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던 전기자동차에 대한 시각이 달라지고 있다. 운행 중에는 탄소 배출이 없지만 생산부터 운행, 폐기까지의 전주기적관점(LCA)으로 바라볼 때는 허점이 많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연료' 자체에 대한 시각도 달라지고 있다. 대표적인 게 '바이오연료'다. 현재 한국 정부는 바이오연료를 '경유'(디젤)에만 의무 혼합 5%를 유지하고 있을 뿐 휘발유(가솔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미 20여년 전 한국 정부는 연구결과를 통해 바이오에탄올을 수송연료로 사용하면 탄소 감축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음에도 여전히 활용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한다. 당시엔 정부가 아니라 일부 업체가 에탄올 사용을 장려했지만 결국 '유사 석유' 논란에 사용이 금지됐다.국내 휘발유 가격의 40%가량이 세금인데 기준 없이 에탄올을 섞으니 그만큼 세금이 줄어 탈세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사례다.
스테판 뮬러 시카고 일리노이대 교수는 "하이브리드차는 적어도 다음 세대까지 답"이라며 "현 세대가 확실히 해야하는 건 하이브리드에 깨끗한 휘발유를 사용해야 한다는 대목으로 에탄올과 혼합해 탄소수치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회사가 전동화 전환을 선언하며 전기차, 수소차를 만들고 있지만 전 세계 운행 중인 15억대의 자동차는 여전히 탄소연료를 쓴다"며 "기존 운행 중인 차 연료 외에도 항공, 해운 분야처럼 당장 전동화가 쉽지 않은 분야에서는 바이오연료 중 바이오에탄올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