조부조 등이 있으며, 탑으로는 사벌면 화달리3층석탑(보물 제117호), 화북면 상오리7층석탑(보물 제683호), 지천동 갑장사3층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25호), 낙상동에 낙상동폐탑, 모동면 용호리3층석탑, 낙동면 유곡리3층석탑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신봉동에 상주향교, 함창읍 교촌리에 함창향교, 모동면 수봉리에 옥동서원(玉洞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52호), 연원동에 흥암서원(興巖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61호), 양촌동에 연악서원, 도남동에 도남서원, 화동면에 봉암서원(鳳巖書院) 등이 있으며, 화서면에 옥간사(玉澗祠), 낙동면에 상주양진당(尙州養眞堂: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5호), 상주오작당(尙州悟昨堂), 외서면에 대산루(對山樓), 남성동에 상산관(商山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7호) 등이 있다. 그밖의 유적으로는 외서면의 병암고택(甁巖古宅), 중동면의 수암종택(修巖宗宅), 사벌면의 정기룡(鄭起龍)장군 유적(경상북도 기념물 제13호)과 유물(보물 제669호), 청리면에 월간창석형제급난도(月澗蒼石兄弟急難圖), 화서면에 노소재문적(盧蘇齋文籍), 화남면에 노후 및 노흥신도비 및 현충단(懸忠壇)·용화전(龍華展)·충렬단(忠烈壇)·냉림동비석군·석각천인상(石刻天人像:보물 제661호) 등을 들 수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낙동면의 운평리구상화강암(천연기념물 제69호)과 화서면의 반송(천연기념물 제293호)이 있으며, 은척면에는 350년이 넘은 은척면의 뽕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1호)가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화북면에 속리산 국립공원에 경관이 아름다운 문장대가 있으며, 낙동강, 그리고 용화지구를 중심으로 한 오 송폭포·옥양폭포·화양동계곡 등이 있어 관광 잠재력이 큰 지역이다. 갑장산은 기암괴석과 맑은 계곡물로 여름철 피서객의 발길이 잦은 곳이며, 노음산 기슭에 위치한 남장사의 주변경관은 경상북도에서도 유명하다. 낙동강변에 있는 경천대는 낙동강과 주위를 둘러싼 산지의 송림이 서로 어울려 아름다운 경치를 연출하고 있다. 시 중심부에 조성된 남산공원은 휴식공간으로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교육·문화
전통적 교육기관으로는 상주향교·도남서원·연악서원·흥암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6년 광흥학교가 최초로 세워졌고, 1907년 상주공립보통학교(지금의 상주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이어 1910년경 낙동면에 조명강습소가 설립되었으나 1920년을 전후하여 폐교되었다. 1927년에 상주여자공립보통학교(지금의 상산초등학교)가 개교되었다. 1936년에는 상주중학교의 전신인 상주공립농업학교가, 1945년에는 상주여자중학교의 전신인 상주공립실과여학교가 각각 개교했다. 1995년 현재 교육기관은 유치원 52개소, 초등학교 48개교, 중학교 20개교, 고등학교 13개교가 있다. 가장동에 상주산업대학(옛 상주농업전문대학)과 1986년에 개교한 장애자 및 정신박약아의 초등교육기관인 상희학교가 있다.
상주문화원은 1966년부터 상주문화제를 개최해 1997년 현재 17회를 맞았으며, 언론인이며 애국지사인 장지연의 기념비 및 항일독립의거비를 제막하는 등 향토문화발전과 애향심 고취에 힘쓰고 있다. 특히 문화제의 주요행사로는 상주민요놀이·농악놀이·궁도대회 등의 민속놀이와 다양한 전시회 등이 열린다.
구전설화로는 〈상사바위전설〉·〈백정암전설〉·〈공갈못에 얽힌 전설〉·〈토끼바위이야기〉 등과 풍수지리에 관한 전설 등이 전해온다. 전승민요로는 주요농사일과 관련한 노동요가 대부분인데, 특히 초산동 지역의 민요가 유명하며 1987년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에 힘쓰고 있다. 〈치하칭칭나네〉·〈공갈못노래〉·〈아시논매기소리〉·〈두벌논매기소리〉·〈자리개타작소리〉·〈도리깨타작소리〉·〈어사용〉 등이 전승되고 있다.
1995년 현재 종교기관은 개신교 교회 150개소, 천주교 교회 6개소, 불교 사찰 59개소, 유교 교당 2개소가 있으며 의료기관으로 종합병원 3개소, 의원 18개소, 치과의원 14개소, 한의원 14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45개소, 사회복지시설로는 장애자복지회관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