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친화도시 당진시는 지역여성들의 질좋은 일거리 발굴에 대한 요구를 적극 수용하여, 여성의 경제·사회참여 확대로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을 위해 여성이 주도적으로 발굴 및 추진하는 '2021년 여성친화도시 특화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맞춤형 역량강화와 정책 참여 연계를 통한 선순환 영향력 발휘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송악주민자치회에서도 여성 일자리 문제에 초점을 맞춰 '당찬여성, 다재다능을 잡[job]다!'라는 주제로 송악스포츠센터 강의실에서 특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사업은 꽃닢플라워 박기주 대표의 5회차 강의로 진행되었는데요.
기초적인 플라워 레슨 과정으로, 플로리스트가 되기 위한 실습과 실전에서 필요한 이론으로 교육이 함께 이뤄졌습니다.
1회차 강의는 Hand-tied(하트 꽃다발) 만들기 입니다.
꽃: 장미(맨스필드)
소재: 곱슬버들, 가위, 스카치테이프, 지철사, 리본
1. 장미는 바인딩 포인트 밑으로 잎을 전부 제거해 핸드타이드를 잡기 좋게 최적한 상태로 준비합니다.
2. 곱슬버들을 충분히 부드럽게 맛사지해 준 후 하트모양의 구조물을 만듭니다.
3. 구조물 위에 스파이럴 기법을 이용하여 핸드타이어드 해 줍니다.
※ 이때 모든 소재를 한방향으로 기울여야 꽃의 얼굴이 눌리거나 꺽이지 않습니다.
※ 바인딩포인트를 위로 잡으면 핸드타이드가 작아지고, 아래로 잡으면 커지니 알맞게 조절해 바인딩포인트를 잡아줍니다.
4. 바인딩 포인트를 라피아 끈을 이용해 바인딩 해 줍니다.
5. 리본으로 마무리 합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게 용돈박스인데요.
2회차 강의는 용돈 플라워 박스 만들기입니다.
꽃: 카네이션, 장미(자나), 옥시, 수국, 베로니카, 아스틸배 등
소재: 스마일 락스(그린소재), BOX, 플로랄폼, OPP지, 가위, 현금비닐봉투, 현금박스, 현금, 리본
1. 플로랄폼에 물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30분 정도 담가 놓습니다.
2. 꽃을 컨디셔닝 합니다.
3. 박스에 맞춰 자른 플로랄폼을 OPP지로 싸서 넣습니다.
4. 현금을 비닐봉투에 넣고 첫번째 봉투에 메세지 카드를 붙여준 후 현금케이스에 연결해 말아줍니다.
5. 현금케이스를 폼에 넣습니다.
6. 꽃과 소재를 조화롭게 맞춰 꽂아준 후 리본으로 마무리 합니다.
3회차 강의은 프리져브드를 이용하여 가을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리스만들기입니다.
소재: 홍가시, 니콜라, 팜플라워, 미스터블루, 마가목, 솔방울
준비물: 리스틀, 지철사, 글루건, 리본, 스카치테이프, 가위
프리저브드는 생화를 특수 보존처리 용액으로 가공해 1~5년간 생기있는 모습이 유지되는 가공화인데요. 여러종류의 보존용액을 이용해 탈수·탈색, 건조과정을 거쳐 완성합이다.
프리저브드 플라워는 생화의 모습을 길게 즐길 수 있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생화 알러지가 있는 사람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1. 먼저 리스의 디자인을 구상한 후 소재를 소분해 미니 다발을 만듭니다.
2. 리스틀에 미니 다발을 지철사를 이용해 붙여줍니다.
3.글루건을 이용해 중심에 팜플라워를 붙인 후 열매와 솔방울을 조화롭게 붙여줍니다.
4. 리본으로 마무리합니다.
4번째 강의는 화기안에 다육이를 이용해 산수화를 숯부작 만들기입니다.
소재: 다육이, 화기, 숯, 스칸디아 모스, 넬솔, 모델링페이스트, 목공본드, 핀셋
1. 숯를 보기 좋게 다릅니다.
2. 페이스트를 이용해 숯을 화기에 조화롭게 붙입니다.
3. 다육식물을 넬솔로 고정시키며 핀셋을 활용해 식재합니다.
※ 넬솔은 물과 반죽을 하면 굳어서 형상을 유지하는 배양토로 다육공예 작품에 많이 사용합니다. 물을 오래 머금고 접착력이 있어 제작자의 능력에 따라 개성있는 다양한 작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목공본드를 이용하여 스칸디아 모스를 조화롭게 붙여주니 화기안에 멋진 산수화 작품이 완성 되었네요.
5회차 강의는 조화꽃을 이용한 토피어리 만들기 입니다.
재료: 화기, 플로랄폼, 둥근 플로랄폼, 나무막대, 니퍼, 지철사, 조화꽃, 오공본드.
1. 오공본드를 이용해 화기에 플로랄폼을 채웁니다.
2. 나무막대를 세우고 둥근 플로랄폼을 알맞게 꽂습니다.
3. 둥근 플로랄폼에 조화꽃을 균형에 맞춰 둥글고 조화롭게 꽂습니다. 꽃을 꽂을 때 꽂 크기를 고려해 높이를 일정하게 꽂아주고, 윗부분은 짧게 아랫부분은 길게 꽂아주도록 합니다.
4. 화기 위를 남은 조화나 잎으로 장식합니다.
플로폼에 꽃을 꽂았다 위치를 옮기면 플로랄폼이 망가지기 쉬우니 미리 작품의 디자인을 구상해 꽂을 꽂습니다. 꽃의 무게로 빠질 염려가 있으니 글루건이나 오공본드로 고정시켜줍니다.
완성된 작품을 테이블에 놓고 사진을 찍습니다. 똑같은 재료로 만들었는데 수강생들의 취향과 성향에 따라 작품의 형태가 다양하네요.
꽃닢플라워 박기주 강사는 다년간 쌓아온 꽃집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운영 노하우를 수강생들에게 전수하였는데요.
예비 창업자라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소재정리, 물품구입, 사입방법 등 실질적인 취창업에 도움이 될 팁을 전수해 주었습니다.
5주동안 특화사업으로 진행된 플라워레슨을 받으며 꽃에 집중하는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도 해소되고, 작품을 완성하며 성취감도 느끼고, 만족감을 얻는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