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카터 전(前) 대통령(大統領)이 지난1월로 99세(歲)가 되었다. 백(百)에서 하나(-)모자라는 나이 백수(白壽)이다. 8개월(個月) 전만 해도 이런 날이 오리라고는 대부분(大部分) 생각하지 못했다.
2월18일 카터센터는 그가 모든 병원(病院)치료(治療)를 중단(中斷)하고 집에서 가족(家族)들과 남은 시간(時間)을 보내기로 했다고 발표(發表)했다. 마지막 날이 임박(臨迫)했다는 의미(意味)였다.
당시(當時) 의료(醫療)진은 카터 전(前)대통령(大統領)에게 남은 시간(時間)을 일주일(一週日) 정도로 보았다.
가족(家族)들은 침통(沈痛)한 분위기(雰圍氣)속에 그러나 차분(差分)하게 그와의 마지막을 준비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카터센터의 발표(發表)가 나오자 당(黨)을 초월(超越)한 정치인(政治人) 역사학자(歷史學者) 인권운동(人權運動)가 등 각계(各界) 인사(人士)들은 이 특별(特別)한 전직(前職) 대통령(大統領)의 깊은 인류애(人類愛)와 세계평화(世界平和)에 기여(寄與)한 공헌(貢獻)을 기렸고 애틀랜타의 카터 센터에는 방문객(訪問客)들이 몰려들어 그의 평안(平安)을 빌었다.
그리고는 계절(季節)이 세 번 바뀐 지금 그는 평안(平安)하다. 고향(故鄕) 플레인즈 주민(住民)들이 마련한 생일(生日) 축하(祝賀)행사(行事)에 부인(婦人) 로잘린 여사(女史)와 깜짝등장(자동차(自動車) 안에 앉아 있는 상태로)해 박수(拍手)를 받았고 얼마 전 땅콩축제에도 부부(夫婦)가 나란히 모습(模襲)을 드러냈다.
지난 수년(數年) 간암(肝癌) 투명(投命)과 낙상(落傷)으로 건강(健康)이 상했고 피부암(皮膚癌)의 일종(一種)인 흑색종(黑色腫)이 재발(再發) 전이되어 몸은 많아 쇠약(衰弱)해젔을 것이다. 하지만 정신적(精神的)으로 그는 여전히 강건한 것 같다.
매일(每日) TV뉴스를 챙겨보고 현안(懸案)에 대해 가까운 친지(親知)들과 토론(討論)하며 2024 대선(大選) 동향(動向)을 체크한다고 마디어들은 전했다.
카터의 가장 큰 강점(强點)은 놀라운 회복(回復)력이다. 이제는 끝났구나 싶어 보일 때 아무 일도 없는 듯 벌떡 일어나 멋지게 재기(再起)한다.
그렇게 그는 인생(人生)2막을 시작(始作)했고 건강(健康)문제(問題)가 생길 때마다 담담하게 털고 일어났다. 생의 끝이 임박(臨迫)한 지금도 그는 모두의 예상(豫想)을 깨고 한동안 이 땅에서 의연하게 머물지도 모르겠다.
기대(期待)수명(壽命)의 날로 길어지는 시대(時代)에 건강(健康)하고 의미(意味)있는 노년(老年)은 우리 모두의 숙제(宿題)이다. 카터 전 대통령(大統領)이라는 최 정상(頂上)의 자리에서 내려왔을 때 그는 56세였다. 역대(歷代) 대통령(大統領)으로서 드물게 재선(再選)에 실패(失敗)하고 전 국민(國民)의 관심(關心)은 온통 로널드 레이건 신임(新任) 대통령(大統領)에기 쓸려 있을 때 그는 외롭고 초라(綃羅)하게 귀향(歸鄕)했다.
땅콩농사(農事)지으며 조용히 여생(餘生)을 보낼 뿐 그에게 다른 미래(未來)는 없어보였다.
하지만 그는 누구도 예상(豫想)하지 못한 모습(模襲)으로 압도적(壓倒的)인 존재(存在)감을 드러냈다. 인생(人生) 2막이 1막보다 더 빛날 수 있다는 사실(事實)을 만천하(滿天下)에 증명(證明)해보았다.
비결(秘決)은 세 가지로 압축(壓縮)된다. 소명의식 운동(運動) 그리고 행복(幸福)한 결혼(結婚)생활이다. 고향(故鄕)으로 돌아온 후 1년쯤 그는 실패(失敗)를 곱씹으며 참담(慘憺)한 시기를 보냈다. 하지만 해야 할 일들이 그를 일으켜 세웠다.
사람들의 삶을 돕고 세계평화(世界平和)를 돕는 일을 소명으로 그는 카터센터를 설립(設立)했다. 아울러 주일학교(主日學校) 성경(聖經)공부 가르치기를 재개(再開)하고 해비탯 집짓기 운동(運動)에도 적극(積極) 참여(參與)했다. 신앙(信仰)을 바탕으로 한 목적(目的)이 있는 삶이었다.
타고난 성실(誠實)과 정직(正直) 올곧은 원칙(原則)주의에 인생(人生)1막에서 얻은 경험(經驗)과 인맥(人脈) 정치적(政治的) 영향력(影響力)이 합쳐지면서 그는 국제무대(國際舞臺)에서 가장 신뢰(信賴)받은 평화(平和)전도사(傳道師)로 부상했다.
세계(世界)곳곳의 분쟁(紛爭)지역(地域)을 찾아다니며 중재에 나선 헌신(獻身)의 결과(結果) 그는 2002년 노벨 평화상(平和賞)을 수상(受賞)했다. 대통령(大統領) 퇴임(退任) 20년 후 제2막의 활동(活動)으로 노벨상을 받은 대단히 드문 케이스이다.
노년(老年)에 의미(意味) 못지않게 중요(重要)한 것은 건강(健康)이다. 미(美) 역대(歷代) 대통령(大統領) 중 최 장수(長壽) 기록(記錄)을 세운 그는 유전적(遺傳的) 장수(長壽)집안 출신(出身)이 아니다.
아버지와 동생들은 모두 췌장암(膵臟癌)으로 일찍 세상(世上)을 떠났다. 그런 그가 건강(健康)하게 장수(長壽)한 비결(秘決)은 운동(運動)이라고 손자(孫子)인 제이슨 카터 전 조지아 주상원의원은 말한다.
할아버지는 매일(每日) 테니스를 쳤고 어느 도시(都市)를 방문(訪問)하든 조깅을 했으며 달리기가 힘에 부친 후로는 자전거(自轉車)를 탔다고 손자(孫子)는 전해한다.
하지만 할아버지의 답은 다를 것이라고 그는 덧불인다. 할머니 로잘린 여사(女史)를 장수(長壽)의 첫째 비결(秘決)로 꼽을 것이라는 말이다.
카터는 역대(歷代) 대통령(大統領) 중 최장수 기록(記錄)에 더해 결혼(結婚)생활 최장기 기록(記錄)보유자(保有者)이다. 1946년 해군(海軍)사관(士官) 학교(學校)를 졸업(卒業)하자마자 결혼(結婚)한 카터는 로잘린과 77년을 해로(偕老)하고 있다.
“내가 가장 잘한 건 로잘린 결혼(結婚)한 것, 그게 내 인생(人生)의 결정(決定)”이라고 카터는 말해왔다.
금슬지락(琴瑟之樂) 즉 화목(和睦)한 부부(夫婦)사이가 건강(健康)과 장수(長壽)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여러 연구(硏究)에서 확인(確認)된 바이다.
노년(老年)에 부부(夫婦)가 사이좋게 함께 사는 것만큼 큰 복(福)은 없다. 부부(夫婦)가 같이 사니 외롭지 않고 운동(運動)과 건강식(健康食) 등 건강(健康)한 생활(生活)습관(習慣)을 서로 챙기게 되며 친지(親知)들과 어울릴 기회(期會)도 더 많아서 활기(活氣)찬 생활(生活)을 하게 된다.
늘 대화(對話)하며 함께 사는 삶은 치매(癡呆) 예방(豫防)효과(效果)도 있다. 런던대학 연구(硏究)에 따르면 배우자(配偶者)와 사는 노인(老人)이 치매(癡呆)에 걸릴 확률(確率)은 평생(平生) 독신(獨身)으로 산 노인보다 42% 사별(死別)하고 혼자 사는 노인보다 20%낮다 결과적(結果的)으로 배우자(配偶者)와 함께 사는 사람은 혼자 사는 사람에 비해 평균(平均) 2년을 더 오래 산다고 한다.
카터 부부(夫婦)는 어려서 옆집에 살았다. 로잘린이 태어났을 때 3살 꼬마 지미는 엄마 손 잡고 갓난아기를 보러갔었다고 한다.
그 꼬마들이 이제 99세와 96세의 노인(老人)들이 되었다. 근 한 세기(世紀)를 이어온 인연(因緣)이다. 그 긴 세월(歲月) 부부(夫婦)는 매일(每日) 저녁 손을 꼭 잡고 산보(散步)하며 행복(幸福)했다 건강(健康)과 장수(長壽)의 가장 소박한 비결(秘決)이다. 카터의 인생(人生) 2막은 영감(靈感)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