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신랑의 등장
본문/1:9-14
신랑의 등장으로 새장면이 나온다
신랑의 모습이 있는가 하면 신부의 모습도 묘사된다 그리스도와 신자들의 모습이 어떤것인가를 알게한다
1. 그리스도의 신부가 있다
내사랑아=9절
신랑이 신부를 부르는표현이다 사랑이 넘치고 애정이 사실적으로 표현된 단어이다 다른사람의 사랑이 아니고 내사랑이다 내사랑의 관계는일방적으로 되어진 것이아니다
이것은 서로간의 깊은 내적관계에서 드러난다 먼저 그리스도에의한 애정의 표현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신부들이 느끼는 애정의 상태의 표현이며 더나아가서 그리스도의 사랑이 어떠한가를 알게 한다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사랑의 대상에서 내사랑이다 하나밝에 없고 깊은애정을 가진 그러한 신부이다 따라서 신부는 다른사람이 있어서는안되고 그리스도만을 사랑하여야한다 이것은 내사랑을 받는 대상의 할 일이다
흠이 없게 하여야하고 티가 없게 하여야 하며 순결을 유지하게 힘써야 한다
2. 신랑의 비교가 있다
내가 너를 바로의 병거의 준마에 비하엿구나=9절
그리스도가 신자들을 대하는 시각이 나온다 준마는 가치있고 귀한 말이다 유다느 이병마라고 하였다 그것도 다른 준마가 아니고 바로의 병거의 준마이다
가장아름답고 귀한 그러한 말이다 이말은 솔로몬이 애굽에서 수입 하였다 이곳에서 나온비교는 아름다움에서 생동감에서 용기에서 순종에서 조화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다른면에서 신자들의실상이다 신자들은 이와같은 준마와 같다 철저하게 주인의 뜻에 순종하고 자신의 의사는 없다 이것이 준마의 성격이다
3.평가가 있다
네두뺨은 머리털로 네목은 구슬꿰미로 아름답구나=10절
얼굴을 가리운자 같았으나 이곳에서는 그와같은 표현이 없다 그얼굴이 비록 검으나 두뺨이 드러났다 이것은 그의 얼굴에 가리운 수건이 벗겨진 것을시사한다
머리털을 땋았고 목은 구슬꿰미가 있고 더욱 아름답다 이모습은 고대 유대인들이 멋지게 장식한 여인의 상태이다 가장아름다운 신부의 모습이 이곳에서 나온다
(1)이것은 신자들이 신랑앞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임을 보여준다
세상사람들이 볼때에 검으나 신랑이 볼때에는 아름답고 귀한 모습이다
(2)이것은 신자들의 영적 미를 상징한다
두뺨은 우아하고 아름다운 모습이다 화려함을 인하여 모든사람들이 경탄하는 그러한 모습이다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의로 옷을입은 신부이다 그자태가아름답고 모습이 더욱더 멋지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믿음이 넘치는 그러한 모습이다
(3)신자들의 자세가 있다
술람미는 땋은머리털, 목에는 구슬 꿰미가 걸려있다
이것은 아름다운모습이고 신자가 그리스도의 말씀과 성령의 은혜로 단장을 하여야 하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와갇은모습은 신자들이 추한 모습이 아니라 단장을 하고 신랑을 영접하여야함을 시사한다 신자들은 문자적인 단정이 아니고 영적인 단장이 필요하다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으로 옷을 입어야 한다 이와같은 자세가 신자들이 가져야할 중요한 요소들이다
(4)신자들의 모습은 세상에 공개된다
신부가 각종 보석으로 단장하는모습은 세상사람들의 시야에 들어온다
이들은 그것을보고 평가도 한다 그리스도와 함께 있다는것도 알고 그리스도의 뜻을 따르는것도 안다 더나아가거 자신들의 모습을 드러내는 많은 사람들의 평가도 받게 된다ㅏ 이것은 신자들이 가지는 특이한 표현이다
4. 약속이 있다
우리가 너를위하여 금사슬을 은을 박아 만들리라 -11절
신랑이 신부를 그와같이 만들겠다는 약속이다
이와같은 단장에서 성령이 역사하신다 이것은 신자들이 누리는특권이다 하나님의 창조사역은 두 번에 걸쳐서 되어진다 하나는 태초에 되어졌고 다른하나는 중생에의하여 되어졌다 이때의 사역에서 성령이 다같이 역사하신다
(1)신자에 대한 그리스도의 약속이 있다
우리가 3인칭복수 이다 이것은 태초에 하나님이 사람 창조하실때의 모습이다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하나님이 사람을 만드셨다 이것은 삼위일체의 사역을 보여준다 이곳에서도 우리가 나온다 신자들은 성숙케 하는일에서 한사람이 아니고 우리이다
그리스도는 성결과 완전케 함에서 우리 신자들을 새롭게 변화 시킨다 하나님은 이들을 정하시고
성령은 이들을 성결케하시고 그리스도는 이들을 위하여 죄값을 지불 하셨다
이로서 신자들은 은을박은 금사슬같이 찬란하게 빛난다
(2)그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적절한 방편이 사용된다
금사슬이 나온다 이것은 가치있고 귀중한 물건이다
고대 사회에서 신부의 귀걸이에 금을 사용하는 것은 품위나 그가치에서 최고의 것이었다
신랑이 신브를 단장할때에 한사람이아니고 여러사람이 동원되어 가장 값있는 것으로 단장한다 금사슬에 은을 박아서 아름답게 한다 교회가 여러 가지은사로 아름답게 장식되는 모습이다 이와같은 것은 자신이보기에도 아름답고 다른사람들이 볼때에도 아름답다 따라서 이것은 성령의 은사로 단장한 교회와 하나님의 은사를받은 신자가 가장 멋진 모습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5. 특권이 있다
왕이 상에 앉았을때에 =12절
등장하는 인물이 있다 왕이다 술람미는 왕을 말한다 그리스도는 왕이시다 이것은 성경도처에서 드러나는 그러한 모습이다 하나님의 주권을 행하시는 그러한 왕이시고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시는 왕이시다 신인으로서 그는구속자이시고 또한 절대 주권으 ㄹ가지시는 왕이시다
그는 하나님의 왕이시고 시온의 왕이시고 온나라의 왕이시다 이왕은 죄인을 그의 권속으로 삼으시는 겸비를 보이시고 그들을 높은지위로 올려놓으시는 은총을 베푸시며 각자가 왕의 나라에서 할 일을 하게 하셨다 이것은 신하들이 그나라에서 특권과 더불어서 의무를이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1)왕이 식탁에서 먹는다
제단이 아니고 식탁이다 주의 만찬은 슬픔의 단이아니고 기쁨과 즐거움을주는 단어이다
그것은 바로 왕의 식탁이다 그것은 왕이 정하였고 주관하고 예비 하였다 이식탁은 왕이 앉는곳이다
그러기에 이식탁은 주의 만찬이다
(2)왕이 그곳에 앉는다
그리스도가 그자신의 식탁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는 하늘나라에 그의 식탁이 있음을 시사한다 세상에서 그의 식탁은 여러면에서 흥미있다 그러한 것중에서 가장 특이한 것은 주의 성만찬이다 그곳에 그가 앉으셨고 그의 제자들이 같이 하였다 이것은 왕의 식탁은 그가 주인공이나 많은 사람들이 앉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3)때가 있다
앉았을때에 이것은 왕이 언제나 그의 식탁에 앉아 있는 것이 아니을 시사한다 그는가끔 제한된 때에만 그의 식탁에 앉는다 예루살렘에서 그는 두서너시간동안 그의 식탁에 앉아 있었다 이것은 그가 그의식탁에 앉아있는기회가 많지아니하고 오래되지 아니함을 의미한다
와이 참석한 식탁은 언제나 진지하고 뜨거운 분위기가 조성된다 이것은 왕의 식탁이 특징이다 그곳에서 왕은 여러 가지 특이한 은총을 베풀어 동참한 사람들이 즐거움을 느께게 한다
6. 결심이 있다
나의 나도 기름이 향기를 토하였구나 =12절
나도 기름은 나도 나무에서 얻었고 식탁에서 손님의 머리위에 부었다 이것은 아름다운 표현이다 나의 나도기름은 더욱 멋진 표현이다 나의 다른사람 소유가 아니고 나의 소유이다 성격이 가장 아름답게 드러나 있다
(1)진자 각자가 기름이 있다
나의 나도기름 이것은 물질적인 기름뿐 아니고 영적인 기름도 된다
교회나 개인이나 영적인 기름은 매우 가치가 있고 그것은 성령의 열매이다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절제니 이는 신자 각자가 가지는 신령한 나도 기름이다
이나도 기름은 신자들의 마음을 표현한다 식탁에서 기름을붓는 것은 손님에대한 주인의 뜨거운 마음의 표현이다
이것은 영적으로 그리스도와 신자들간의 관계도된다
ㄱ)예수에 대한 믿음의 표시이다
ㄴ)자기헌신의 표시도된다
ㄷ)주인에대한 기쁨도된다
ㄹ)그리스도를괴롭게한죄에서 참회를 의미한다
ㅁ)자기 헌신을 의미한다
신자들은 제각기 가지는 기름이 있고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사용된다
향기를 토하였구나 이것은 기름을 부은것을의미한다
나도 기름이 있는 것으로 족한것이아니고 그것을 부었고 거기에서 향기가 드러났다 이곳에서 그와같은상태가 향기를 토하였구나 이다 신자의 마음의 표현이다
그일은 그리스도가 존귀와 영광을 받기 위함이다 더나아가서 이것은 신자가 그리스도에게 바치는 최고의 영광도 된다
그리스도를 왕으로 모시고 그왕을 지극히 사랑하고 왕에게 경의를 다표하고 더나아가서 그에게 기쁨과 영광을 돌리는 그러한 자세이다
(3)사랑하는자에 대한 표현이 있다
나의 사랑하는자는 내품가운데 몰약 향낭이요 나의 사랑하는자는 내게 엔게디 포도원의 고벨화 송이로구나 사랑하는자에대한 표현이 두가지이다 하나는 몰약이다 신부가 신랑에 대하여 가지는 감정이다 신랑은 신부를 바로의 병거의 준마로 표현 하였고 신부는 신랑을 내품가운데 몰약으로 표현한다 지극히 아름답고 향기로운 상태이다 신부는 내품이라고 한다 다른 사람이 아니고 그의 품이다 신랑과 짖접적인 관계를 드러내는 표현이다
이어서 엔게디포도원의 고벨화 가 나온다
이꽂은 그윽한 향기로 근동지역에서 널리 애용한다 몰약은 짙은 향기가 넘치고 고벨화는 그은은하고 그윽한 향기가 멀리 멀리 퍼진다 전자는 적극적인 표현이고 후자는 소극적인 표현이다
그뿐아니라 이곳에서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내게이다 이것은 신자에게의 뜻이다 이표현은 상대방이 나를 알고 있음을 의미하고 서로간에 김밀한 마음의 통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스도는 신자들을 택하시어 그들로 엔게디 고벨화송이 같게 하셨다.
출처: 천성을 향하여 글쓴이: 하늘 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