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은
김동명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저어 오오
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 옥(玉)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다.
내 마음은 촉(燭)불이요,
그대 저 문을 닫아 주오
나는 그대의 비단 옷자락에 떨며, 고요히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
내 마음은 나그네요.
그대 피리를 불어 주오
나는 달 아래 귀를 기울이며, 호젓이
나의 밤을 새이오리다.
내 마음은 낙엽(落葉)이요
잠깐 그대의 뜰에 머무르게 하오
이제 바람이 일면 나는 또 나그네같이, 외로이
그대를 떠나리다
( 『조광』, 1937. 6)
[어휘풀이]
-그대 저어 오오 : 원문과 시집 『파초』에는 위와 같이 ‘그대’와 ‘저어’ 사이에 ‘노’가 빠져
있다. 후에 노래로 지어 부르면선 ‘노’가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떠나리다 : 원문돠 시집의 표기에는 ‘떠나오리다’ 가 아님
[작품해설]
가곡으로 작곡되어 널이 애창되고 있는 이 시는 4행이 한 연을 이루는 전 4연 구성 속에 사랑의 기쁨과 정열, 그리움과 애달픔이라는 사랑의 실상을 매우 아름답게 담고 있다.
‘호수’·‘촛불’·‘나그네’·‘낙엽’ 등으로 은듀된 ‘내 마음’을 주지(主旨)로 한 다음, 거기에 대응 되는 ‘배’·‘옷자락’·‘피리’·‘뜰’ 등으로 표현된 ‘그대’를 각각의 매체(媒體)로 하여, 앞의 두 연은 동적(動的)이고 직접적인 방법에 의해 사랑을 즐거운 것과 타오르는 것으로, 뒤의 두 연은 정적(靜的)이고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사랑을 외롭고 슬픈 것으로 구상화하여 참신한 이미지 창출에 성공하고 있다. 1연에서는 임을 위해 부서짐으로써, 2연에서는 타 버림으로써 임에 대한 사랑을 확인한다. 또한 1연에서는 호수를 통한 넓이의 사랑으로, 2연에서는 촛불이라는 소멸의 의지를 통한 깊이로 임에 대한 사랑을 형상화한다. 촛불은 남을 위해 자신의 몸을 불태우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라고 노래하는 것은 임에 대한 절대적이고 헌신적인 사랑을 보여 주는 것이 된다.
그러나 임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의 감정을 ‘부서지며’·‘테우며’로 노래한 전반붕하는 달리, 후반부에서는 ‘나그네’·‘낙엽’으로 전이된 화자가 만남의 약속도 없이 쓸쓸히 임의 뜰을 떠나가겠다고 하면서 사랑의 감정에서 빚어지는 외로움을 형상화한다. 이렇게 이 시는 사랑의 상반된 두 감정의 교묘한 배합을 통해 기쁨과 아픔이라는 사랑의 실상을 보여 준다.
또한 각 연의 매 2행은 경어체인 ‘오오’·‘주오’·‘허오’로 끝맺음으로써 임에 대한 사랑을 더욱 절실하고 호소력 있게 하였으며, 아울러 이 시를 섬세한 어김과 분위기의 작품으로 이끌고 있다.
[작가소개]
김동명(金東鳴)
1910년 강원도 강릉 출생
1921년 함흥 영생학교 졸업, 일본 청산학원 신학과 졸업
흥남 동진소학교, 평남 강서소학교 교원
1923년 『개벽』에서 시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 주시면」 등을 발표하여 등단
1945년 함흥 서호중학교 교장 역임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1960년 초대 참의원 의원
196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