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재개관 기념展
‘문신의 일생’과 ‘김경원의 아트퍼니처’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다시 보는 해외 교류 전시
2019년 9월 4일(수)부터 12월 31일(화) 까지 숙명여자대학교 르네상스 플라자(B2~1F)에서 문신미술관은 <소년에서 거장으로-자료로 본 문신의 일생>과 <공간을 잇다-문신의 조각과 김경원의 아트퍼니처>라는 전시명으로 전시회를 갖고 있다. 거장 문신을 조망하는 사료적 가치와 문신예술과의 확장적 콜라보는 대학미술관의 학구적 기능을 새삼 일깨우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는 2004년에 신축된 박물관 건물을 재정비・보완하는 1년여의 건물 재건축 공사를 마치고 예술의 새 지평을 여는 박물관 미술관의 재개관 전시를 열고 있다. 숙명 뮤지엄 재개관 행사로 문신미술관은 문신의 삶을 담은 이번 전시에서 <소년에서 거장으로>의 작품과 유품, 사진과 원고에서는 조각가의 예술을 대하는 진지하고 치열한 자세가 묻어난다.
문신미술관 소년에서 거장으로
또 다른 전시 <공간을 잇다>는 한국을 대표하는 모더니즘 조각가 문신과 현대 아트퍼니처 작가 김경원의 작업을 연결해 작품과 공간, 공간과 사람의 조화를 보여준다. 새롭게 단장한 문신미술관은 문신 예술과 뜻이 맞는 젊은 작가와의 다양한 기획 전시를 통해 예술과 사회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시대 변화를 읽어내고, 관람객과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임을 알린다.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은 리모델링 기간 동안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협력하여 3회의 해외교류 전시를 개최하였다. <다시 보는 해외 교류 전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레토리아, 중국 북경, 미국 워싱턴 D. C.의 전시를 개괄하여 새로 구성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의 전통 뿐 아니라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한국 공예의 미의식을 넓히고 있다.
문신미술관 공간을 잇다
정영양자수박물관의 <제왕의 사람들: 한국과 중국의 관료 복식>은 유교문화권 관료들의 관복을 주제로 하고 있다. 2004년 개관한 정영양자수박물관은 자수를 중심으로 섬유예술의 역사와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자 노력해 왔다. 이번 전시는 유학의 사상과 규범을 공유한 한국과 중국의 문화 유사성과 차이점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두고 있다.
학문의 연마와 사회 문화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숙명의 박물관ㆍ미술관은 문화예술의 장을 확장하여 다양하고 좋은 전시를 통해 대학박물관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재개관 전시가 풍요로운 문화의 향연이 되고 있다. 이번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문신미술관, 정영양자수박물관 재개관 전시의 참여 작가는 권기미, 김미식, 김설, 김태연, 박숙희, 신혜정, 이진민, 조예령, 최지만, 최찬주, 허인열, 김경원이다.
정영양자수박물관 제왕의 사람들
‘공간(空間, space)’은 ‘채우다’ 또는 ‘비우다’와 함께 사용된다. 공간은 추상어이기 때문에 철학, 과학, 예술 등의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다양하게 정의 내려진다. <공간을 잇다>展은 한국을 대표하는 모더니즘 조각가 문신과 현대 아트퍼니처 작가 김경원의 작업을 연결해 본다.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문신의 대형조각은 스테인리스 스틸 작품의 석고 원형이다. 조각의 곡면은 주변 환경을 반영하여 자연의 불확실한 형태나 우연성을 수용한다. 작품은 날씨・계절・장소・특성에 따라 주변 풍경이 비쳐져 매번 다채롭게 변화하는 모습을 의도한 것이다.
문신이 공간을 조각했다면, 김경원은 공간을 디자인한다. 문신은 생전 인터뷰에서 “신이 만든 자연은 이미 수많은 사물을 움직임에 따라 형태를 풍부하게 하여 갖가지 변화를 보여주기 때문에 의미 없어 보이는 비구상의 몇 가닥 선을 그려도 그 결과 구상의 사물을 닮아있기 일쑤다.”라고 말했다. 천재성과 노력으로 빚은 걸작들에 대한 존중이 김경원을 통해 구현된다.
전시포스터
김경원의 아트 퍼니처 <Hide and Seek> 연작은 속세와 떨어진 한적한 공간에 지은 별서(別墅)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업한 공공장소를 위한 탁자와 의자이다. 현대적 감각으로 많은 담론을 창출해내며 숨바꼭질 느낌의 연작은 자연 속에 깊이 은둔하며 자연과 함께 자신만의 이상적 삶을 꿈꾸고 살아왔던 이들의 삶의 여정과 흔적을 작가가 답사・공감한 작품들이다.
김경원은 “치열하고 각박한 사회 구조의 부조리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 소통하고 교감하며 정신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현인(賢人)들의 삶에 대한 자세에 아트 퍼니처를 통해 정서적 안정과 인간의 근원적이고 원초적인 무언가를 제시하고자 하는 예술의 가치 추구를 더하여 새로운 이상 공간(Ideal Space)을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라고 밝히고 있다.
전시 오프닝
작가는 예술 가치를 지닌 가구에 공공의 기능을 갖춘 퍼블릭 아트퍼니처로의 접근은 이상공간인 별서를 통해 자신의 꿈을 이루고자 했던 현인들의 삶의 태도를 보여준다. 자연과 함께 소통하고 정신적 가치를 추구했던 별서의 의미를 이어 받아 이상공간을 만들고자한 작가 김경원의 노력은 다양한 재료를 탐구해 풍경을 작품에 품은 문신의 조각과 결을 같이 한다.
40여 년 전 조각가 문신이 말한 자연으로부터 닮아 온 작업은 생각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조형언어로 말을 걸어온다. 고향인 마산의 낮은 산등성이를 담은 조각의 곡선과 한적한 자연의 선을 응축한 아트 퍼니쳐가 조화를 이루는 전시는 사물과 공간, 공간과 사람을 이어주고 있다. 백여 년의 간극을 메우며 위대한 예술가의 정신과 만나는 이번 전시회는 더욱 의미 있다.
문신작 '명태'(1957)
전시작가 프로필
문신
1923 1월 16일 일본 사카켄 다케오에서 출생
1939~1945 일본에서 유학생활. 동경 일본미술학교 양화과 졸업
1945 해방과 함께 귀국
1945 – 1947 귀국 후 마산, 부산, 대구 등지에서 ‘회화와 부조 전시회’ 개최
1948 제1회 개인전, 동화화랑(현 신세계백화점)
서울: 1944 - 48년 작품 100점 전시
마산의 세 다방에서 작품전: 마산에서 열린 최초의 서양화 개인전으로 기록
1949 제2회 개인전, 동화화랑, 서울
1953 제3회 문신 양화전
1957 박고석과 현대미술협회 창립에 참여
1960 도불기념 소품전: 1944년부터 제작한 작품들을 모아 미우만 백화점 화랑에서 전시
1961 1차 도불, 프랑스 파리에 거주하며 추상화 창작에 몰두
1965 ~1966 귀국 후 홍익대 미술대학에서 강의
1967 개인전, ‘도불전’, 신세계화랑(유화 32점, 플라스틱 입체작품 7점) 이후 2차 도불
1968 파리에 정착하여 추상조각 시작
1970 뽀르 바카레스(Port Barcares)에서 열린 국제조각심포지엄에 <태양의 사자> 출품
1971 ~1972 프랑스‘아르 콩딱트(Art Contacts)’개설기념전에서 6명의 조각가와 참여
파리 살롱 아르 사크레(Art Sacres)에 참여, 파리
국제 예술 시장전, 스위스 발르
현대조각 그룹전, 테레즈 루셀 화랑, 페르피낭(Perpignan), 파리
1973 목조각 7 인전, 파리조각센터, 파리
페스티발 드 라 로셀르(Festival de la Rochelle), 국제 현대미술교류전, 생제르맹 엉 레이, 프랑스
1974 ‘포름 에 비(Forme et vie)' 회원전
살롱 드 메(Salon de mai), 파리
살롱 드 콩파레종(Salon de comparaison), 그랑 팔레, 파리
살롱 그랑 에 쥔느 도주르디(Grands et Jeunes d'Aujourd'hui), 파리
1975 조각과 뎃생 개인전, 멘슈 화랑, 함부르그, 독일
살롱 그랑 에 쥔느 도주르디, 파리
국제 현대 조각 야외전, 이탈리아
살롱 드 메, 파리현대미술관, 파리
1976 한국 현대 회화전, 테헤란, 이란
살롱 드 메, 라 데팡스, 파리
귀국 개인전, 진화랑, 서울
1977 마산에서 귀향전
살롱 드 메, 라 데팡스, 파리
현대조각 77년 전, 현대조각센터, 파리
살롱 그랑 에 쥔느 도주르디, 그랑 팔레, 파리
1978 살롱 드 콩파레종, 그랑 팔레, 파리
‘포름 에 비' 그룹전
살롱 드 메, 라 데팡스, 파리
살롱 그랑 에 쥔느 도주르디, 그랑 팔레, 파리
파리에서 삶과 형태의 그룹전-뚜르 예술의 페스티벌, 뚜르, 프랑스
1979 화가 최성숙(현 문신미술관 관장 및 마산시립문신미술관 명예관장)씨와 결혼
살롱 그랑 에 쥔느 도주르디, 그랑 팔레, 파리
포름 에 비 그룹전
그룹전, 메트로 알베르 화랑, 파리
개인전, 오를르 슈드 국제공항 예술화랑, 프랑스
현대화랑, 서울
1980 영구 귀국, 마산에 문신미술관 건립 착수, 국내 최초로 조각공원 조성
개인전, 수도화랑, 국제화랑, 부산
1981 개인전, 미화랑, 서울
개인전, 현대화랑, 서울
1983 개인전, 신세계미술관, 서울
1984 경상남도 문화상 수상 / 경남도청 조형물 작품 제작 / 전주 남강대교 조형물 제작
1985 ‘85현대작가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한일그룹 사옥 · 부산일보 사옥 조형물 제작
1986 개인전, 예화랑, 서울
중앙일보 미술대전 심사위원장 역임 / 경상남도 미술대전 대회장
1987 개인전,‘채화전’, 한국화랑
제일은행 본점 사옥 조형물 제작 / 재단법인 문신미술관 이사장 취임 /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 서울올림픽 세계미술제 국내 운영위원 역임
1988 서울올림픽 국제 야외조각 초대전
서울올림픽의 일원으로 개최된 예술올림피아드에서 대형조각 <올림픽1988> 제작
1989 소또, 벤 자코베, 다니 까라반, 드니스 오펜하임, 수수므, 슁규,스타치올리 등과 함께 아트센터 화랑에서 개최한 프랑스 혁명200주년 기념 24 인 전에 한국 대표로 참여
마산 시정자문위원 역임
1990-1992 유럽 5개국 순회 회고전
파리 아트센터, 파리(1990)
자그레브 국립현대미술관, 유고슬라비아(1990.6)
사라예보 시립현대미술관, 러시아(1990.8)
부다페스트 국립역사박물관, 헝가리(1991.5)
파리 시립현대미술관, 파리(1992.7)
개인전, 그로리치 화랑, 빈켈화랑, 서울(1990)
개인전, 에이스화랑, 서울(1990)
개인전, 빈켈화랑, 서울(1991)
개인전, 송하갤러리, 마산(1991)
살롱 드 메 특별 초대 출품, 파리(1991)
서울미술대전 초대 출품(1991)
1992 살롱 드 메 초대 출품, 파리
살롱 레알리떼 누벨 초대 출품, 파리
살롱 그랑 에 존느 도오즈르디 초대 출품, 파리
프랑스 예술문학 영주장 수여 / 제 11회 대한민국 문화부문 세종문화상 수상
1993 중앙일보 미술대전 운영위원
1994 조선일보사 ·문화방송 공동주최 ‘문신예술 50년’전
문신미술관 개관
1995 경남대학교 명예 문학박사 학위
1995년 5월 24일 5시 30분 지병으로 타계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 추서
광복 50년 문신예술 50년 멀티 영상쇼, 문신미술관, 마산
문신 유작전, 예화랑, 서울
김경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홍익대학교 디자인공예학과 목조형가구학전공 수료(박사)
KAND (Kimkyungwon's Art aNd Design) 대표
◯개인전(8회)
2019 공간을 잇다. 문신의 조각과 김경원의 아트퍼니처 /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2019 Furniture, Ideal Space /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2015 Moments of Senses / 갤러리 전
2014 Never Land in the Memory /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2010 Betwixt in TENT LONDON / OLD TRUMAN BREWERY
2007 CONTACTED / 덕원갤러리
2006 FURNITURE, Re-SPACE / 갤러리아이
2006 FURNITURE to SPACE / 김진혜갤러리
◯초대전 및 단체전(90여회)
2018 공예·식문화 융복합 전시 [소금, 빛깔 맛깔 때깔] / 국립민속박물관
2018 China(Shenzhen) International Gifts, Handicrafts, Watches & Houseware Fair / Shenzhen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
2017 Maison & Objet Paris / Paris Nord Villepinte
2017 Tokyo International Gift Show [Life x Design] / Tokyo Big Sight
2017 Homi Milano / Fiera Milano
2017 imm cologne[Pure Talents] / Koelnmesse GmbH
2016 Hong Kong Mega Show /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
2016 한국현대공예지평전 / 익산예술의전당
2015 Salone Internazionale del Mobile / Fiera Milano
www.kimkyungwon.kr / instagram.com/kimkyungwon72 / kimkyungwon72@gmail.com
사진・자료제공/ 숙명여대문신미술관
글쓴이/ 장석용(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