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卦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9. 爻辭효사-五爻오효-小象소상
9. 爻辭효사-五爻오효
p.587 【經文】 =====
九五顯比王用三驅失前禽邑人不誡吉
九五, 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九五는 顯比니 王用三驅에 失前禽하며 邑人不誡니 吉하도다
[程傳정전] 九五구오는 드러나게 도우니,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데 앞의 새를 잃으며[주 40]邑읍 사람에게 期約기약하지 않으니, 吉길하다.
[本義본의] 九五구오는 드러나게 도우니,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데 앞의 새를 잃고 邑읍 사람도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
40) 失前禽실전금: 앞에 먼저 날아가는 새는 놓아 둔다. |
中國大全
p.587 【傳】 =====
五居君位處中得正盡比道之善者也人君比天下之道當顯明其比道而已如誠意以待物恕己以及人發政施仁使天下蒙其惠澤是人君親比天下之道也如是天下孰不親比於上若乃暴其小仁違道干譽欲以求下之比其道亦狹矣其能得天下之比乎故聖人以九五盡比道之正取三驅爲喩曰王用三驅失前禽邑人不誡吉先王以四時之畋不可廢也故推其仁心爲三驅之禮乃禮所謂天子不合圍也成湯祝網是其義也天子之畋圍合其三面前開一路使之可去不忍盡物好生之仁也只取其不用命者不出而反入者也禽獸前去者皆免矣故曰失前禽也王者顯用其比道天下自然來比來者撫之固不煦煦然求比於物若田之三驅禽之去者從而不追來者則取之也此王道之大所以其民皞皞而莫知爲之者也邑人不誡吉言其至公不私无遠邇親疏之別也邑者居邑易中所言邑皆同王者所都諸侯國中也誡期約也待物之一不期誡於居邑如是則吉也聖人以大公无私治天下於顯比見之矣非唯人君比天下之道如此大率人之相比莫不然以臣於君言之竭其忠誠致其才力乃顯其比君之道也用之與否在君而已不可阿諛逢迎求其比己也在朋友亦然修身誠意以待之親己與否在人而已不可巧言令色曲從苟合以求人之比己也於鄕黨親戚於衆人莫不皆然三驅失前禽之義也
五居君位, 處中得正, 盡比道之善者也. 人君比天下之道, 當顯明其比道而已, 如誠意以待物, 恕己以及人, 發政施仁, 使天下蒙其惠澤. 是人君親比天下之道也. 如是, 天下孰不親比於上. 若乃暴其小仁, 違道干譽, 欲以求下之比, 其道亦狹矣, 其能得天下之比乎. 故聖人以九五盡比道之正, 取三驅爲喩曰,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先王以四時之畋, 不可廢也, 故推其仁心, 爲三驅之禮, 乃禮所謂天子不合圍也, 成湯祝網, 是其義也. 天子之畋, 圍合其三面, 前開一路, 使之可去, 不忍盡物, 好生之仁也. 只取其不用命者, 不出而反入者也, 禽獸前去者, 皆免矣. 故曰失前禽也. 王者顯用其比道, 天下自然來比, 來者撫之, 固不煦煦然求比於物, 若田之三驅, 禽之去者, 從而不追, 來者則取之也, 此王道之大, 所以其民皞皞而莫知爲之者也. 邑人不誡吉, 言其至公不私, 无遠邇親疏之別也. 邑者居邑, 易中所言邑, 皆同, 王者所都, 諸侯國中也. 誡期約也, 待物之一, 不期誡於居邑, 如是則吉也. 聖人以大公无私, 治天下, 於顯比見之矣, 非唯人君比天下之道如此. 大率人之相比莫不然, 以臣於君言之, 竭其忠誠, 致其才力, 乃顯其比, 君之道也. 用之與否, 在君而已, 不可阿諛逢迎, 求其比己也. 在朋友, 亦然, 修身誠意以待之, 親己與否, 在人而已, 不可巧言令色, 曲從苟合, 以求人之比己也. 於鄕黨親戚, 於衆人, 莫不皆然, 三驅失前禽之義也.
五居君位하여 處中得正하니 盡比道之善者也라 人君比天下之道는 當顯明其比道而已니 如誠意以待物하고 恕己以及人하며 發政施仁하여 使天下蒙其惠澤은 是人君親比天下之道也라 如是면 天下孰不親比於上이리오 若乃暴(폭)其小仁하고 違道干譽하여 欲以求下之比면 其道亦狹矣니 其能得天下之比乎아 故聖人以九五盡比道之正이라하여 取三驅爲喩曰 王用三驅에 失前禽邑人不誡吉이라하니 先王이 以四時之畋을 不可廢也라 故推其仁心하여 爲三驅之禮하니 乃禮所謂天子不合圍也요 成湯祝網이 是其義也라 天子之畋에 圍合其三面하고 前開一路하여 使之可去하여 不忍盡物하니 好生之仁也라 只取其不用命者하니 不出而反入者也요 禽獸前去者는 皆免矣라 故曰 失前禽也라 王者顯明其比道면 天下自然來比하나니 來者撫之호되 固不煦煦[一作呴呴]然求比於物하니 若田之三驅에 禽之去者를 從而不追하고 來者則取之也니 此王道之大니 所以其民皞皞而莫知爲之者也라 邑人不誡吉은 言其至公不私하여 无遠邇親疎之別也라 邑者는 居邑이니 易中所言邑이 皆同하니 王者所都와 諸侯國中也라 誡는 期約也니 待物之一하여 不期誡於居邑이니 如是則吉也라 聖人以大公无私로 治天下를 於顯比見之矣니 非唯人君比天下之道如此라 大率人之相比莫不然하니 以臣於君言之하면 竭其忠誠하고 致其才力이 乃顯其比[一作比其]君之道也라 用之與否는 在君而已니 不可阿諛逢迎하여 求其比己也라 在朋友에도 亦然하니 修身誠意以待之요 親己與否는 在人而已니 不可巧言令色하고 曲從苟合하여 以求人之比己也라 於鄕黨親戚과 於衆人에 莫不皆然하니 三驅失前禽之義也라
五爻오효는 임금의 자리에 있고 가운데에 있으면서 바름을 얻었으니, 돕는 道도의 最善최선을 다한 者자이다. 임금 된 이가 天下천하를 돕는 道도는 마땅히 그 돕는 道도를 드러내어 밝게 할 뿐이니, 誠意성의로써 남을 對대하고 自己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치며 政事정사를 일으키고 어진 것을 베풀어 天下천하 사람으로 하여금 그 惠澤혜택을 입게 한다. 이는 임금 된 이가 天下천하를 親친하게 돕는 道도이다. 이와 같이 하면 天下천하에 그 누가 윗사람을 親친하게 돕지 않겠는가? 萬若만약 그 조그마한 어짊을 드러내며 道도를 어기고 名譽명예를 要求요구하여 아랫사람의 도움을 求구하려 한다면 그 道도가 또한 狹小협소할 것이니, 어찌 天下천하의 도움을 얻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聖人성인이 九五구오로 돕는 道도의 바름을 다하였으나, 세 군데로 모는 것을 取취하여 譬喩비유하기를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앞의 새를 잃으며 邑人읍인에게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라고 하였다. 先王선왕이 四時사시의 사냥을 廢止폐지할 수 없으므로 어진 마음을 미루어 세 군데로 모는 禮예를 만들었으니 『禮記예기』에서 이른바 “天子천자가 完全완전히 包圍포위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고, 成湯성탕이 그물을 치고 祝願축원한 것도 이것이 그 意味의미이다. 天子천자의 사냥은 그 세 군데만 包圍포위하고 앞의 한 길은 열어주어 도망가게 하여, 차마 짐승을 모두 잡지 않으니, 살리기를 좋아하는 어짊이다. 다만 命令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과 나가지 않고 道도로 들어오는 것을 取취하니, 새와 짐승이 앞으로 도망가는 것은 다 죽음을 免면한다. 그러므로 “앞에 있는 짐승을 잃는다.”라고 하였다. 王왕은 그 돕는 道도를 드러내 밝게 하면 天下천하가 自然자연히 와서 도울 것이니, 오는 者자를 어루만지되 眞實진실로 便安편안하여 남에게 도움을 求구하지 않고, 사냥함에 세 군데로 몰아서 도망가는 짐승은 놓아주고 쫓아가 잡지 않고 오는 것을 取취하니, 이것은 王道왕도의 큰 것이다. 이 때문에 그 百姓백성이 便安편안하여 그렇게 하는지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邑人읍인에게 期約기약하지 않아 吉길하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公辨공변되고 私私사사로움이 없어서 멀고 가까우며 親친하고 疏遠소원한 區別구별이 없다. ‘邑읍’이란 居住거주하는 마을인데, 『周易주역』에서 말한 ‘邑읍’은 다 같으니, 王왕이 都邑도읍한 곳이고 諸侯제후의 首都수도이다. ‘誡계’는 期約기약함이니, 남을 待接대접하는 것이 한결같아 居住거주하는 마을에 期約기약하기를 定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吉길하다. 聖人성인이 크게 公平공평하고 私私사사로움이 없는 것으로 天下천하를 다스림은 나타나 돕는데서 볼 수 있으니, 임금이 天下천하를 돕는 道도만 이와 같은 것이 아니다.
大體대체로 사람이 서로 돕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이 없어서 臣下신하로써 임금에 對대해 말하면 忠誠충성을 다하고 재주와 힘을 다하여야 이에 그 임금을 돕는 道도를 나타내는 것이요, 씀의 與否여부는 임금에게 있을 뿐이니, 阿諂아첨하고 迎合영합하여 임금이 自身자신을 돕도록 求구해서는 안 된다. 벗에 있어서도 그러하니 몸을 닦고 뜻을 誠實성실히 하여 待대할 것이고, 自己자기를 親친하게 하는 與否여부는 相對상대에게 있을 뿐이니, 말을 잘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여 굽혀 따르고 苟且구차하게 合합하여 相對상대가 自身자신을 돕도록 求구해서는 안 된다. 故鄕고향사람과 親戚친척, 여러 사람에게 있어서도 다 그렇지 않음이 없으니, 세 군데로 몰아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뜻이다.
p.590 【小註】 =====
或問伊川解顯比王用三驅失前禽所謂來者撫之去者不追與失前禽而殺不去者所譬頗不相類如何朱子曰田獵之禮置旃以爲門刈草以爲長圍田獵者自門驅而入禽獸向我而出者皆免惟被驅而入者皆獲故以前禽比去者不追獲者譬來則取之大意如此无緣得一一相似伊川解此句不須疑但邑人不誡吉一句似可疑恐易之文義不如此耳
或問, 伊川解, 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所謂來者撫之去者不追, 與失前禽而殺不去者, 所譬頗不相類如何. 朱子曰, 田獵之禮, 置旃以爲門, 刈草以爲長圍, 田獵者自門驅而入, 禽獸向我而出者皆免. 惟被驅而入者皆獲, 故以前禽比去者不追. 獲者譬來則取之, 大意如此, 无緣得一一相似. 伊川解此句不須疑. 但邑人不誡吉一句似可疑, 恐易之文義不如此耳.
어떤 이가 물었다. "伊川이천이 ‘나타나게 도움이니, 王왕이 세 곳으로 모는 것을 씀에 앞의 새를 잃는다.’고 한 것을 풀이한 것이 이른바 ‘오는 것을 어루만지고 가는 것을 쫓지 않는다.’고 한 것인데, ‘앞의 새를 잃고 가지 않는 것을 죽인다’고 한 것과 譬喩비유한 것이 자못 서로 비슷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입니까? “ 朱子주자가 答답하였다. ”사냥터에서 狩獵수렵하는 禮예는 깃대를 設置설치하여 門문으로 하고 풀을 베어 길게 두르니, 사냥하는 者자는 門문으로부터 몰고 들어가 禽獸금수가 나를 向향하여 나오는 것은 다 살려줍니다. 쫓겨 들어가는 것만 다 잡으니, 그러므로 ‘앞의 새’로 가는 것은 쫓지 않는 것을 譬喩비유하였다. 얻는 것은 오면 取취한다는 것으로 譬喩비유하였으니, 큰 뜻이 이와 같고 하나하나가 서로 같을 수는 없다. 伊川이천이 이 句節구절을 풀이한 것은 꼭 疑心의심스러울 것이 없습니다. 다만 ‘邑人不誡吉읍인불계길’[주 41]의 한 句節구절은 疑心의심할 수 있을 듯하니 아마도 『周易주역』의 文義문의는 이와 같지 않은 듯합니다.”
41) “邑人不誡吉읍인불계길”의 풀이는 『程傳정전』에 따르면 “天子천자가 다스리는 地域지역의 邑人읍인에게 特別특별히 期約기약하지 않으니 吉길하다.”는 意味의미가 되고, 『本義본의』에 따르면 “邑人읍인도 짐승을 놓칠까 緊張긴장해서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가 된다. “邑人不誡吉읍인불계길”에 對대한 『程傳정전』과 『本義본의』의 解釋해석을 比較비교하여 論논한 것으로 李恒老이항로의 『周易傳義同異釋義주역전의동이석의』를 參照참조할 것. 進齋徐氏진재서씨의 解釋해석은 또 달라서 ‘邑읍사람을 訓戒훈계하고 警戒경계시키지 않더라도 自然자연히 順從순종해서 吉길하다.’는 意味의미가 된다. |
○ 進齋徐氏曰五以剛健之德而居正中之位能顯明比道於天下比以顯言則天下皆依光之臣近光之民矣其吉可知王者田獵合三面之網而開其一面以驅逐禽獸至再至三使之可去其順而來者則取之以喩下四陰之順乎五也其逆而去者則舍之以喩上一陰之背乎五也前禽指上六也一卦五陰而四陰從陽上獨背之是失前禽也然聖人雖无心於留天下而天下自不能釋然於聖人有不待告誡而自然順從之者矣故曰邑人不誡吉
○ 進齋徐氏曰, 五以剛健之德而居正中之位, 能顯明比道於天下. 比以顯言, 則天下皆依光之臣, 近光之民矣, 其吉可知. 王者田獵, 合三面之網, 而開其一面, 以驅逐禽獸, 至再至三使之可去. 其順而來者則取之, 以喩下四陰之順乎五也. 其逆而去者則舍之, 以喩上一陰之背乎五也. 前禽指上六也. 一卦五陰, 而四陰從陽, 上獨背之, 是失前禽也. 然聖人雖无心於留天下, 而天下自不能釋然於聖人, 有不待告誡而自然順從之者矣, 故曰邑人不誡吉.
進齋徐氏진재서씨가 말하였다. “五爻오효는 剛健강건한 德덕으로 正中정중의 자리에 있어서 天下천하에 돕는 道도를 드러내 밝힐 수 있다. 돕는 것을 드러낸 것으로 말하면 天下천하가 모두 임금에 依支의지하는 臣下신하이고 임금을 가까이 하는 百姓백성이니, 그 吉길함을 알 수 있다. 王왕이 사냥을 함에 세 面면의 그물을 合합하고 그 한 方面방면을 열어 禽獸금수를 쫓아 두 번 세 번 달아날 수 있게 한다. 그 順應순응하여 오는 것을 잡는 것으로 아래의 네 陰음이 五爻오효에 順應순응하는 것을 譬喩비유하였다. 그 거슬러 도망가는 것은 놓아주는 것으로 맨 위의 한 陰음이 五爻오효에 등지는 것을 譬喩비유하였다. ‘앞의 새’는 上六상육을 가리킨다. 한 卦괘에서 陰음이 다섯인데 네 陰음이 陽양을 따르고 上爻상효만이 등지니, 이것이 “앞의 새를 잃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聖人성인이 비록 天下천하에 마음을 두지 않았지만, 天下천하 사람들은 聖人성인에 對대해서 自然자연 마음을 풀 수가 없어서 타일러 訓戒훈계함을 기다리지 않고 自然자연 順從순종하는 者자가 있으므로 “邑읍 사람을 警戒경계하지 않더라도 吉길하다[邑人不誡吉읍인불계길]”라고 하였다.”
p.591 【本義】 =====
一陽居尊剛健中正卦之群陰皆來比已顯其比而无私如天子不合圍開一面之網來者不拒去者不追故爲用三驅失前禽而邑人不誡之象蓋雖私屬亦喩上意不相警備以求必得也凡此皆吉之道占者如是則吉也
一陽居尊, 剛健中正, 卦之群陰, 皆來比已. 顯其比而无私, 如天子不合圍, 開一面之網, 來者不拒, 去者不追, 故爲用三驅失前禽而邑人不誡之象. 蓋雖私屬, 亦喩上意, 不相警備, 以求必得也, 凡此皆吉之道, 占者如是則吉也.
一陽居尊하여 剛健中正하고 卦之群陰이 皆來比己하여 顯其比而无私하니 如天子不合圍하고 開一面之網하여 來者不拒하고 去者不追라 故爲用三驅失前禽而邑人不誡之象이라 蓋雖私屬이나 亦喩上意하여 不相警備以求必得也니 凡此皆吉之道라 占者如是則吉也라
한 陽양이 높은 자리에 있어 剛健강건하고 中正중정하니, 卦괘의 여러 陰음이 다 와서 自己자기를 돕는다. 그 도움을 드러내어 私私로움이 없는 것이 天子천자가 모두 에워싸지 않고 한쪽의 그물을 열어 놓아 오는 것을 막지 않고 가는 것을 쫓지 않으므로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앞의 새를 잃고 邑人읍인도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象상이 된다. 비록 私私로운 무리[私屬사속]일지라도 윗사람의 뜻을 깨달아서 서로 警戒경계하고 對備대비하여 반드시 얻기를 求구하지는 않으니, 이것이 다 吉길한 道도이다. 占점치는 者자가 이와 같이 하면 吉길할 것이다.
p.591 【小註】 =====
朱子曰邑人不誡蓋上之人顯明其比道而不必人之從己而其私屬亦化之不相戒約而自然從己也
朱子曰, 邑人不誡, 蓋上之人顯明其比道, 而不必人之從己, 而其私屬亦化之, 不相戒約而自然從己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것은 윗사람이 그 돕는 道도를 나타내 밝히더라도 반드시 사람들이 自身자신을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그 私私사사로운 무리[私屬사속]가 또한 變化변화되어 서로 警戒경계하고 約束약속하지 않더라도 自然자연히 自身자신을 따르는 것이다.”
○ 邑人不誡如有聞无聲言其自不消相告誡. 又如歸市者不止耕者不變相似
○ 邑人不誡, 如有聞无聲, 言其自不消相告誡. 又如歸市者不止, 耕者不變, 相似.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것은 “所聞소문은 들리나 떠나는 소리가 없는 것”[주 42]과 같으니, 그들이 스스로 서로 勸勉권면할 必要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또 市場시장으로 몰려드는 者자가 끊이지 않고 밭가는 者자도 變변함없이 밭을 간 것과 비슷하다.
42) 『詩經시경‧車攻거공』. 德덕스러운 임금이 사냥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임금이 사냥을 하지만 百姓백성들의 生活생활에 騷亂소란을 일으키지 않음을 意味의미한다. |
○ 林氏栗曰陽爲明故稱顯比
○ 林氏栗曰, 陽爲明, 故稱顯比.
林栗임율이 말하였다. “陽양은 밝음이 되므로 ‘나타나게 돕는다.’고 일컬었다.”
○ 沙隨程氏曰比卦師之反也故九五喩王者之田
○ 沙隨程氏曰, 比卦師之反也, 故九五喩王者之田.
沙隨程氏사수정씨가 말하였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는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가 거꾸로 된 것이므로 九五구오를 王왕의 사냥터[田전]로 譬喩비유하였다.”
○ 雲峰胡氏曰諸陰爻皆言比之陰比陽也五言顯比陽爲陰之所比也比易近於私王者之比大公至正顯然於天下而无私三驅失前禽此成湯祝綱之心也師比之五俱取禽象師之田有禽害物之禽也比之前禽背己之禽也在師則執之王者之義也在比能失之王者之仁也然使邑人不喩上意或有惟恐失之之心則禽无遺類其仁不廣矣未可以吉言也
○ 雲峰胡氏曰, 諸陰爻, 皆言比之, 陰比陽也. 五言顯比, 陽爲陰之所比也. 比易近於私, 王者之比大公至正, 顯然於天下而无私. 三驅失前禽, 此成湯祝綱之心也. 師比之五俱取禽象. 師之田有禽, 害物之禽也, 比之前禽, 背己之禽也. 在師則執之, 王者之義也, 在比能失之, 王者之仁也. 然使邑人不喩上意, 或有惟恐失之之心, 則禽无遺類, 其仁不廣矣, 未可以吉言也.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모든 陰爻음효가 다 돕는다고 말하였으니, 陰음이 陽양을 돕는 것이다. 五爻오효는 ‘나타나게 도움’을 말하니, 陽양은 陰음이 돕는 바가 된다. 도움은 私私사사로움에 쉽게 가까워지니 王왕의 도움은 크게 公平공평하고 至極지극히 바루어 天下천하에 밝게 나타나서 私私사사로움이 없다. ‘세 군데로 몰아 앞의 새를 잃는다.’는 것은 이는 成湯성탕이 그물을 치고 祝願축원한 마음이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와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의 五爻오효가 새[짐승]를 取취하는 象상을 가지고 있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에서 ‘밭에 새[짐승]가 있다.’는 것은 萬物만물을 害해치는 새[짐승]이고,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에서의 ‘앞의 짐승’은 自身자신을 背叛배반하는 짐승이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에서는 잡는 것이 王왕의 義理의리이며,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에서는 잃어버릴 수 있는 것이 王왕의 어질음이다. 그러나 邑읍사람으로 하여금 自己자기들이 윗사람의 뜻을 깨닫지 못하여 或혹 짐승을 잃는 것은 아닐까 걱정하는 마음이 있게 한다면 짐승은 남겨 둘 것이 없어서 그 어질음이 넓지 못하니, 吉길하다는 것으로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韓國大全
【송시열(宋時烈) 『역설(易說)』】 |
顯者明顯也. 坎之道幽暗, 而錯爲離之光明, 故曰顯比也. 王者, 君位故也. 三者, 離數也. 驅者, 從禽也, 坎有馬象故也. 失前禽者, 成陽之四面, 解網之意也. 邑者, 坤象也, 坤邑之人, 皆誠信相孚, 無坎之疑, 故不爲畏誠. |
‘드러나게’라는 顯현은 밝게 나타난다는 뜻이다.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의 道도는 그윽하고 어두운데 陰陽음양이 바뀌면 離卦(리괘, ䷝ ☲☲ 重火離卦중화리괘)의 빛나고 밝음이 되므로 “드러나게 돕는다.”라고 하였다. ‘王왕’은 임금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三삼’은 離卦(리괘, ䷝ ☲☲ 重火離卦중화리괘)의 숫자이다. ‘몰다’라는 것은 짐승을 쫓는 것이니,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에 말의 象상이 있기 때문이다.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것은 山산을 둘러싸고 한 面면의 그물을 열어 놓는다는 뜻이다. ‘邑읍’은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의 象상이니,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인 邑읍의 사람이 모두 精誠정성과 믿음으로 서로를 믿어서 險難험난함에 對대한 疑心의심이 없으므로 두려워하여 恭敬공경하는 것이 아니다. |
蓋上之所使光明正大, 至於田獵, 但取莫不用命者而已故也. 所以吉也. 禽見師六五, 此曰失, 恒曰旡, 失者, 有而失之也, 旡者, 本無也. |
윗사람의 부리는 바가 光明正大광명정대하여 사냥터에 이르러서도 取취하는 것이 命令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이 없을 뿐인 까닭이다. 이 때문에 吉길하다. ‘짐승[새]’는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의 六五육오에 보이는데, 여기서는 ‘잃는다’고 하였고 恒卦(항괘,䷟ ☳☴ 雷風恒卦뇌풍항괘)에서는 ‘없다’고 하였으니, ‘잃는다’는 것은 있다가 잃어버리는 것이고 ‘없다’는 것은 本來본래부터 없는 것이다. |
【석지형(石之珩) 『오위귀감(五位龜鑑)』】 |
臣謹按, 比之九五互艮爲山, 又爲黔喙. 坎體爲陷, 且是血卦, 故爲山有黔喙之獸, 而設陷阱以血傷之象. 自艮方歷巽至坤, 經三面, 故爲圍三面開一路之象, 而其要只在顯比二字. |
臣신이 삼가 살펴보았습니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 九五구오의 互卦호괘인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는 山산이 되고 또 검은 부리가 됩니다.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의 몸체는 陷穽함정이 되고 또 血혈의 卦괘이기 때문에 山산에 검은 부리의 짐승이 있어서 陷穽함정을 設置설치하여 피가 나고 다치는 象상입니다.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의 方位방위로부터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의 方位방위를 지나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의 方位방위에 이르기까지 세 面면을 지나기 때문에 세 面면을 에워싸고 한쪽 길을 열어두는 象상이 되어서 그 要點요점은 다만 “드러나게 돕는다[顯比현비]”는 두 글자에 있습니다. |
蓋五陰來比於一陽, 猶人君顯明比道, 而天下莫不尊親也. 將欲體此爲治. 正當先鋤昵比之心, 使私屬罔或越志而已. 伏願殿下加意焉. |
다섯 陰음이 와서 한 陽양을 돕는 것이 임금이 돕는 道도를 드러나게 밝히고 天下천하가 높이고 가까이 하지 않음이 없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을 體得체득하여 다스리고자 한다면 마땅히 먼저 私私사사롭게 가까이 하는 마음을 버려 私的사적인 部類부류들로 하여금 함부로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殿下전하께서는 各別각별히 主意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
凡天下之比, 各有其人. 惟九五居尊位, 比天下之人, 是謂顯比也. 比承於師, 有軍旅之象. 比心比力, 又莫如軍旅. 軍旅者, 時平則用之於田獵, 田獵獲禽, 貴在乾豆也. |
天下천하를 도움에 各各각각 그 사람이 있다. 九五구오만이 높은 자리에 있어 天下천하 사람을 도우니, 이것을 “드러나게 돕는다.”라고 한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는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를 이었으니 軍隊군대의 象상이 있다. 돕는 마음과 돕는 힘이 또 軍隊군대만한 것이 없다. 軍隊군대란 平常時평상시에는 사냥터에서 쓰니, 사냥터에서 짐승을 잡음은 그 貴귀함이 말린 祭物제물로 하는데 있다. |
如籍田爲粢盛, 則王三推, 親蚕爲祭服, 則后三盆手, 田獵三驅亦猶是也. 其三殺皆左拔而獲, 此取順也. 若驅而未及, 又或詭遇, 禽在前而亂射者, 皆逆故法, 宜舍之也. |
마치 籍田적전[주 43]에서 祭祀제사에 쓸 기장과 피[粢盛자성]의 穀食곡식을 얻기 위해 王왕이 直接직접 쟁기를 세 번 밀며, 親친히 누에를 쳐 祭服제복을 만들기 위해 王后왕후가 세 번 동이에서 실을 뽑는 것과 같으니, 사냥터에서 세 곳으로 모는 것도 이와 같다. 그 세 가지 犧牲희생은 모두 왼쪽에서 쏘아 얻으니, 이것이 順순함을 取취함이다. 萬若만약 몰아서 잡지 못하거나 또 或혹 正當정당하지 않은 方法방법으로 쏘아 맞히며, 짐승이 앞에 있는데 함부로 쏘는 것은 모두 옛-法법을 거스르는 것으로 마땅히 놓아준다. |
大比之制, 聞令齊發以從田役, 誡者禁其亂也. 王者之師動遵法式, 何待乎禁誡. 詩所謂有聞無聲是也. 師比皆主五爻, 師陰而比陽, 則師卽命將出征, 比乃親帥戎旅. |
大比대비의 制度제도[주 44]는 命令명령을 듣고 一齊일제히 나아가 사냥에 從事종사하고 警戒경계하는 者자가 그 어지러움을 禁금한다. 王왕의 軍隊군대가 움직임은 法式법식을 따르는데, 무슨 禁止금지하여 警戒경계함을 기다리겠는가? 『詩시』에 “간다는 所聞소문은 있는데, 가는 소리가 없다.”[주 45]고 한 것이 이것이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와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가 모두 五爻오효를 主人주인으로 하지만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는 陰음이고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는 陽양이니,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에서는 바로 將帥장수에게 命令명령하여 出征출정함이고,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에서는 親친히 軍隊군대를 거느림이다. |
然一時田役, 不必齊發六軍, 故曰邑人. 易擧正云失前禽, 舍逆取順也, 今本誤倒其句. |
그러나 한 때의 사냥에 반드시 六軍육군을 一齊일제히 나아가게 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邑읍 사람’이라고 하였다. 『周易擧正주역거정』에서 “앞의 짐승을 잃음은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順순히 하는 것을 取취함이다.”라고 하였는데, 지금 本본에는 그 句節구절이 거꾸로 잘못되었다. |
43) 籍田적전:임금이 몸소 農民농민을 두고 農事농사를 지어, 거두어 들인 穀食곡식으로 祭祀제사 지내던 祭田제전. |
44) 大比대비:‘大比대비’는 本來본래 周주나라 때의 制度제도로, 每매 3年년마다 戶口호구와 物資물자를 調査조사하던 制度제도이다. 또한 3年년마다 鄕里향리에서 管理관리를 뽑는 科擧試驗制度과거시험제도이기도 했다. 『周禮주례‧小司徒소사도』와 『周禮주례‧鄕大夫향대부』에 關聯관련 記錄기록이 있다. |
45) 『詩經시경‧車攻거공』. |
【심조(沈潮) 「역상차론(易象箚論)」】 |
陽而在天位, 天數三, 故曰三驅. 五畫橫亘, 卽後合也. 以下四爻皆偶, 卽左右合, 開一面之象也. 又自五而下視, 則有震象, 故下驅字. 邑坤也, 人中爻也. |
陽양으로서 하늘의 자리에 있고, 하늘의 數수가 三삼인 까닭에 “세 군데로 몬다.”라고 하였다. 五爻오효의 畫획이 옆으로 이어졌으니, 바로 뒷부분이 合합쳐진 모양이다. [주 46]아래의 네 爻효가 모두 짝으로 된 陰음이기 때문에 左右좌우가 合합하고 한 面면을 열어놓는 象상이다. 또 五爻오효로부터 아래를 보면 震卦(진괘, ䷲ ☳☳ 重雷震卦중뢰진괘)의 象상이 있기 때문에 ‘몰다’라고 하는 ‘驅구’字자를 썼다. ‘邑읍’은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이고 ‘사람’이라는 人인은 가운데 爻효이다. |
46) 앞의 네 爻효가 陰음으로 가운데가 끊어져 있다가, 五爻오효에 와서 陽爻양효로 막혀있으므로 마치 앞은 터지고 뒷면이 막힌 것이, 사냥할 때 三面삼면을 막고 앞의 한 面면이 열린 것과 같은 形象형상이라는 말이다. |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
九五 [至] 誡吉. 九五구오는 …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 |
馬氏曰, 三驅, 一曰乾豆, 二曰賓客, 三曰君庖. |
馬氏마씨가 말하였다. “ ‘세 군데로 몰다.’라고 한 것은 첫째는 祭祀飮食제사음식을 마련하기 爲위해서이고, 둘째는 賓客빈객을 爲위해서이고, 셋째는 임금의 부엌[君庖군포]을 爲위해서이다.” |
○ 鄭氏曰, 大司馬狩田, 旣陳, 設驅逆之車, 謂驅出禽獸趨田者. |
鄭氏정씨가 말하였다. “大司馬대사마가 狩獵수렵을 할 적에 이미 陳진을 치고 몰 수레를 整列정렬하는데, 禽獸금수를 몰아나가 狩獵수렵하는 것을 말한다.” |
○ 王氏曰, 用其中正, 征討有常, 伐不加邑. 動亦討叛, 邑人旡虞, 故不誡也. |
王弼왕필이 말하였다. “中正중정하게 하고, 征伐정벌과 討伐토벌에 法度법도[常상]가 있으며, 征伐정벌을 邑읍에 더하지 않는다. 軍隊군대를 움직임은 또한 叛亂반란을 討伐토벌하는 것인데 邑人읍인에 對대해서는 근심할게 없으므로 警戒경계하지 않는다.” |
○ 雙湖胡氏曰, 五陰皆稱比之, 比乎五也. 九五獨稱顯比, 爲衆陰所比也. |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다섯 陰음을 모두 돕는다고 일컬으니, 五爻오효를 돕는 것이다. 九五구오만 ‘드러나게 돕는다.’라고 일컬음은 여러 陰음의 돕는 바가 되기 때문이다.” |
傳, 煦煦. 『程傳정전』에서 말하였다. “煦煦후후.” |
〈案, 日出微溫之貌〉 〈내가 살펴보았다. 해가 나와 조금 따뜻한 모양이다〉 |
* 煦煦후후: 溫情온정을 베푸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氣溫기온이 따뜻한 모양. 자그마한 恩惠은혜를 베푸는 모양. |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
五之陽, 以坎乘坤, 其中正之德, 能顯明比道於天下者也. 故有三驅失前禽之象. 雖私屬不相警備以求, 必得也. 顯其比而能如是, 故吉也. |
五爻오효의 陽양은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로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를 타니, 그 中正중정한 德덕이 天下천하 사람에게 돕는 道도를 드러내 밝힐 수 있는 者자이다. 그러므로 “세 군데로 몰아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象상이 있다. 비록 私的사적인 무리가 서로 警戒경계하고 防備방비하여 求구하더라도 반드시 얻는 것은 아니다. 그 돕는 것을 드러내어 이와 같이 할 수 있기 때문에 吉길하다. |
○ 顯者, 陽之明也. 坤在中之文, 至比而顯也. 五居尊位, 有坤邑國王之象. 三驅, 坎田獵象, 以坎馬駕坤輿驅之象. 師之二曰王三錫命, 比之五曰王用三驅, 可見反對之義也. 禽者飛走總名. |
‘드러낸다’는 것은 陽양의 밝음이다.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는 안에 있는 文彩방비인데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에 이르러 드러난다. 五爻오효는 높은 자리에 있어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인 邑國읍국에서 王왕인 象상이 있다. “세 군데로 몰다.”라는 것은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인 사냥터의 象상이니,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인 말에 멍에를 씌어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인 수레를 모는 象상이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의 二爻이효에서 “王왕이 세 번 命명을 준다.”라고 하고,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의 五爻오효에서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쓴다.”라고 하였으니, 反對반대되는 意味의미를 볼 수 있다. ‘새’는 날아다니는 것의 全體전체 이름이다. |
見屯六三, 天子不合圍, 開一面之網, 而初二四皆自內而比之, 所以來者不拒也. 上六居外而爲後, 所以去者不追也, 故曰失前禽也. 卦言後夫, 爻曰前禽, 皆指上也. |
屯卦(둔괘, ䷂ ☵☳ 水雷屯卦수뢰둔괘)의 六三육삼을 보면 天子천자는 네 面면으로 에워싸지 않고 한 面면의 그물을 열어놓아서 初爻초효와 二爻이효와 四爻사효가 모두 안으로부터 도우니, 이 때문에 오는 것을 막지 않는다. 上六상육은 밖에 있어 뒤가 되니, 이 때문에 가는 것을 쫓지 않으므로 “앞의 짐승을 잃는다.”고 하였다. 卦괘에서 “뒤에 오는 丈夫장부”라고 하고 爻효에서 “앞의 짐승”이라고 한 것은 모두 上爻상효를 가리킨다. |
背乎五則爲前禽, 窮於上則爲後夫也. 三四居坤邑人之象. 邑人不誡, 卽不掩群之義也. 戒於言爲誡, 泰之四曰不戒以孚, 戒於心者也. |
五爻오효의 뒤에 있는 것이 “앞의 짐승”이 되고, 맨 위에서 다한 것이 “뒤의 丈夫장부”가 된다. 三爻삼효와 四爻사효는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인 邑읍에 사는 사람의 象상이다.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것은 바로 사냥감을 窮地궁지로 몰아 모조리 잡지 않는다는 뜻이다. [주 47]말에 對대해 警戒경계한 것이 ‘誡계’가 되고, 泰卦(태괘, ䷊ ☷☰ 地天泰卦지천태괘)의 四爻사효에서 “警戒경계하지 않아도 믿는다.”라고 한 것은 마음에 對대해 警戒경계한 것이다. |
47) 『禮記예기‧曲禮곡례』:國君春田不圍澤, 大夫不掩群, 士不取麛卵. |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
前禽, 徐進齋以爲指上六, 此一陰獨背于五, 故曰失前禽. 來易以爲指初, 下卦在前, 初在應爻之外, 故曰失前禽, 未知孰是. |
“앞의 짐승”을 徐進齋서진재는 上六상육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하였는데, 上六상육의 한 陰음만이 五爻오효의 뒤에 있기 때문에 “앞의 짐승을 잃는다.”라고 하였다. 來知德래지덕의 易역에서는 初爻초효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했는데, 下卦하괘가 앞에 있고 初爻초효는 呼應호응하는 爻효의 밖에 있기 때문에 “앞의 짐승을 잃는다.”고 한 것이니, 어느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
【서유신(徐有臣) 『역의의언(易義擬言)』】 |
此九五之比下也. 一陽居尊, 坎水比地, 互艮畜止四陰, 比道於是乎光大矣. 故曰顯比, 所謂天子之光也. 三驅者, 初二四也. 前禽者, 上六也. 不入於艮限之內, 爲前禽象, 亦爲失之之象. |
이것은 九五구오가 아래를 도움이다. 한 陽양이 높은데 있으니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인 물이 땅에 붙어 있고 互卦호괘인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가 네 陰음을 막아 그치게 하니, 돕는 道도가 이에 빛나고 크다. 그러므로 “드러나게 돕는다.”라고 하였으니, 天子천자의 빛남이다. “세 군데로 모는 것”은 初爻초효와 二爻이효와 四爻사효이다. “앞의 짐승”은 上六상육이다. 互卦호괘인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의 限界線한계선(☶山艮卦산간괘) 안에 들어가지 못해[주 48]“앞의 짐승”의 象상이 되고, 또 그것을 잃는 象상이 된다. |
在前而失之, 任其去而不取也. 邑人者, 六三也. 不誡者, 毋用申戒也. 自三言之, 則爲不得比五者, 自五視之, 則同在四陰順從之中也. |
앞에 있는데 잃으니, 그 가는 데로 맡겨두고 取취하지 않는다. “邑읍 사람”은 六三육삼이다.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로 訓戒훈계함을 쓰지 않음이다. 三爻삼효에서 말하면 五爻오효를 돕지 못하는 者자가 되고, 五爻오효에서 보면 다 같이 네 陰음이 順순히 따르는 가운데 있다. |
48)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의 外互卦외호괘(三爻삼효에서 五爻오효까지)가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가 되는데, 上六상육은 그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의 밖에 있다는 뜻이다. |
【김귀주(金龜柱) 『주역차록(周易箚錄』】 |
九五, 顯比, 王用, 云云. 九五구오는 드러나게 돕는 것이니, 王왕이 쓴다, 云云운운. |
○ 按, 失前禽, 指上六一爻而言, 小註, 諸儒說已盡之. |
내가 살펴보았다.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것은 上六상육의 한 爻효를 가리켜 말하니, 小註소주에서 여러 儒學者유학자들의 說明설명이 이미 曲盡곡진하다. |
本義, 一陽居尊, 云云. 『本義본의』에서 말하였다. “한 陽양이 높은데 있다, 云云운운.” |
小註, 雲峯胡氏曰, 諸陰云云. 小註소주에서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여러 陰음이, 云云운운.” |
○ 按, 邑人不誡, 蓋言不待相誡, 自然從上, 與失前禽各爲一義. 且失前禽, 只取舍逆取順之義, 非取其好生不盡物之義也. 胡說邑人, 惟恐失之云云以下, 恐失文義. |
내가 살펴보았다.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것은 서로 警戒경계함을 기다리지 않고 저절로 윗사람을 따름이니,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것과 各各각각 한 가지의 意味의미가 된다. 또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것은 但只단지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順순히 하는 것을 取취한다.”는 意味의미만을 取취함이니, 그 살리기를 좋아하여 사냥감을 모조리 잡지않는 뜻을 取취한 것은 아니다. 胡氏호씨가 말한 “邑읍 사람은 오직 잃을까 두려워한다.”고 云云운운한 以下이하는 아마도 文章문장의 意味의미를 잃은 듯하다. |
【박제가(朴齊家) 『주역(周易)』】 |
顯者暗之反. 王者之比惟恐有暗, 暗則私矣, 故必曰顯比, 以三驅喩之. 蓋三驅失前禽, 自是一義, 邑人不誡, 又自是一義. 傳得之, 而本義合之, 乃以不誡爲不求, 必得朱子. |
‘드러남’은 어두움의 反對반대이다. 임금된 사람의 도움은 오직 어두움이 있을까 근심하니, 어두우면 私私사사로운 까닭에 반드시 “드러나게 돕는다.”고 하고, 세 군데로 모는 것으로 譬喩비유하였다. “세 군데로 모는데 앞의 새를 잃는다.”는 것이 自然자연 한 가지 意味의미이고,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 또 한 가지 意味의미이다. 『程傳정전』은 옳고 『本義본의』는 附合부합하나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를 “求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보면 반드시 朱子주자가 옳다. |
曰邑人不誡, 如有聞無聲, 又如歸市者不止, 耕者不變, 相似者至矣. 但此畋獵之塲, 旣非邑中, 而邑中之人之從禽者, 又未必自爲一隊而別爲誡也. |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고 말함은 “간다는 所聞소문은 있는데, 가는 소리가 없다.”는 것, 또 市場시장으로 몰려드는 者자가 끊이지 않고 밭가는 者자도 變변함없이 밭을 간 것과 매우 비슷하다. 다만 이 사냥터가 이미 邑읍 안에 있는 것도 아니고, 邑읍의 사람이 새[짐승]를 쫓는 것도 반드시 한 隊列대열이 되어 따로 警戒경계를 삼은 것도 아니다. |
經云不誡, 蓋言尋常有事之時, 遐遠之民, 則必相誡飭, 而邑人則熟喩上之使民以時之意, 無容告語者, 爲坦然無間隔之象, 故取之耳. |
經경에 “警戒경계하지 않는다.”고 한 것은 大體대체로 普通보통 어떤 일이 있을 때에는 멀리있는 百姓백성들은 반드시 서로 警戒경계하지만, 가까이 있는 邑읍 사람들은 윗사람이 百姓백성을 때에 맞게 부리는 뜻을 잘 알고 있어서, 特別특별히 告고해줄 것도 없어서 便安편안히 틈이 없는 象상이 되므로, 이 뜻을 取취한 것이다. |
但傳意以不誡邑人爲言, 與邑人之自不誡者有異, 故朱子云, 伊川解此一句爲可疑, 恐易之文義不如此者, 此也. |
다만 『程傳정전』의 뜻은 邑읍 사람을 警戒경계하지 않는 것으로 말했으니, 邑읍 사람이 스스로 警戒경계하지 않는 것과는 差異차이가 있기 때문에 朱子주자가 “伊川이천이 이 한 句節구절을 풀이한 것은 疑心의심스러우니 아마도 易역의 文章문장의 意味의미는 이와 같지 않은 듯하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
【윤행임(尹行恁) 『신호수필(薪湖隨筆)‧역(易)』】 |
顯比之吉, 自有孚盈缶而始. 人之待物, 若無誠意, 則物無比我者, 惟在自反而誠. 誠在我, 比在人. |
“드러나게 돕는 吉길함”은 “믿음을 둠이 질그릇에 차듯 한다.”는 것에서 始作시작한다. 사람이 남을 待接대접하는데 精誠정성스러운 뜻이 없으면 남이 나를 돕는 것이 없으니, 오직 스스로 反省반성하여 精誠정성스럽게 함에 있다. 精誠정성은 내게 달렸고 돕는 것은 相對상대에게 달렸다. |
【강엄(康儼) 『주역(周易)』】 |
九五, 顯比 [止] 不誡言. 九五구오는 드러나게 돕는 것이니 … 警戒경계하지 아니하니 吉길하다. |
按, 比, 師之反也. 師九二以陽在下, 而爲衆陰之所歸, 故於二言王. 比九五以陽居尊, 而爲衆陰之所比, 故於五言王. 師之王, 明其有君也, 比之王, 明其爲君也. |
내가 살펴보았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는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가 거꾸로 된 卦괘이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의 九二구이는 陽양으로써 아래에 있고 여러 陰음이 歸依귀의하는 바가 되기 때문에 二爻이효에서 王왕을 말하였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 九五구오는 陽양으로 높은데 있어 여러 陰음이 돕는 바가 되기 때문에 五爻오효에서 ‘王왕’이라고 하였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의 王왕은 그에게 임금의 資質자질이 있음을 밝혔고,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의 王왕은 그가 임금이 됨을 밝혔다. |
【박문건(朴文健) 『주역연의(周易衍義)』】 |
舍逆取順, 故有顯比之象. 顯比, 顯明其比民之道也. 三驅, 三面之驅也. 前禽, 三上也. 誡, 警懼也. |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順순히 하는 것을 取취하는 까닭에 드러나게 돕는 象상이 있다. “드러나게 돕는다.”는 것은 그 百姓백성을 돕는 道도를 分明분명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세 군데로 몬다.”는 것은 세 面면에서 모는 것이다. “앞의 짐승”은 三爻삼효와 上爻상효이다. ‘誡계’는 警戒경계하고 두려워하는 것이다. |
〈問, 失前禽. 曰, 在前之二禽, 逆, 三驅而出去, 故云失前禽. 三在下體之前, 上在上體之前, 故取此義也. |
물었다. " ‘앞의 짐승을 잃는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答답하였다. "앞에 있는 두 마리 짐승이 거스르는 것이니, 세 군데로 몰아 달아나기 때문에 ‘앞의 짐승을 잃는다.’고 하였습니다. 三爻삼효는 下體하체의 앞에 있고 上爻상효는 上體상체의 앞에 있기 때문에 이 意味의미를 取취하였습니다.”〉 |
〈問,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曰, 九五, 顯其比道者也. 故用邑人之三驅, 而失在前之禽. 然王必不責其失禽, 故爲驅者, 亦知其王心, 而不警懼也. 此九五之吉道也. |
물었다. “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쓰는데 앞의 짐승을 잃으며 邑읍 사람도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答답하였다. ”九五구오는 그 돕는 道도를 나타낸 者자입니다. 그러므로 邑읍 사람이 세 군데로 몰아서 앞에 있는 짐승을 잃는 것입니다. 그러나 王왕이 반드시 그 잃어버린 짐승에 對대해 叱責질책하지 않기 때문에 몰이한 者자가 또한 그 王왕의 마음을 알아서 警戒경계하고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九五구오의 吉길한 道도입니다.”〉 |
【김기례(金箕澧) 「역요선의강목(易要選義綱目)」】 |
九五, 顯比, 九五구오는 나타나게 도우니, |
一陽居尊, 故曰顯. 蓋以顯明之道, 下比衆陰也. |
한 陽양이 높은데 있기 때문에 ‘드러난다’고 하였다. 드러나게 밝은 道도로써 아래의 여러 陰음을 돕는다. |
王[주 49]用三驅, 失前禽,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데 앞의 새를 잃으며, |
王謂君位, 王者之佃, 圍三面而前開一面, 順來者取之, 逆去者舍之. 蓋內比四陰之順來, 外舍一陰之逆去, 故曰失前禽. 蓋比道當舍逆取順. |
‘王왕’은 임금의 자리를 말하니, 임금의 사냥이 세 面면을 包圍포위하고 앞의 한 面면을 열어 順순히 오는 것은 取취하고 거슬러 가는 것은 버린다. 大槪대개 안으로 네 陰음이 順順순순히 오는 것은 돕고 밖으로 한 陰음이 거슬러 가는 것은 버리기 때문에 “앞의 새를 잃는다.”라고 하였다. 돕는 道도는 마땅히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順순히 하는 것을 取취해야 한다. |
邑人不誡. 邑읍 사람에게 警戒경계하지 않는다. |
坤爲邑國, 故曰邑人. 指上雖切近而不取也. |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가 邑國읍국이 되기 때문에 “邑읍 사람”이라고 하였다. 上爻상효가 비록 切實절실하고 가깝지만 取취하지 않음을 가리킨다. |
○ 蓋顯出之道, 不以遠近有間. 舍逆取順, 雖諸下之人, 不必警而求比. |
分明분명하게 나오는 道도는 멀고 가깝다고 해서 差異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順순히 하는 것을 取취한다는 것을, 아랫사람들이라 할지라도 警戒경계하여 도움을 求구할 必要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
49) 王왕: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玉옥’으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王’으로 바로잡았다. |
【이항로(李恒老) 「주역전의동이석의(周易傳義同異釋義)」】 |
按, 以期約釋誡, 有三不便. 當曰不誡邑人, 而曰邑人不誡, 文倒. 連上三句通爲一說, 而分作両說, 文斷. 象傳[주 50]以上使中也, 釋邑人不誡, 則不誡之善在邑人也, 而若曰不誡邑人, 則善不在邑人矣, 文意不相應, 故以邑人亦不警備前禽之意釋之, 則三者俱安, 細察可見. |
내가 살펴보았다. 『程傳정전』처럼 ‘期約기약하다’로 ‘誡계’를 풀이하면 세 가지 問題문제가 있다. ‘期約기약하다’로 풀이하면 마땅히 “不誡邑人불계읍인”이라고 해야 할 것인데, 經文에서는 “邑人不誡읍인불계”라고 하였으니, 文章문장이 거꾸로 된다. 또 위 세 句節구절과 이어져 通통하여 하나의 說明설명이 되어야 하는데 『程傳정전』처럼 풀이하면 나뉘어 두 가지 說明설명이 되니, 文章문장이 끊긴다. [주 51]九五구오 「象傳상전」에서는 “上使中상사중”[주 52]라는 말을 가지고 “邑人不誡읍인불계”를 풀이하였으니, 警戒경계하지 않는 善선이 邑읍 사람에게 있다. 그런데 萬若만약 “不誡邑人불계읍인”라고 풀이한다면 善선이 邑읍 사람에게 있는 것이 아니게 되어, 文章문장의 뜻이 서로 呼應호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邑읍 사람도 앞의 짐승을 놓치지 않게 防備방비하려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풀이하면 세 가지 問題문제가 모두 便安편안해지니, 仔詳자상히 살피면 알 수 있다. |
50) 象상: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彖단’으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象’으로 바로잡았다. |
51) “九五, 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에 對대한 풀이를 『本義본의』에 따라 풀이하면 “九五구오는 나타나게 도움이니,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앞의 짐승을 잃고 邑읍 사람도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 ”가 되어 全體的전체적으로 하나의 脈絡맥락으로 이 文章문장을 理解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程傳정전』에 따라 풀이하면 “九五구오는 나타나게 도움이니,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앞의 짐승을 잃으며 邑읍 사람에게 期約기약하지 않으니, 吉길하다. ”가 되어, 뒤의 “邑읍 사람에게 期約기약하지 않으니 吉길하다.”라 한 部分부분이 앞 句節구절의 脈絡맥락과 連結연결되지 않아, 意味의미가 둘로 나뉜다는 것이다. |
52) 『周易주역‧比卦비괘』:九五, 「象傳상전」의 “邑人不誡, 上使中也. ”을 『程傳정전』에 따라 풀이하면 “邑읍 사람에게 期約기약하지 않음은 윗사람의 부림이 알맞다.”가 되고, 『本義본의』에 따라 풀이하면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음은 윗사람이 (그로 하여금) 中道중도로 하게 하여서이다.”가 된다. |
【박종영(朴宗永) 「경지몽해(經旨蒙解)‧주역(周易)」】 |
比卦九五日, 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주 53], 吉. |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 九五구오에서 말하였다. “드러나게 도우니,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데 앞의 새를 잃고 邑읍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 |
程傳曰, 五居君位, 處中得正, 盡比道之善者也. 人君比天下之道, 當顯明其比[주 54]道而已, 如誠意以待物, 恕己而及人, 發政施仁, 使天下蒙其惠澤, 故取三驅爲喩. |
『程傳정전』에서 말하였다. “五爻오효는 임금의 자리에 있고 가운데 있어 바름을 얻었으니, 돕는 道도의 最善최선을 다한 것이다. 임금이 天下천하를 돕는 道도는 마땅히 그 돕는 道도를 드러내 밝힐 뿐이어서 誠意성의로써 相對상대를 待接대접하고 自己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치며, 政治정치를 펼쳐 仁인을 베풀어 天下천하가 그 惠澤혜택을 입게 하기 때문에 세 군데로 모는 것을 取취하여 譬喩비유하였다." |
推其仁心, 爲三驅之禮, 乃禮所謂天子不合圍, 成湯祝網, 是其義也. 合其三面, 前開一路, 不忍盡物, 好生之仁也. 邑人不誡[주 55]吉, 言其至公不私, 無遠邇親疏之別也. |
그 어진 마음을 미루어 세 군데로 모는 禮예를 삼았으니, 『禮記예기』에서 “天子천자는 四方사방으로 에워 모는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것과 成湯성탕이 그물을 치고 祝願축원한 것이 그 意味의미이다. 세 面면을 에워싸고 앞으로 한 길을 열어놓아 다 잡지 않으니, 살리기를 좋아하는 어질음이다.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吉길하다.”고 한 것은 至極지극히 公的공적이고 私私사사로움이 없어 멀고 가까우며 親친하고 疏遠소원한 區別구별이 없음을 말한다. |
大率人之相比, 莫不然, 臣於君竭[주 56]其忠誠, 乃顯其比[주 57]君之道也, 用之與否, 在君而已, 不可阿諛逢迎, 求其比己也. |
大槪대개 사람이 서로 돕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이 없어서 臣下신하가 임금에게 그 忠誠충성을 다하여 그 돕는 道도를 나타내는 것이니, 쓰고 안 쓰고는 임금에게 있을 뿐이고, 阿諂아첨하고 迎合영합해서 自己자기를 돕도록 要求요구해서는 안 된다. |
在朋友亦然, 脩身誠意以待之, 親己與否, 在人而已, 不可巧言令色, 曲從苟合, 以求人之比己也. 於鄕黨親戚, 於衆人, 莫不皆然. |
벗에게 있어서도 그러하니, 몸을 닦고 誠意성의로써 待接대접하되 自己자기를 親친히 하고 하지 않고는 相對상대에게 있을 뿐이어서 말을 巧妙교묘하게 하고 얼굴-色색을 좋게 하며 굽혀 따르고[曲從곡종] 苟且구차하게 附合부합하여 相對상대가 自己자기를 돕도록 要求요구해서는 안 된다. 鄕黨향당이나 親戚친척에 있어서와 사람들에게 있어서도 모두 그렇지 않은 것이 없다." |
53) 誡계: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誠성’으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誡계’로 바로잡았다. |
54) 比비: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此차’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比비’로 바로잡았다. |
55) 誡계: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誠성’으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誡계’로 바로잡았다. |
56) 竭갈: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端단’으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竭갈’로 바로잡았다. |
57) 比비:경학자료집성 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此차’로 되어 있으나, 『周易주역』 原文원문에 따라 ‘比비’로 바로잡았다. |
本義曰, 邑人不誡, 雖私屬, 亦喩上意, 不相警備以求必得也. |
『本義본의』에서 말하였다. “邑읍 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으니, 비록 私私사사로운 무리일지라도 윗사람의 뜻을 알아서 서로 警戒경계하면서 求구하는 것을 반드시 얻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
雲峰胡氏曰, 使邑人不喩上意, 或有惟恐失之之心, 則禽無遺類, 其仁不廣, 未可以吉言也. |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邑읍 사람으로 하여금 윗사람의 뜻을 깨닫지 못하게 내버려 두어 或혹 앞의 짐승을 잃어버리게 될까 걱정하는 마음이 있게 하면, 짐승은 남겨 둘 것이 없어서 그 仁인이 넓지 못하니, 吉길하다고 할 수 없을 듯하다." |
蓋比者, 人相親比也. 君臣相比, 以成天下之務, 朋友相比, 以成講習之美, 比雖不可無者, 而於其中, 亦有善不善之異, 故六二曰比之自內貞吉, 象曰比之自內不自失也. |
‘돕는다’는 것은 相對상대가 서로 親친히 하여 도움이다. 임금과 臣下신하가 서로 도와 天下천하의 일을 이루고, 벗이 서로 도와 講習강습의 아름다움을 이루니, 도움이 비록 없을 수 없는 것이지만 그 가운데에 또한 좋고 좋지 않은 差異차이가 있기 때문에 六二육이에서 “안으로부터 도움이니 곧아 吉길하다.”라고 하고 「象傳상전」에서 “안으로부터 도움이니 스스로를 잃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
程傅釋之以守己, 中正之道, 以待上之求, 乃不自失也. 降志辱身, 非自重之道, 故伊尹武候救天下之心, 非不切, 必待禮至然後出也. 六三曰比之匪人, 象曰比之匪人不亦傷乎. |
『程傳정전』은 自己자기를 지키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니, 中正중정한 道도로써 윗사람의 要求요구를 기다리는 것이 스스로를 잃지 않는 것이다. 뜻을 꺾고 自身자신의 몸을 辱욕되게 함은 스스로를 貴重귀중하게 여기는 道도가 아니기 때문에 伊尹이윤과 武候무후가 天下천하를 求구하려는 마음이 切實절실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반드시 禮예가 갖추어지길 기다린 後후에 나온 것이다. 六三육삼에서 “돕는 것이 穩當온당한 사람이 아니다.”라고 하고 「象傳상전」에서 “돕는 것이 사람이 아니니 또한 傷상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
程傳釋之以人之相比求安, 吉也, 乃比於匪人, 必將反得悔吝, 其亦可傷矣. 至於九五顯比, 乃人君比天下之道, 而三驅失前禽, 人君之德以仁爲貴, 故體天好生之德, 以盡及物之仁也. 雖然此非獨人君. |
『程傳정전』은 相對상대가 서로 돕는 것으로 便安편안함을 求구하여 吉길한 것으로 풀었으니, 사람이 아닌데도 도우면 반드시 거꾸로 後悔후회와 吝嗇인색함을 얻게 되니, 그 또한 傷상할 수 있다. 九五구오의 ‘드러나게 도움’은 임금이 天下천하 사람을 돕는 道도인데 “세 군데로 몰아 앞의 새를 잃는다.”는 것은 임금의 德덕이 仁인을 貴귀하게 여기기 때문에 하늘의 살리기를 좋아하는 德덕을 體得체득하여 萬物만물에 이르기까지 仁인을 다하는 것이다. 비록 그렇지만 이것은 임금만의 일이 아니다. |
如此大率人之相比, 莫不然, 於處事接物之際, 克誠克仁, 恒求大中至正之道, 則大學之脩身齊家治國平天下, 亦不外是矣. 學者宜詳覽而致意焉. |
이와 같이 大體대체로 사람들이 서로 돕는데 그렇지 않음이 없어서, 일을 處理처리하고 남을 接待접대하는 때에도 精誠정성스럽고 어질어서 變변함없이 크게 알맞고 至極지극히 바른 道도를 求구한다면 『大學대학』에서 “自身자신을 닦고 집안을 다스리며 나라를 다스리고 天下천하를 平和평화롭게 한다.”고 한 것이 또한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배우는 者자가 마땅히 仔詳자상하게 살펴서 뜻을 다 把握파악해야 할 것이다."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
比之坤䷁. 九五以剛中居剛, 以順道求比焉. 坎之對离爲明顯. 顯比者, 以君對臣而言, 顯明賢德以爲比也. 人君无私比, 比于賢德也. 天子不合圍, 圍其三面而已. |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가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로 바뀌었다. 九五구오는 굳세고 알맞음[剛中강중]으로 굳센 자리에 있고 順순하게 하는 道도로써 도움을 求구한다.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의 陰陽음양이 바뀐 離卦(리괘, ䷝ ☲☲ 重火離卦중화리괘)가 밝게 드러나는 것이 된다. 드러나게 도움은 임금이 臣下신하를 對대하는 것으로 말했기 때문에 어진 이의 德덕을 드러나게 밝힘을 돕는 것으로 여겼다. 임금은 私私사사롭게 돕는 마음을 갖지 않고 어진 이의 德덕을 돕는다. 天子천자는 四方사방으로 에워싸지 않으니 그 세 面면만 에워쌀 뿐이다. |
五居兌體爲失, 坎爲前, 艮爲禽, 九五用巽順之道, 去者不强取, 故曰王用三驅失前禽. 人君當修道, 以來天下, 其有不附者, 不可强求服也. |
五爻오효는 兌卦(태괘, ䷹ ☱☱ 重澤兌卦중택태괘)의 몸체에 있어 잃음이 되고,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는 앞이 되고, 互卦호괘인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는 새[짐승]가 되니, 九五구오가 恭遜공손한 道도를 써서 가는 것을 抑止억지로 取취하지 않기 때문에 “王왕이 세 군데로 모는 것을 씀에 앞의 새를 잃는다.”라고 하였다. 임금이 마땅히 道도를 닦아 天下천하 사람을 오게 하고, 그 곁에 따르지 않는 者자를 抑止억지로 와서 服從복종하게 해서는 안 된다.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와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와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가 사냥이 되고 臣下신하와 百姓백성의 依支의지하는 무리는 모두 그 임금을 親친히 여기고 믿어 警戒경계하여 防備방비하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邑읍사람이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
坤坎艮爲田獵, 臣民之附屬者, 皆親信其君, 无戒備之心, 故曰邑人不誡. 艮坤爲邑人, 邑人私屬也. 凡附屬于天子者, 皆天子之私屬也. 兌爲戒. |
艮卦(간괘, ䷳ ☶☶ 重山艮卦중산간괘)와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가 邑읍 사람이 되니, 邑읍 사람은 私私사사로운 무리이다. 天子천자에 依支의지하는 무리는 모두 天子천자의 私私사사로운 무리이다. 兌卦(태괘, ䷹ ☱☱ 重澤兌卦중택태괘)는 警戒경계가 된다. |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
九五, 陽剛中正而居尊, 大公旡私, 有顯比之德. 其仁不欲盡物取之. 出畋而不合圍, 乃用一面之網, 三驅其禽, 往者不追, 來者不拒, 而失其前去之禽. 邑人亦從而化之, 不待上之告誡. 此皆吉之道也, 故其辭如此. |
九五구오는 굳센 陽양으로서 가운데 있고 바르며[中正중정] 높은데 있어서 크게 公平공평하고 私私사사로움이 없이 드러나게 돕는 德덕이 있으니, 그 仁인함은 짐승을 다 取취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사냥터에 나가 四方사방을 둘러싸지 않고 한 곳이 뚫린 그물을 쓰니, 세 곳에서 그 짐승을 몰아서 가는 것은 쫓지 않고 오는 것은 막지 않아 그 앞으로 가는 짐승을 잃는다. 邑읍 사람도 따라서 感化감화되어 윗사람이 타일러 訓戒훈계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는다. 이것이 다 吉길한 道도이기 때문에 그 말이 이와 같다. |
○ 光明曰顯, 而取於對體之離. 王指九五也. 三取坎少陽, 位居三也. 坎有飛鳥之象故言禽, 而前禽指上六也. 誡取於對體互兌也. |
光明광명을 “드러난다.”고 하였는데, 陰陽음양이 바뀐 몸체인 離卦(리괘, ䷝ ☲☲ 重火離卦중화리괘)에서 取취하였다. 王왕은 九五구오를 가리킨다. 三삼은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인 少陽소양을 取취하므로 자리가 세 번째에 있다.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에 날아가는 새의 象상이 있기 때문에 새[禽금]라고 말하였는데, 앞의 짐승[새]은 上六상육을 가리킨다. ‘警戒함[誡계]’은 相對상대되는 몸체의 互體호체인 兌卦(태괘, ䷹ ☱☱ 重澤兌卦중택태괘)에서 取취하였다. |
* 仁인: 1. 남을 사랑하고 어질게 行動행동하는 일. 2. 『哲學철학』 孔子공자가 主張주장한 儒敎유교의 道德도덕 또는 政治 理念정치 이념. 倫理的윤리적인 모든 德덕의 基礎기초로 이것을 擴散확산시켜 實踐실천하면 理想的이상적인 狀態상태에 到達도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 |
【이진상(李震相) 『역학관규(易學管窺)』】 |
九五尊位, 故曰顯. 三, 坎位. 驅, 坎馬也. 禽, 坎豕也. 邑人, 指六二, 言坤體之人位也. 前禽, 指上六而六三舍我而比上, 邑人之所易詰捕, 故以不誡爲象, 亦去者不追之義. |
九五구오는 높은 자리이기 때문에 “드러난다.”라고 하였다. ‘세 곳’은 구덩이[坎감]의 자리이다. ‘몰다’는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인 말[馬마]이다. ‘짐승[禽금]’은 坎卦(감괘, ䷜ ☵☵ 重水坎卦중수감괘)인 돼지이다. ‘邑읍 사람’은 六二육이를 가리키니,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의 몸체에서 사람의 자리이다. ‘앞의 짐승’은 上六상육을 가리키는데 六三육삼이 나를 버리고 上六상육을 도우니, 邑읍 사람에게 쉽게 攻擊공격 當당하고 사로잡히는 바이기 때문에 “警戒경계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象상을 삼았으니, 또한 가는 것을 쫓지 않는 意味의미이다. |
【박문호(朴文鎬) 「경설(經說)‧주역(周易)」】 |
象例著也字, 而此特著乎字, 所以示丁寧之意也. 邑人不誡, 程子之釋儘好, 蓋從顯比之顯及使中之中, 而爲之說也. |
「象傳상전」의 事例사례를 보면 ‘也야’字자를 썼는데, 여기서 特別특별히 ‘乎호’字자를 붙인 것은 ‘틀림없다’는 뜻을 보이기 때문이다. “邑읍 사람에게 期約기약하지 않는다.”는 것은 程子정자의 풀이가 매우 좋으니, “드러나게 돕는다.”고 할 때의 ‘드러남[顯현]’과 '中道중도로써 부린다.'고 할 때의 ‘中道중도’로써 說明설명하였다. |
其處正得中, 言其所處之地正得中也, 諺釋得之. |
“그 바른 데에 있고 中道중도를 얻는다.”고 한 것은 그 있는 곳이 바르고 中道중도를 얻었다는 말이니, 『諺解언해』의 解釋해석이 좋다. |
【이용구(李容九) 「역주해선(易註解選)」】 |
九五, 三駈, 失前禽, 此成湯祝網之心. |
九五구오에서 “세 군데에서 몰아서 앞의 짐승을 잃는다.”고 한 것은 湯탕임금이 그물을 쳐 놓고 祝願축원한 마음이다. |
【이병헌(李炳憲) 『역경금문고통론(易經今文考通論)』】 |
鄭曰, 王者習兵於蒐狩, 驅禽而射之三, 則已法軍禮也. 失前禽者, 在前者不逆〈迎也〉而射之, 旁去又不射. 唯背走者順而射之, 不中則已. 是皆所以失之. 用兵之法亦如之, 降者不殺, 奔者不禦. |
鄭氏정씨가 말하였다. “임금이 사냥에서 兵士병사를 調練조련하고 짐승을 몰아 쏘기를 세 번 함이 이미 軍禮군례를 따르는 것이다. 앞의 짐승을 잃음은 앞에 있는 것이 거스르지 않아〈맞이함이다〉 쏘는 것이고, 옆으로 가면 또 쏘지 않는다. 등을 보이고 달아나는 것은 順순한 것이니, 쏘지만 맞히지 못하면 그친다. 이것이 모두 잃는 까닭이다. 軍隊군대를 쓰는 法법이 또한 그와 같아서 降伏항복하는 者자를 죽이지 않고 달아나는 者자를 막지 않는다.” |
按, 鄭說必有所本, 然舍逆之逆, 恐爲順逆之逆, 取順之取, 恐爲取善之取, 撫取初二四之比, 從者則非取善乎. 任彼旁去及後夫而不追, 則非舍逆乎. 夫取字之對物對人不得不異也. 旁去謂六三, 後夫謂上六. |
내가 살펴보았다. 鄭氏정씨의 說明설명이 반드시 根據근거한 바가 있을 것이나 “거스르는 것을 버린다.”라고 할 때의 거스르는 것[逆역]은 아마도 順逆순역이라고 할 때의 거스르는 것[逆역]이 되고, “順순히 하는 것을 取취한다.”라고 할 때의 取취하는 것은 아마도 선을 取취한다고 할 때의 取취하는 것이 되니, 初爻초효와 二爻이효, 四爻사효가 돕고 따르는 것을 어루만져 取취한다면 善선을 取취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저 옆으로 가며 뒤처진 者자는 내버려두어 쫓지 않음은 거스르는 것을 버리는 것이 아니겠는가? ‘取취한다’는 ‘取취’字자는 事物사물에 對대해서와 사람에 對대해서가 다르지 않을 수가 없다. “옆으로 간다.”는 것은 六三육삼을 가리키고, “뒤처진 者자”는 上六상육을 가리킨다. |
*****
9. 爻辭효사-五爻오효-小象소상1
p.592 【經文】 =====
象曰顯比之吉位正中也
象曰, 顯比之吉, 位正中也,
象曰 顯比之吉은 位正中也요
「象傳상전」에서 말하였다. “ ‘드러나게 돕는 吉길함’은 자리가 正中정중하기 때문이고,"
中國大全
p.592 【傳】 =====
顯比所以吉者以其所居之位得正中也處正中之地乃由正中之道也比以不偏爲善故云正中凡言正中者其處正得中也比與隨是也言中正者得中與正也訟與需是也
顯比所以吉者, 以其所居之位得正中也, 處正中之地, 乃由正中之道也. 比以不偏爲善, 故云正中. 凡言正中者, 其處正得中也, 比與隨是也, 言中正者, 得中與正也, 訟與需是也.
顯比所以吉者는 以其所居之位得正中也니 處正中之地는 乃由正中之道也라 比以不偏爲善일새 故云正中이라 凡言正中者는 其處正得中也니 比與隨是也요 言中正者는 得中與正也니 訟與需是也라
드러나게 도움이 吉길한 까닭은 그 있는 바의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正中정중]를 얻었기 때문이니, 正中정중의 자리에 있음은 바로 正中정중한 道도로 말미암는 것이다. 도움은 치우치지 않는 것을 善선으로 여김으로 “正中정중”이라고 하였다. “正中정중”이라고 말한 것은 그 바른데 있고 가운데[알맞음]를 얻은 것이니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와 隨卦(수괘 ䷐, ☱☳ 澤雷隨卦택뢰수괘)가 그렇다. “正中중정”이라고 말한 것은 가운데[알맞음]와 바름을 얻은 것이니 訟卦(송괘, ䷅ ☰☵ 天水訟卦천수송괘)와 需卦(수괘, ䷄ ☵☰ 水天需卦수천수괘)가 그렇다.
韓國大全
【김장생(金長生) 「주역(周易)」】 |
比九五象, 位正中.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 九五구오의 「象傳상전」에서 말하였다.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이다.” |
正而中, 諺解釋非. ‘바르고 가운데이다’이니, 『諺解언해』의 풀이가 틀렸다. [주 58]【金相岳김상악 『山天易說산천역설』】 |
顯比而无私, 由其位正中也. 舍其不比我者, 爲逆也, 取其比我者, 爲順也. 上使中者, 五有中德, 故下化之亦中, 由上之德, 使之不偏也. |
드러나게 돕지만 私私사사로움이 없음은 그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 있기 때문이다. 나를 돕지 않는 者자를 버림이 거스름이 되며, 나를 돕는 者자를 取취함이 順순함이 된다. “윗사람이 中道중도로 하게 한다[上使中상사중]”란 五爻오효가 알맞은 德덕이 있으므로 아래로 敎化교화함 亦是역시 알맞음으로 하니, “윗사람의 德덕이 (그들로 하여금) 치우치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주 59] |
正中與中正, 其用不同. 正中者, 必在九五, 中正者, 亦在六二, 故必稱位而別之. 比隨巽三卦, 是也. 需彖傳, 則以天位言也. |
“바르고 가운데 있다[正中정중]”는 것과 “가운데 있어 바르다[中正중정]”는 것은 그 쓰임이 같지 않다. “바르고 가운데 있다.”는 것은 반드시 九五구오에 있고, “가운데 있어 바르다.”는 것은 또한 六二육이에 있기 때문에 반드시 자리를 말해 區別구별하였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와 隨卦(수괘 ䷐, ☱☳ 澤雷隨卦택뢰수괘),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의 세 卦괘가 그렇다. 需卦(수괘, ䷄ ☵☰ 水天需卦수천수괘)의 「彖傳단전」에서는 하늘의 자리로 말하였다. |
58) 『諺解언해』에서는 “正히 中함이요”라고 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바로 中중이다.”라고 解釋해석된다. 金長生김장생은 이 諺解언해의 풀이가 잘못되었으며, “正하고 中하다.”로 보아야 한다고 主張주장하는 것이다. |
59) 『本義본의』에 따르면 “上使中也”의 翻譯번역은 “윗사람이 中道중도로 하게하기 때문이다.”가 된다. |
【서유신(徐有臣) 『역의의언(易義擬言)』】 |
位正中者, 皇建其有極也. 上使中者, 會其有極, 歸其有極也. 上六在外, 故舍而不取也, 六三在內, 故使之趨中, 皇極之道也. |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 이다.”는 것은 임금이 그 標準표준을 세우는 것이다[주 60]. “위의 부림이 알맞다.”는 것은 그 標準표준에 모이고 그 標準표준으로 돌아감이다. 上六상육이 밖에 있기 때문에 버리고 取취하지 않으며, 六三육삼은 안[內卦내괘]에 있기 때문에 가운데를 따르게 하니, 皇極황극의 道도이다. |
60) 『書經서경‧洪範홍범』. |
【김귀주(金龜柱) 『주역차록(周易箚錄』】 |
傳, 顯比所以吉, 云云. 『程傳정전』에서 말하였다. “드러나게 도우니 이 때문에 吉길함은, 云云운운.” |
○ 按, 朱子嘗云正中, 正中卽一般只是要恊韻, 此說恐是. |
내가 살펴보았다. 朱子주자가 일찍이 “ ‘바르고 가운데 있다[正中정중]’에 對대해서 ‘바르고 가운데 있다’는 것은 一般的일반적으로 다만 韻律운율을 맞추고자 함이다.”라고 했는데, 이 說明설명이 옳은 듯하다. |
【박문건(朴文健) 『주역연의(周易衍義)』】 |
位正中, 位得正中也. 上使中, 使民有道也. |
“자리가 正中정중하다.”고 한 것은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 있음을 얻었기 때문이다. “윗사람의 부림이 中道중도에 맞는다.”는 것은 百姓백성을 부리는데 道도가 있는 것이다. |
〈問, 舍逆取順. 曰, 舍在前之二禽, 取在後之三禽, 故謂之舍逆取順也. |
물었다.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따르는 것을 取취한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答답하였다. "앞에 있는 두 마리의 짐승을 버리고 뒤에 있는 세 마리 짐승을 取취하기 때문에,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따르는 것을 取취한다.’라고 하였습니다."〉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
去者爲逆, 來者爲順. 上使中者, 上之使下, 得其中正, 故下无疑備之心, 上下无間, 然比道之至也. |
가는 것은 거스르는 것이고 오는 것이 따르는 것이다. “윗사람의 부림이 中道중도에 맞는다.”는 것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부림에 그 中道중도를 얻었기 때문에 아랫사람이 疑心의심하고 防備방비하는 마음이 없어 위아래가 틈이 없으니, 돕는 道도가 至極지극하다. |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
居正中之位, 以至公比下, 吉之道也. 下四陰順而從陽, 上一陰逆而乘陽, 故失上一陰, 爲前禽之失也. 上之使下以中正之道, 故邑人從上化而不待其告誡也. |
바르고 가운데인 자리에 있어 至極지극히 公平공평하게 아래를 도우니 吉길한 道도이다. 아래 네 陰음이 順순히 하여 陽양을 따르는데, 맨 위의 한 陰음이 거슬러서 陽양을 타기 때문에 맨 위의 한 陰음을 잃으니, 앞의 짐승을 잃는 것이 된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中道중도의 道理도리로 부리기 때문에 邑읍사람이 윗사람을 따라서 敎化교화되어 그 타일러 訓戒훈계함을 기다리지 않는 것이다. |
*****
9. 爻辭효사-五爻오효-小象소상2
p.592 【經文】 =====
舍逆取順失前禽也
舍逆取順, 失前禽也,
舍逆取順이 失前禽也요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따르는 것을 取취함이 “앞의 새를 잃음”이며,
中國大全
p.593 【傳】 =====
禮取不用命者乃是舍順取逆也順命而去者皆免矣比以向背而言謂去者爲逆來者爲順也故所失者前去之禽也言來者撫之去者不追也
禮取不用命者, 乃是舍順取逆也. 順命而去者, 皆免矣. 比以向背而言, 謂去者爲逆, 來者爲順也. 故所失者, 前去之禽也, 言來者撫之, 去者不追也.
禮에 取不用命者하니 乃是舍順取逆也니 順命而去者는 皆免矣라 比는 以向背而言하니 謂去者爲逆이요 來者爲順也라 故로 所失者는 前去之禽也라 言來者撫之하고 去者不追也라
『禮記예기』에서 “命令명령을 듣지 않는 것을 取취한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따르는 것을 버리고 거스르는 것을 取취하는 것이다. 命명에 따라 가는 것은 모두 面면하는 것이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는 가는 方向방향으로 말하였으니, 달아나는 것을 거스르는 것으로 삼고 오는 것을 따르는 것으로 삼아서 말했다. 그러므로 잃는 것은 앞으로 가는 짐승이니, 오는 것을 어루만지고 가는 것을 쫓지 않는다는 말이다.
p.593 【小註】 =====
建安丘氏曰舍逆謂舍上一陰而陰以乘陽爲逆也取順謂取下四陰而陰以承陽爲順也失上一陰故曰失前禽
建安丘氏曰, 舍逆, 謂舍上一陰, 而陰以乘陽爲逆也. 取順, 謂取下四陰, 而陰以承陽爲順也. 失上一陰, 故曰失前禽.
建安丘氏건안구씨가 말하였다. “ ‘거스르는 것을 버린다.’는 것은 맨 위의 한 陰음을 버리는 것을 말하는데, 陰음이 陽양을 타는 것을 거스르는 것으로 여겼다. ‘따르는 것을 取취한다.’는 것은 아래의 네 陰음을 取취하는 것을 말하는데, 陰음이 陽양을 받드는 것을 따르는 것으로 여겼다. 위의 한 陰음을 잃으므로 ‘앞의 짐승을 잃는다.’라고 하였다.”
韓國大全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
舍逆 [至] 禽也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 새를 잃는다. |
〈擧正, 失前禽, 舍逆取順也. ○ 案, 如郭說, 則韻不叶. 蓋古韻禽叶中〉 |
〈『周易擧正주역거정』에서 말하였다. “ ‘앞의 새를 잃는다.’는 것은 거스르는 것을 버리고 따르는 것을 取취하는 것이다. ○ 내가 살펴보았다. 郭氏곽씨의 說설과 같다면 韻운이 맞지 않는다. 옛 韻운에 ‘禽금’이 韻운에 맞는다〉 |
〈案, 傳末本有舍音捨三字〉 |
〈내가 살펴보았다. 『程傳정전』의 끝에 本來본래 ‘舍사의 陰음은 捨사이다.’라고 하는 “舍音捨사음사”의 세 字자가 있었다〉 |
*****
9. 爻辭효사-五爻오효-小象소상3
p.593 【經文】=====
邑人不誡上使中也
邑人不誡, 上使, 中也.
邑人不誡는 上使가 中也일새라
[程傳정전] “邑읍 사람에게 期約기약하지 않음”은 윗사람의 부림이 中道중도에 맞기 때문이다.
[本義본의] “邑읍 사람도 警戒경계하지 않음”은 윗사람이 中道중도로 하게 하기 때문이다.
中國大全
p.593 【傳】 =====
不期誡於親近上之使下中平不偏遠近如一也
不期誡於親近, 上之使下, 中平不偏, 遠近如一也.
不期誡於親近하니 上之使下 中平不偏하여 遠近如一也라
親친하고 가까운 이에게 期約기약하기를 定정하지 않으니,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부리는 것이 中道중도로써 하고 公平공평하게 하여 치우치지 않아서 멀고 가까움이 한결같은 것이다.
p.593 【本義】 =====
由上之德使不偏也
由上之德, 使不偏也.
由上之德이 使不偏也라
윗사람의 德덕이 치우치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p.593 【小註】 =====
雲峰胡氏曰使字與師六五同師之使不當誰使之五也比之使中誰使之亦五也
雲峰胡氏曰, 使字與師六五同. 師之使不當, 誰使之, 五也. 比之使中誰使之, 亦五也.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 ‘부린다’는 뜻의 ‘使사’字자는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 六五육오와 같다. 師卦(사괘, ䷆ ☷☵ 地水師卦지수사괘)에서 부리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는 것은 누가 시킨 것인가? 五爻오효이다. 比卦(비괘, ䷇ ☵☷ 水地比卦수지비괘)에서 부리는 것이 알맞다는 것은 누가 시킨 것인가? 또한 五爻오효이다."
BTS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빌보드 핫100 1위 한국어곡 최초, 다이너마이트 3위 미친 대기록 경악 난리난 미국반응 해외반응 리액션 REACTION BILLBOARD |
https://youtu.be/qy9IM8lZAvs |
‘20.12.01.10시에 미국 ABC The Disney Family Singalong을 통해 Santa Claus Is Comin`to Town의 가창한 것임. https://youtu.be/FFJmhUvyKz8 |
BTS Sings 'Santa Claus Is Comin' To Town' - The Disney Holiday Singalong youtu.be/KKxWfiI_n0c |
BTS E-SPORTS PART 1 l RUN BTS EPISODE 107 REACTION |
https://youtu.be/3HLi8KVP5jQ |
*****(202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