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애등급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손실일수  | 5,500  | 4,000  | 3,000  | 2,200  | 1,500  | 1,000  | 600  | 400  | 200  | 100  | 50  | 
-.
일시 전노동불능 상해에 의한 재해손실일수의 산출공식
근로손실일수 = 휴업일수 × 300/365
(1) 특징
-. 사고가 일어남으로써 상실한 노동시간은 상해의 강도와 비례
-. 발생건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상해 정도를 모두 고려한다.
4) 도수율과 강도율의 관계
(1) 환산도수율(F)과 환산강도율(S)
평생 근로시간은 100,000시간으로 하고, 100,000시간당의 재해건수를 환산도수율(F),
근로손실일수를 환산강도율(S)이라 하면,
F = 도수율(FR) × 100,000 / 1,000,000 = 도수율(FR) / 10 (회)
S = 강도율(SR) × 100,000 / 1,000 = 강도율(SR) × 100 (일)
(2) 평균강도율
S / F = SR × 100 / (FR / 10) = SR / FR × 1,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