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농업의 미래
강사 : 김포시농업기술센터 인재개발과장 권혁준
강의 중간의 동영상 뽀빠이 이상용씨 강연이 머리에 멤돕니다.
자연에 순응하며 소박한 삶을 살아야 겠다 ~~~
1. 농업의 중요성
- 농업의 가치 헌법개정시 헌법에 반영하여야 한다
- 논이 사라지면 매가 사라진다.
- 세계인구 2050년 97억명 예상
- 식량과 농경지 부족이 심해질것
- 미래성장 산업이 농업이며 수익을 많이 낼 수 잇는 것도 농업
2. 김포 농업 현황
1)김포 농업
- 평균 기온 12.8도, 강수량 1,417.6mm
(2017년 기온 12.4도, 강수량 741.5mm)
- 13읍·면·동으로 구성 : 3읍 - 통진읍, 고촌읍, 양촌읍
3면 - 월곶면, 하성면, 대곶면
7동 - 김포본동(북변동,걸포동,감정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 장기본동, 구래동(구래동, 마산동), 운양동
※ 행정동(법정동)
- 농업인/전체인구은 15,355/393,466 로 농업인 비율은 전체의 3.9%이고
농가호수 5,488호는 전체의 3.9%
농가면적 5,060ha
- 경기도 서북부 한강 하류 접경 농업
- 서울, 인천, 고양, 부천등 주요 소비시장 인접
- 김포는 원래 검포현이었음. 통일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김포로 명칭 변경(정명 1,260년으로 천년 넘은 지명)
- 동국여지승람에는 김포가 '한강 하류에 붙어 토지가 평평하고 기름져 백성들이 살기 좋은 곳'이라고 기록되어있음.
- 토양은 하해혼성충적토로 하천이 범람하여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가 퇴적된 것임. 메수수도 3년 심으면 찰수수가 될 정도로 기름짐.
- 특산품으로는 벼, 포도, 배, 매실, 인삼 등이 있음.
- 김포총예산 11,004억원(김포시청 홈페이지) / 농업예산은 2.2%
2) 김포시 농업기술센터
- 조직
1.농정과
2.인재개발과 - 도시농부 및 농업인 교육
1)인재교육팀 - 엘리트농업대학, 새해농업인실용교육, 귀농귀촌교육
2)도시농업팀 - 도시농부학교
3)생활개발팀
4)농기계팀 - 농기계 임대(콤바인, 관리기등 농기계임대사업장에 신청, 앱으로 신청 가능)
3.기술지원과 - 농업기술보급
1)생명작물팀 - 토양검정 및 분석
2)원예기술팀
3)환경농업팀 -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배양 및 공급(무료) → 100~200배 희석하여 사용
- 엘리트농업대학에는 5개과 194명이 속해 있음.
- 가축 전염병 예방대책 사업
- 농촌진흥청 홈페이지에서 농업기술정보를 클릭; 농업 관련 책.
- 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에서 알림사항, 센터 소식을 클릭; 강의 정보 등.
- 김포농업의 역사
1. 1960년대 - 농업혁명의 시작, 농촌지도기관 설립(1962년 김포군농촌지도소 개청→향후 농촌기술센터)
2. 1970년대 - 녹색혁명 식량증산/지도사업강화 1971년 통일벼 재배를 통한 배고픔 해소
3. 1980년대 - 백색혁명(농업의 계절성 극복 과일과 채소를 365일 즐길수 있게됨) 노동생산성 향상
4. 1990년대 - 품질혁명, 고품질/ 저비용 생산기술
5. 2000년대 - 지식, 가치혁명
6. 2015년 - 농촌같은 도시, 도시같은 농촌, 대한민국 유일의 농업성공도시 조성
- KOPIA(KOrea Project International Agricultural) 아프리카 등 외국으로 농업 기술 이전 ex) talgoki
- 우리나라 내에도 지역별 기술 차이 존재.
3. 신농업시대의 좌표
<첫번째 : 100세 시대 도래>
- 음식의 중요성:
1. 의식동원 : 질병치료와 식사는 그 근원이 동일하다
2. 약식동원 : 좋은 음식은 약과 같은 효능을 낸다.
3. 식치 : 질병치료를 위해 농산물을 이용한다.
- 퇴행성 관절염에 좋은 농산물:
1. 두충, 우슬 :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한다
2. 오가피 : 간장과 신장의 기능강화
3. 오미자, 인삼 : 골관절염에 좋다
4. 천마 : 뇌의 마비를 막는다(천마를 증기로 쪄서 환(5g)으로 만들어 먹는다)
- 건강에 좋은 약초 100선 : Naver등 인터넷 포털 검색하여 활용
- 100세 시대
100세 시대 4대 리스크: 유병장수, 무전장수, 무업장수, 독거장수
100세 시대 화두: 건강한 먹거리, 인생의 2막에서 정년이 없는 직업은 “농업”
<두번째 : 1인 가구의 증가>
- 싱글 3인방 : 화싱(화려한 싱글), 돌싱(돌아온 싱글), 언싱(언젠간 싱글)
- 20년후(2035년경) 싱글 비율 : 34%
-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음 ; 농업 생산에서도 1인 가구 노려서 작게.
- 장바구니 분석을 통한 묶음 상품 개발
<세번째 : 귀농귀촌인구의 증가>
- 귀농, 귀촌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 애로사항은 여유자금 부족 47.2%
영농기술습득 27.4%
농지구입의 어려움 25.5%
생활여건 불편 23.8%
지역주민과의 갈등 16.1%
-귀농귀촌 거주기간 : 6개월 미만이 65.4%
4. 농업의 진보 어디까지
- 기후 변화로 인하여 제주에서 재배되던 한라봉이 충주에서도 재배 가능 → 미래의 지역별 생산가능 작물 파악 중요
- 스마트팜 : ICT 접목, 빅데이터 활용 등으로 생산성은 높이고 에너지는 절감 - 시설원예, 축사
- 곤충을 가축사료로 쓰면 지구 온난화 감소
- 생명공학 기술과의 융복합 ex) 돼지유전체지도, 탄저병저항성 고추
- 농업의 6차 산업화: 생산(1차)->가공(2차)->체험,관광,외식,직거래(3차) ; 곱해서 6
- IT 농부
- 식물공장: 철강공장을 식물공장으로 탈바꿈. 일년에 30모작 가능.
- 콘테이너 버섯재배
- 투자의 귀재 짐 로저스는 '젊은이여, 농대로 가라'라고 말함.
- 한국 농수산 대학 : 최근 6년 졸업새의 평균소득 9천만원(도시근로자의 1.6배)
- 농업 소득순위
1. 중소가축(돼지, 닭, 오리) : 1억9,904만원
2. 수산 : 1억4,428만원
3. 대가축(소 등) : 1억 2285만원
4. 벼 : 7,372만원
5. 화훼 : 6,244만원
6. 과수 : 5,882만원
7. 채소 : 5,252만원
8. 특용작물 : 5,039만원
- 인간의 지식업무 능력은 45대, 60대, 그 이후에도 비약적으로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