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늙은 말이 갈 길을 안다는 뜻으로, ①연륜이 깊으면 나름의 장점(長點)과 특기가 있음 ②경험(經驗) 많은 사람이 갖춘 지혜(智慧)
노마지지 (老馬之智) 동의어-> 노마식도(老馬識道)·노마지도(老馬知道)
[요약] (老 : 늙을 노. 馬 : 말 마. 之 : 의 지. 智 : 슬기 지)
늙은 말의 지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장기(長技)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
경험을 쌓은 사람이 갖춘 지혜 란 뜻으로 사용된다.
[동어] 노마식도(老馬識道)·노마지도(老馬知道)
[출전]《한비자(韓非子)》〈세림(說林)〉 상편
[내용]춘추시대 오패(五覇)의 한 사람이었던 제(齊)나라 환공(桓公:재위 B.C.685∼643)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명재상 관중(管仲:?∼B.C.645)과 대부(大夫) 습붕(朋)을 대동하고 고죽국(孤竹國:하북성(河北城)내)을 정벌하였다. 그런데 전쟁이 의외로 길어지는 바람에 그 해 겨울에야 끝이 났다. 그래서 혹한 속에 지름길을 찾아 귀국하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동으로 가면 동쪽이 막히고 서쪽으로 가도 역시 앞이 막혔다. 산은 첩첩하고 골은 꼬불꼬불 휘감겨서 빠져나갈 도리가 없었다.
전군(全軍)이 진퇴양난(進退兩難)에 빠져 떨고 있을 때 관중이 말하였다.
“이런 때 늙은 말의 지혜가 필요하다[老馬之智可用也(노마지지가용야)].” 즉시 늙은 말 한 마리를 풀어 놓았다. 그리고 전군이 그 뒤를 따라 행군한 지 얼마 안되어 큰길이 나타났다[乃放老馬而隨之 遂得道行(내방노마이수지 수득도행)].
또 한번은 산길을 행군하다가 식수가 떨어져 전군이 갈증에 시달렸다. 그러자 이번에는 습붕이 말하였다. “개미란 원래 여름엔 산 북쪽에 집을 짓지만 겨울엔 산 남쪽 양지 바른 곳에 집을 짓고 산다. 흙이 한 치[寸]쯤 쌓인 개미집이 있으면 그 땅속 일곱 자쯤 되는 곳에 물이 있는 법이다.” 군사들이 산을 뒤져 개미집을 찾은 다음 그곳을 파 내려가자 과연 샘물이 솟아났다.
염옹은 시로써 이일을 읆은 것이 있다.
蟻能知水馬知途(의능지수마지도)
개미는 물 나는 곳을 알고 말은 길을 알아서
異類能將危因扶(이류능장위인부)
짐승이 도리어 위기에서 도와줬도다.
堪笑淺夫多自用(감소천부다자용)
어리석은 자는 스스로 잔꾀를 많이 부리지만
誰能捨己聽忠謨(수능사기청충모)
고집을 버리고 참다운 충고를 들을 줄 아는 자 그 몇 사람이나 되리.
이 이야기에 이어 한비는 그의 저서《한비자》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그러나 그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자신이 어리석음에도 성현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된 일이 아닌가.”
[출처] 노마지지 (老馬之智) |작성자 몽촌
첫댓글 하 , 에럽다. 앞으로 카페 들어 올때, 옥편 옆에 갔다 놓고 들어 와야 것네....휴 !!!!!!
외상사절, 낙장불입,,,.....요딴 것 들만 알다보니...ㅋㅋㅋㅋㅋㅋㅋㅎㅎㅎㅎㅎㅎ
나이 (먹어면) 이야 (먹으면) 이야~헷갈린다 몇일 전부터..치매 증상인가?
하여튼 나이...넝구렁이다 뭐 이런뜻 아이가.ㅎㅎㅎ,경험이 최고여~~~~
'노마지도'에 힘을 얻고 더 열심히 살아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