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소요유 (逍遙遊)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주역입문 스크랩 ?雅
篤敬先生 추천 0 조회 36 12.10.19 10:51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爾雅≫는 중국 최초의 전문 훈고서적이자 최초의 詞典이다.

 

‘爾’는 ‘가깝다(近)’는 뜻이고 ‘雅’는 ‘바르다(正)’는 의미이므로 ‘爾雅’라는 서명의 뜻은 곧 ‘바른 것(표준)에 가깝다’는 것이다. 서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아는 올바른 기준에 의거하여 이전 훈고의 同異를 설명하고 표준어와 방언? 통속어를 구분해 놓은 책이다.

≪이아≫가 나온 이후 ≪廣雅≫나 ≪小爾雅≫같은 비슷한 성격의 책이 계속 나와 훈고학에서 ‘雅學’이라는 전문 분야를 형성하기까지 하였다.≪漢書≫에 의하면 ≪이아≫는 모두 20편이라고 되어 있지만 지금 판본은 19편뿐이다.

그 19편은 <釋?>? <釋言>? <釋訓>? <釋親>? <釋宮>? <釋器>? <釋樂>? <釋天>? <釋地>? <釋丘>? <釋山>? <釋水>? <釋草>? <釋木>? <釋蟲>? <釋魚>? <釋鳥>? <釋獸>? <釋畜>이다.

앞의 <釋?>? <釋言>? <釋訓> 세 편은 명칭이 아닌 일반 단어들을 설명한 것이고 나머지 16편은 사물의 명칭을 설명한 것인데 필요에 따라 같은 편에서도 종류별로 분류하였다.

예를 들면 <釋親>편은 親屬에 관한 명칭을 설명한 것인데 다시 宗族? 母黨? 妻黨? 婚姻의 네 개로 분류되어 있다.

<釋宮>편은 宮室에 관련된 명칭을 설명한 부분인데 궁실과 관련이 있는 도로나 교량에 관한 명칭도 수록되어 있다.

<釋器>편은 각종 器物에 관한 명칭을 설명하였고?

<釋樂>편은 음악 용어와 악기의 명칭을 설명하였다.

<釋天>편은 天文과 관련한 명칭을 설명하였는데 四時? 祥? 災? 歲陽? 歲陰? 歲名? 月陽? 月名? 風雨? 星名? 祭名? 講武? 旌旗 등의 13개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釋地>편은 地理와 관련된 명칭을 설명하였는데 九洲? 十藪? 八陵? 九府? 五方? 野? 四極으로 나누었다.

<釋丘>편은 自然과 高地에 관련한 명칭을 설명하였는데 丘와 崖岸 둘로 나누었다.

<釋山>편은 산악에 관련된 명칭을?

<釋水>는 하류에 관한 명칭을 설명하였는데 水泉? 水中? 河曲? 九河의 네 개로 나누었다.

<釋草>편은 풀에 관한 명칭?

<釋木>편은 나무에 관한 명칭?

<釋蟲>은 곤충에 관한 명칭?

<釋魚>는 고기에 관한 명칭?

<釋鳥>는 새에 관한 명칭?

<釋獸>는 짐승에 관한 명칭?

<釋畜>은 가축의 명칭을 각각 설명하였다.

 

≪이아≫에서 단어의 뜻을 설명하는 방식은 “某? 某? 某?…某也.”이다. 예를 들어 <釋?>편에서 “林·烝·天·帝·皇·王·后·?·公·侯? 君也.”라고 하여 ‘林’을 비롯한 열 개의 단어를 나열한 뒤 ‘君也’라는 식의 해설을 덧붙이는 것이다. ‘某也’는 解釋詞로서 대부분 상용되고 이해하기 쉬운 단어를 사용하고? 被解釋詞는 이전시기에 쓰이던 말이나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나온다.

앞의 <釋?>? <釋言>? <釋訓> 세 편은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사물의 명칭을 설명하는 뒤의 나머지 편들은 그 명칭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가령 <釋器>편에서 ‘豆’? ‘?’? ‘登’의 명칭을 설명하면서 “木豆謂之豆. 竹豆謂之?. 瓦豆謂之登.”이라고 하여 재료상의 차이를 들어 이 명칭을 설명하였다.

≪이아≫의 이러한 훈고 방식은 비과학적인 측면도 있다. 특히 하나의 단어로 다른 단어를 설명하는 방식은 해석의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고? 피해석사가 多義語일 경우 다른 의미를 설명하지 못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개의 피해석사를 나열하다 보니 유의어가 아닌 단어들까지 함께 나열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釋?>편의 “台·朕·賚·?·卜·陽? 予也.”라는 항목을 보면 해석사 ‘予’가 ‘주다’는 의미와 ‘나’라는 일인칭을 나타내는데 피해석사에는 이 두 가지 의미가 혼재되어 賚·?·卜은 ‘주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台·朕·陽은 ‘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아≫의 작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한서·예문지≫에서도 ≪이아≫가 실려있지만 편찬자는 밝혀져 있지 않다. 魏의 張揖이 최초로 “≪이아≫는 주공이 지었고? 공자가 더하였고? 子夏가 덧붙이고? 叔孫通이 보태었다”고 하였다. 그 후 唐 陸德明은 ≪이아≫ 중 <釋?>편만 周公이 지었다고 주장하였으나 歐陽修를 비롯한 송대 학자들은 張揖의 설이 타당하지 않다고 반박하였다.

최근 학자들은 ≪이아≫가 한사람이 편찬한 책이 아니라 漢代 소학가들의 손에서 나왔으며 여러 번의 증감 과정을 거친 책이며? 成書 시기는 漢 武帝 이후? 哀帝·平帝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아≫는 周秦시대에 훈고한 자료를 모아놓은 책이기 때문에 옛 전적을 읽거나 고대 중국어의 어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은 중국 언어학사상? 특히 훈고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唐宋 이후에는 13經에 포함될 정도로 존중되었다. 東漢시기에는 舍人? 樊光? 李巡? 孫炎 등이 注를 달았으나 모두 없어졌다.

규장각본은 郭璞의 注와 陸德明의 音義를 수록한 것이다. 곽박의 주는 현존하는 최초의 주석본이다.

곽박의 주 다음에는 육덕명의 音義가 나오는데 이는 ≪經典釋文≫중의 <爾雅音義>를 수록한 것이다. 규장각 판본은 光緖 9년 湘西經濟書局에서 校刊한 것이다.

(손민정)참고문헌: ≪中國學術名著提要≫? ≪爾雅硏究≫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 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MOK/CONVIEW.jsp?cn=GC03370_00&lclass=11&ntype=hj&ptype=list&subtype=jg&type=HEJ

 

 

...

 

 

 

 

《爾雅》(이아), ?雅, Erya.



현존하는 中國 最早의 解釋詞義한 中國 古代 詞典이다. 儒家에서는 經典의 하나로 중시하여 十三經之中에 列入하기도 했다. ‘爾’는 近正하다는 뜻이며 ‘雅’는 ‘雅言’으로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邇는 邇에 대한 가차자로 본 것이다. 외국학자인 W. South Coblin(1993: 94)은 “The interpretation of the title as something like ‘approaching what is correct, proper, refined’ is now widely accepted.”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이런 풀이를 존중한다면 爾雅라는 말 자체는 官方에서 規定한 規範 語言가 된다. 즉, 爾雅는 시대별, 지역별로 쓰임이 다른 언어(특히 단어)를 그것이 편찬될 당시 官方 規定 語言에 소통시키고자 하는 뜻에서 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爾雅》는 後代에 古代詞語를 考證할 때는 필수적인 著作이며 특히 淸代 考證學에서 매우 중시된다. 宋代에는 13經에 포함되기도 했다.

이를 영어로 옮길 때는 ‘The Literary Expositor’ ‘The Ready Rectifier’(이 둘은 모두 James Legge에 의한다)라고 하거나 ‘Progress Towards Correctness’(A. von Rosthorn)라고 한다. 이 중 가장 후자가 原義를 그대로 살리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作者에 대한 說者은 區區한데 孔子 門人이 지었다고 하며 심지어는 周公의 所作을 바탕으로 後人이 增益하여 完成했다고도 하지만 이는 모두가 대추나무 번개 치는 소리라. 덮어놓고 모든 경전을 周公과 孔子에다 끌어 붙이고자 하는 稚氣어린 행동이다. 秦漢時人의 所作이라는 주장이 가장 近理하거니와 이후 이것이 중시되면서 후대에 增益이 있다가 西漢時에 그것을 整理하여 加工한 형태가 지금의 爾雅로 되었을 것으로 본다. 외국학자 중 Bernhard Karlgren(1931: 49)은 “the major part of its glosses must reasonably date from” the 3rd century BC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班固의 《漢書ㆍ藝文志》에는 《爾雅》3卷 20篇이라 著錄했다. 唐朝 以後에는 이를 ‘經部’에 列入하여 儒家 經典의 하나로 삼았다. 現存 《爾雅》는 19篇이라 班固과 所說한 20篇과는 不同하다. ?朝 때 사람인 송상봉宋翔鳳은 이런 차이가 원래 있던 ‘序’가 亡失된 까닭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19篇 名稱과 그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釋?》(석고) : 古代 詞彙에 대한 解釋
《釋言》(석언) : 일부 動詞와 形容詞에 대한 解釋
《釋訓》(석훈) : 連綿詞와 片語, 形容詞, 그리고 副詞를 해석
《釋親》(석친) : 親屬 稱呼에 대한 고찰
《釋宮》(석궁) : 宮室과 建築에 대한 解釋
《釋器》(석기) : 日常 用具ㆍ?食ㆍ衣服에 대한 解釋
《釋樂》(석악) : 樂器에 대한 解釋
《釋天》(석천) : 天文曆法에 대한 解釋
《釋地》(석지) : 行政區劃에 대한 解釋
《釋丘》(석구) : 丘陵ㆍ高地에 대한 解釋
《釋山》(석산) : 山脈에 대한 解釋
《釋水》(석수) : 河流에 대한 解釋
《釋草》(석초) : 花草에 대한 解釋
《釋木》(석목) : 樹木에 대한 解釋
《釋蟲》(석충) : 昆蟲에 대한 解釋
《釋魚》(석어) : 魚類에 대한 解釋
《釋鳥》(석조) : 鳥類에 대한 解釋
《釋獸》(석수) : 動物에 대한 解釋
《釋畜》(석축) : 動物에 대한 解釋

앞 3篇, 즉, ?ㆍ言ㆍ訓은 그 분류 체계나 기준에 모호한 측면이 있는 반면, 13~19篇은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분류 체계가 분명하게 와 닿는다. 다만 당시 개념과 지금 개념에는 차이가 있으니 예컨대 ‘?鼠’는 날아다닌다 해서 爾雅에서는 釋鳥에다가 집어넣은 것이 그것이다. 더불어 도로와 교량을 宮에다가 포함시킨 대목도 그렇다. Karlgren(1931: 46)이 말하기를 이아는 “is not a dictionary in abstracto, it is a collection of direct glosses to concrete passages in ancient texts.”라고 했다.

수록 표제 항목은 2천94개이며 풀이를 시도한 글자 혹은 단어는 4천300개이고 이에 수록된 글자는 1만3천113개다.

卷頭 3篇은 同義語를 分類했으니 예컨대 “初ㆍ哉ㆍ首ㆍ基ㆍ肇ㆍ祖ㆍ元ㆍ胎ㆍ?ㆍ落ㆍ?輿는 始라는 뜻이다”(??)와 같은 형식을 띤다. ‘??’ 篇은 古人이 사용한 同義語를 분류하고 ‘?言’ 篇은 日常語, ‘?訓’ 篇은 主로 連綿語(2음절어) 등의 同義語를 분류했다. 이후 ‘?親’ ‘?宮’ ‘?器’ ‘??’ ‘?天’ ‘?地’ ‘?丘’ ‘?山’ ‘?水’ ‘?草’ ‘?木’ ‘?蟲’ ‘?魚’ ‘?鳥’ ‘??’ ‘?畜’은 事物의 명칭이나 語義를 해설했다.

爾雅는 解釋이 甚簡한 관계로 후세에 許多한 註釋ㆍ考證 작업이 진행되니 그 주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晉朝 郭璞 《爾雅注》: the Western Jin Dynasty Erya zhu(爾雅注; ‘Erya Commentary’) by Guo Pu(郭璞; 276-324 CE)
北宋 邢昺 《爾雅疏》: the Northern Song Dynasty Erya shu(爾雅疏; ‘Erya Subcommentary’) by Xing Bing(邢昺; 931-1010)
宋代 羅願 《爾雅翼》 : the Song Dynasty Eryayi(爾雅翼; ‘Wings to the Erya’) by Luo Yuan(羅願; 1136-1184)
?朝 馬國翰 《爾雅古注》
? 邵晉涵 《爾雅正義》: the Qing Dynasty Erya zhengyi(爾雅正義; ‘Correct Meanings of the Erya’) by Shao Jinhan (邵晋涵; 1743-1796)
? ?懿行 《爾雅義疏》: the Qing Dynasty Erya yishu(爾雅義疏 ‘Subcommentary on Meanings of the Erya’) by Hao Yixing(?懿行; 1757-1825)
이 중 郭璞注와 邢昺疏를 합친 《爾雅注疏》는 《十三?注疏》에 所?되었다.

後世에는 爾雅를 본떠 제작된 著作들을 ‘군아’(群雅)라고 한묶음하기에 이르니 이에 속하는 것으로는 아래를 열거할 수 있다.

《小爾雅》
三國時期 魏 張揖 《廣雅》
宋朝 陸細 《?雅》
宋朝 羅願 《爾雅翼》, 共 32卷. [1]
明朝 萬歷年間 朱謀 《?雅》

《?字分箋》
明朝 方以智 《通雅》
?朝 孔? 《小爾雅義證》[2]
?朝 王煦 《小爾雅疏》[3]
?朝 吳玉搢 《別雅》
?朝 洪亮吉 《比雅》
?朝 史夢蘭 《疊雅》
?朝 葛其仁 《小爾雅疏證》[4]
?朝 光? 十六年(1890年) 宋翔鳳 《小爾雅訓纂》[5]
?朝 《小爾雅校證》

日本에서는 律令制 하 대학료(大?寮)에서 《文選》과 正史 등과 함께 紀?道(文章道)의 교과서로 중시되었다. 《爾雅》를 規範으로 삼아 平安 中期에는 源順가 《和名類聚抄》를 편찬했다. 또, 江?時代에 貝原好古는 《和爾雅》(1694)를 저술하고 新井白石은 《東雅》(1719)를 썼다.

參考資料
^ (正體中文) 爾雅翼.重編國語辭典修訂本.於2008年8月25日?閱.
^ (正體中文) 小爾雅義證.《數位典藏聯合目錄》.於2008年8月25日?閱.
^ (正體中文) ?詢結果.香港科技大學圖書館.於2008年8月25日?閱.
^ (正體中文) 台灣全國圖書書目資訊網.台灣全國圖書書目資訊網.於2008年8月25日?閱.
^ (正體中文) 小爾雅訓纂.中國古籍目錄.於2008年8月25日?閱.

 

Chapter Chinese pinyin Translation Subject
1 釋? Shigu Explaining Old Words verbs, adjectives, adverbs, grammatical particles
2 釋言 Shiyan Explaining Words verbs, adjectives, adverbs
3 釋訓 Shixun Explaining Instructions adjectives, adverbs, mostly with reduplication
4 釋親 Shiqin Explaining Relatives kinship, marriage
5 釋宮 Shigong Explaining Dwellings architecture, engineering
6 釋器 Shiqi Explaining Utensils tools, weapons, clothing, and their uses
7 釋樂 Shiyue Explaining Music music, musical instruments, dancing
8 釋天 Shitian Explaining Heaven astronomy, astrology, meteorology, calendar
9 釋地 Shidi Explaining Earth geography, geology, some regional lore
10 釋丘 Shiqiu Explaining Hills topography, Fengshui terms
11 釋山 Shishan Explaining Mountains mountains, famous mountains
12 釋水 Shishui Explaining Rivers rivers, navigation, irrigation, boating
13 釋草 Shicao Explaining Plants grasses, herbs, grains, vegetables
14 釋木 Shimu Explaining Trees trees, shrubs, some botanical terms
15 釋蟲 Shichong Explaining Insects insects, spiders, reptiles, etc.
16 釋魚 Shiyu Explaining Fishes fish, amphibians, crustaceans, reptiles, etc.
17 釋鳥 Shiniao Explaining Birds wildfowl, ornithology
18 釋獸 Shishou Explaining Beasts wild animals, legendary animals
19 釋畜 Shichu Explaining Domestic Animals livestock, pets, poultry, some zoological terms


구미학계에서 이아는 전편이 영어로 완역되지 않은 유일한 경전이지만 일부 박사학위 논문에서 부분 번역을 시도하기도 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post/114733/NewsList.aspx

 

 

 

 

 

?雅

이아

-전국시대

*작 자 소 개*
<이아>는 아주 오래전에 <한서ㆍ예문지>에 기록되었으나, 작자의 이름은 기재가 되어있지 않다. <이아>의 쓰여진 연도와 작자에 관해서는, 여태껏 다르게 보고 있는데, 어떤 이는 서주 초년 주 공단이 짓고, 그 후에 공자와 그의 제자가 내용을 보충하였다고 여기고, 다른 어떤 이는 공자의 제자가 집필하였다고 한다. 이 갖가지 의견은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의심을 갖게 한다. 역사적 사료에 따라 추측하건대, <이아>가 출판된 상한선은 전국시대보다 이를 리가 없다. 왜냐하면 이 책에 사용된 자료들이 <초사>, <장자>, <여씨춘추> 등에서 나왔으며, 이러한 책들은 전국시대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책 속에 언급된 동물인 산예(즉, 사자라는 말)는 연구에 따르면 전국시대 이전에는 볼 수 없는 것이라 한다. <이아>가 출판된 하한선은 서한 초년보다는 늦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한문제 때 이미 <이아>의 박사를 설치하였고, 한무제 때에는 이미 건위문학의 <이아주>가 출현하였다. 제일 처음으로 책이 출판된 시기는 전국시대 말이며, 당시의 몇몇 유생들이 각종 여러 자료를 모아서 만든 것이다. 여러 번의 진나라의 재난과 전란을 겪은 후, 이 책은 한 대 초기에 다시 세상에 나오게 되었고, 또한 경학에 통달한 유생들의 끊임없는 보충으로, 비로소 지금 우리가 보는 <이아>가 되었다.


*배 경 제 시*
<이아>는 오경 해석을 위주로 다른 경전들의 뜻을 해석한 훈고 모음집이다. 훈고가 싹트기 시작한 것은 춘추전국시대이며, 서한 때에 이르러, 비로소 비교적 큰 발전을 가져왔다. 왜냐하면, 춘추전국시대부터 서한 때까지, 몇 백년간, 언어와 문자에 크나큰 변화가 있었는데, 일반인은 이미 고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전문적인 학자의 강의를 필요로 했다.
그리고 한대의 통치자는 유가의 경전을 바탕으로 자신의 통치를 견고하게 하려하여, 오경으로 이루어진 <시>, <서>, <예>, <역>, <춘추>를 존중하였고, 게다가 오경박사를 두어 관학에서 경서의 뜻을 강의했다. 이로 훈고학의 번영이 촉진되었다.


*내 용 요 점*
이미 알려진 바에 의하면 제일 먼저 <이아>를 언급한 책은 <한서ㆍ예문지>로서, 그 중 <이아>에 대한 기록이 3권 20편에 달한다. 여기에 나열된 숫자와 19편으로 나뉜 현행판본의 견해가 다름은 여태까지 사람들로 하여금 만족할 만한 해석을 얻지 못했다. 현행판본 19편을 보면 매 편 제목의 첫 글자는 모두 “석”자를 선두에 두고, 뒤따른 다음 글자는 편중의 대부분 처리된 재료의 성질을 서술한다. 전편에 수록된 글자 수는 4300자여자이며, 2091개의 항목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목과 각 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일) <<석고>> : 동사, 일반적으로 형용사 혹은 부사에 사용하며, 아울러 일부 허사까지.(이) <<석언>> : 동사.
(삼) <<석훈>> : 원시적인 상태동사 혹은 자서술동사, 그중 다수가 중첩된 쌍음절사.
(사) <<석친>> : 친척을 일컫는 말.
(오) <<석관> : 건축용어.
(육) <<석기>> : 범위가 아주 넓은 그릇의 이름, 그리고 이러한 말과 관련된 동사에 사용.(칠) <<석악>> : 악기이름과 몇몇 음악 술어의 항목.
(팔) <<석천>> : 천문, 달력, 기상용어.
(구) <<석지>> : 지리 및 지질용어.
(십) <<석구>> : 토구(언덕)와 관련된 용어.
(십일) <<석산>> : 산과 관련된 용어와 유명한 산맥 지명.
(십이) <<석수>> : 강과 개울과 관련된 용어, 그리고 이를테면 섬과 선박 따위의 각종각양의 항목.
(십삼) <<석초>> : 풀, 약초 그리고 채소의 이름.
(십사) <<석목>> : 나무와 관목의 이름.
(십오) <<석충>> : 곤충, 거미, 파충류 등 벌레류 이름.
(십육) <<석어>> : 각종각양의 수생동물, 이를테면 물고기, 양서동물과 갑각류동물.
(십칠) <<석조>> : 야생조류의 이름.
(십구) <<석축>> : 인공사육동물과 가금의 이름.

이 19편의 전 3편과 후 16편은 현저한 차이가 있어,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전3편, 즉“석고”, “석언, “석훈”에 해석된 것은 일반적인 단어이고, 후세의 어문사전과 유사하다. 그 중“석고"는 고대의 단어를 해석하였는데, 그것은 옛날부터 있었던 약간의 단어들을 함께 모은 것으로, 해석된 단어들은, 당시 통용되었던 단어를 사용하여 그것들을 해석하였다. “석언”은 글자를 해석 대상으로 삼았고, 대부분의 해석된 단어는 단지 한 두개이다. “석훈”은 전문적으로 사물의 모습을 묘사한 첩음사 혹은 연면사를 해설한다.
<<이아>> 후 16편은 사물의 분류에 따라 나누어 각종 사물의 명칭을 해설하였고, 후세의 백과명사사전과 유사하다. 그 중“석친”, “석음”, “석기”, “석악”, 네 편의 해석은 친척 호칭과 가옥 기물의 명칭이다.
한 대에는, 아이들이 글자를 아는 단계의 교육이 완성된 후, <<논경>>과 <<이아>>를 읽어야 “박물불혹(지식이 박식하고 의혹을 느끼지 아니함)” 이라 할 수 있었고, 조(새), 수(짐승), 초(풀), 목(나무), 충(곤충), 어(물고기)의 이름을 많이 아는 것은, 각종 지식을 성장시켰다.
지금의 기준으로 본다면, <<이아>>의 지식 용량은 비교적 한정되었으나, 고대에는 대단히 훌륭한 것이었다.


*열 독 지 도*
<<이아>> 그 자체의 분류에 따라, 한 분류 한 분류씩 본다면, 큰 방향을 파악하는데 주의해야 한다. : “<<이아>>” 전 3편은 즉 “석고”, “석언”, “석훈” 의 해석은 일반적인 단어이며, 후세의 어문사전과 유사하다. ; <<이아>> 후 16편은 사물의 종류에 따라 구별하여 각종 사물의 명칭을 해석했으며, 후세의 백과명사사전과 유사하다.


-참고-
*작 품 평 가*
<<이아>>를 한데 모아보면, 선진(춘추전국시대) 고서 속의 많은 옛말옛뜻이 해석되어, 유생들이 경서를 읽음에, 그 방면에 정통한 중요 공구서(조사, 연구 등의 참고가 되는 사전)가 되었고, 한대에 <<이아>>는 유가경전으로 간주되었고, 송대에 이르러서는 13경의 하나에 속하게 되었다.
사실상, 그것은 한권의 독립된 사전이다. 사람들은 이 사전의 도움을 빌어, 고서를 읽을 수 있고, 고대 어휘 연구를 진행한다. ; 고대 사회를 이해할 수 있고, 각종 지식을 성장시킨다. <<이아>>에 의해 창시된 의미의 분류에 따라 배열된 격식과 많은 종류의 단어 해석 방법은, 후대 사서, 유서의 발전에 크나큰 영향을 낳았다.

*관 련 내 용*
<<광야>>는 <<이아>>를 모방한 한 부의 훈시를 모은 책이다. <<이아>>의 후속편과도 같다. 목차는 19종류로 나뉘며 각 편의 명칭과 순서와 설명의 방식과 전 책의 체제(격식) 또한 모두 <<이아>>와 같다. <<광야>>의 작자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지이고, 원래의 책은 상중하 세권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총 18150자이다. <<광야>>의 전 세 편은, “석고”, “석언”, “석훈”이며, 일반 단어들을 해석한 것이다. “석친”이후의 16편은 백과 명사의 설명으로 되어 있다. 그 중 “석친”은 친척간의 호칭과 사람 신체의 이름을 해석해 둔 것이다. “석궁”은 가옥 건축 방면의 어휘에 관한 것을 해석한 것이고, “석기”는 기구의 용도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골격과 피부, 오장육부, 음식 등의 방면의 어휘를 설명하였다. “석악”은 음악의 명칭과 악기의 명칭과 기물, 건축물의 형상과 구조와 예법과 음악의 제도를 설명한 것이다.

 

 

http://cafe.daum.net/pufs2/5JSz/29

 

 

 

 

<?雅> 第一部?典

<?雅>是我?最早的一部解???的?著,也是第一部按照??系?和事物分???纂的?典。作??名,‘?’是‘近’的意思(后??作‘?’),‘雅’是‘正’的意思,在?里?指‘雅言’,?在?音、??和?法等方面都合乎?范的?准?。<?雅>的意思是接近、符合雅言,?以雅正之言解?古??、方言?,使之近于?范。

<?雅>最早著?于<??·?文志>,但未?作者姓名。

?于<?雅>的?作年代及作者,???法不一。有人??是西周初年周公旦所作,后?孔子及其弟子作?增?,有人??是孔子弟子??的。????法都不可信。<?雅>成?的上限不?早于??,因??中所用的?料,有的?自<楚?>、<庄子>、<?氏春秋>等?,而?些?是???代的作品。?中?到的一些?物,如??(su?n,??子),据?究,不是??以前所能?到的。<?雅>成?的下限不??于西?初年,因?在?文帝?已??置了<?雅>博士,到?武帝?已?出?了??文?的<?雅注>。

?<?雅>的性??看,?本是一部以解?五?的???主,通?群???的????,而??萌芽于春秋??,到西??才有?大的?展。因??春秋??到西?,?百年?,?言文字?生了?大的?化,一般人已?不大看得?古?,需要有??的?者??解。而?代的?治者力?用儒家的?典??固自己的?治,于是尊<?>、<?>、<?>、<易>、<春秋>?五?,??立五?博士,在官?里?授??。?就促?了??的繁?。??家????先秦流?下?的儒家?典作注解,??后把?些?文而?的各?典籍的注解?集到一起,按照一定的?例分??排起?。<?雅>就是??一部????。??非是一人一?之作,最初成??在??末年,是由??一些儒生?集各??料而成。??秦火、??之后,?部?在?代初年重新?世,又????儒生的??增?,才成?今天所?到的<?雅>。

<?雅>全?收??4300多?,分?2091??目。?些?目按??分?‘??’、‘?言’、‘??’、‘??’、‘??’、‘?器’、‘??(yu?)’、‘?天’、‘?地’、‘?丘’、‘?山’、‘?水’、‘?草’、‘?木’、‘??’、‘??’、‘??’、‘??’、‘?畜(ch?)’等19篇。

?19篇的前3篇?后16篇有?著的??,可以分成?大?。前3篇,?‘??’、‘?言’、‘??’解?的是一般??,?似后世的?文?典。例如:

如、適、之、嫁、?(c?)、逝,往也。(??)
克,能也。(?言)
明明,斤斤,察也。(??)

其中‘??’是解?古代的?,?把古已有之的若干???聚在一起,作?被???,用一???通行的?去解???。‘?言’是以字作?解??象,被???大多只有一??。‘??’??解?描?事物情貌的?音?或???。?管作??文?典??,?的注??于??,?多?目??是同??表,但是?在公元前2世?就能?生出??的著作,就是在世界???纂?史上也堪?第一了。

<?雅>后16篇是根据事物的???分篇解?各?事物的名?,?似后世的百科名??典。其中‘??’、‘??’、‘?器’、‘??’等4篇解?的是????和?室器物的名?。

例如:

?我舅者,吾?之甥也。(??)

??之堂?之塾。(??) 肉倍好?之璧,好倍肉?之瑗,肉好若一?之?。 (?器)
大鼓?之?(f?n),小者?之?(y?ng)。(??)
‘?天’、‘?地’、‘?丘’、‘?山’、‘?水’等5篇解?的是?于天文地理方面的??。
例如:
?,?也。夏曰?,商曰祀,周曰年,唐虞曰?。 (?天)
墳莫大于河墳。(?地)
?高?之,京;非人?之,丘。(?丘)
泰山??岳,?山?西岳,?山?南岳,恒山?北岳,嵩山?中岳。(?山)
水注川曰溪,注溪曰谷,注谷曰?,注?曰?,注?曰?。(?水)
‘?草’、‘?木’以下7篇解?的是?于植物?物方面的??。

例如:
木?之?,草?之?,不?而?者?之秀,?而不?者?之英。(?草)
?,松?柏身。?,柏?松身。(?木)
有足?之?,无足?之?。(??)
?,?子。(??)
舒雁,?。舒?(f?),?(w?)。(??)
?,如熊,?白文。(??)
狗四尺?獒。(?畜)

<?雅>后16篇相?于百科?典。在?代,?童在完成?字?段的?育后,要?<??>、<孝?>和<?雅>?3部?。??<?雅>可以‘博物不惑’,多???草木??之名,增?各?知?。?管用今天的?准?看,<?雅>的知?容量相?有限,但是在古代已?非常可?了。所以有人?,<?雅>是我?古代的百科全?。

在?史上,<?雅>?受推崇。?是由于<?雅>??、解?了先秦古籍中的?多古?古?,成?儒生???、通?的重要工具?。在?代<?雅>就被??儒家?典,到宋代被列?十三?之一。事?上,<?雅>?不是?,也不是某一部??的附庸,?是一本?立的?典。人?借助于?部?典的?助,可以??古籍,?行古代??的?究;可以了解古代社?,增?各?知?。

<?雅>在中??言?史和??史上都占有?著的地位。

<?雅>首?的按意?分??排的?例和多???方法,?后代??、??的?展?生了?大的影?。后人模?<?雅>,?作了一系列以‘雅’??名的??,如<小?雅>、<?雅>、<?雅>、<?雅>、<通雅>、<?雅>等等,而?究雅?又成?一???,被??‘雅?’。

??唐到?代,?<?雅>作注的人?多。?存的最早最完整的注本是晋代郭璞的<?雅注>。<十三?注疏>中的<?雅注疏>采用的是郭璞的<?雅注>和北宋邢昺的<?雅疏>。?人?究<?雅>的著作不下20?,其中最著名的是邵晋涵的<?雅正?>和?懿行的<?雅?疏>。今人注有徐朝?的<?雅今注>,文字深入?出、?明扼要,?附有??索引,最利于??、??。

 

 

 

 

中?人必?掌握的常? 

 

文 ?

【四?】《??》、《中庸》、《大?》、《孟子》
【五?】《??》、《??》、《??》、《易?》、《春秋》
【八股文】破?、承?、起?、入手、起股、中股、后股、束股
【六子全?】《老子》、《庄子》、《列子》、《荀子》、《?子法言》、《文中子中?》
【?字六?】象形、指事、形?、?意、?注、假借
【?法九?】落?、??、藏峰、藏?、?尾、疾?、掠?、??、???勒
【竹林七?】?康、?伶、阮籍、山?、阮咸、向秀、王戎
【?中八仙】李白、?知章、李适之、李?、崔宗之、?晋、?旭、焦遂
【蜀之八仙】容成公、李耳、董促舒、?道陵、?君平、李八百、范?生、?朱先生
【?州八怪】?板?、汪士?、李?、??、金?、高翔、李方?、?聘
【北宋四大家】?庭?、??修、??、王安石
【唐宋古文八大家】?愈、柳宗元、??修、?洵、??、??、王安石、曾?
【十三?】《易?》、《??》、《??》、《??》、《??》、《公羊?》、《?梁?》、《左?》、《孝?》、《??》、《?雅》、《孟子》
【二 十四史】《史?》??·司???、《??》??·班固?、《后??》?范?、司?彪?、《裴注三?志》?晋·???、《晋?》?唐·房玄?等?、《宋?》 ?南朝梁·沈??、《南??》?南朝梁·?子??、《梁?》?唐·姚思廉?、《??》?唐·姚思廉?、《魏?》?北?·魏收?、《北??》?唐·李百 ??、《周?》?唐·令狐德?等?、《隋?》?唐·魏征等?、《南史》?唐·李延??、《北史》?唐·李延??、《?唐?》?后晋·沈?等?、《新唐?》 ?宋·??修、宋祁?、《?五代史》?宋·薛居正等?、《新五代史》?宋·??修?、《宋史》?元·??等?、《?史》?元·??等?、《金史》?元·? ?等?、《元史》?明·宋濂等?、《明史》??·?廷玉等?、
【四大名著】??中《三?演?》、施耐庵《水??》、?承恩《西游?》、曹雪芹《???》
【四大民???】《牛??女》、《孟姜女》、《梁山伯?祝英台》、《白蛇??仙》
【四大文化??】《明??案》、《殷墟甲骨》、《居延??》、《敦煌?卷》
【元代四大??】??卿《?娥?》、王?甫《西??》、??祖《牡丹亭》、洪升《?生殿》
【??四大??小?】李?嘉《官??形?》、?沃?《二十年目睹之怪??》、??《老?游?》、曾朴《?海花》
【莎士比?四大悲?】《?姆?特》、《李?王》、《?克白》、《???》
【??名句】?《??吟》唐·?籍?君知妾有夫 ?妾?明珠 感君??意 系在??? 妾家高??苑起良人??明光里 知君用心如日月 事夫誓?同生死 ?君明珠??垂 恨不相逢未嫁?
?《?婢》唐·崔郊?公子王?逐后?,?珠垂?滴?巾。侯?一入深似海,?此??是路人。

 

 

http://www.ddokbaro.com/873?srchid=BR1http%3A%2F%2Fwww.ddokbaro.com%2F873

 

 

 

 

 

 

 

 

 

 

 

 
다음검색
댓글
  • 15.04.27 15:30

    첫댓글 爾雅 가 우리에겐 고어사전 격이네요. 2500년 전에 이런 책이 있었다니 감탄할 뿐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