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형 추수감사절(Pilgrim Fathers)
영국에서 신앙의 박해를 받아 네덜랜드로 '순례의 길'을 떠났던 청교도(Puritan)들은 네덜랜드 암스테르담과 라덴에서 얼마동안 신앙의 자유를 누리며 살다가 1,558년 영국 엘리자베스 I세가 여왕으로 즉위하자 타향살이를 청산하고 영국으로 돌아가기로 작정한다.
그러나 여왕은 청교도들의 입국을 허락해 주지 않았으며 엘리자베스 여왕에 이어 즉위한 제임스 I세 그리고 그의 아들 찰스 I세는 '왕권신수설'을 받아들여 모든 국민들이 영국국교만 믿고 이를 따를 것을 강요했다.
결국 청교도들은 고국 영국 땅에 정착하지 못하고 신앙의 자유를 찾아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 대륙으로 갈 것을 결심한다.
1620년 9월29일, 승무원 6명을 비롯한 '필그림 파더스'라고 불리는 101명(남72명,여29명)의 영국 청교도들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영국 남서쪽 플리머스 항구를 떠난다.
그러나 그렇게 출항한 그들의 항해는 그리 순탄치만은 않았다.
대서양을 가로질러 항해해야 했기에 그들은 높은 파도와 싸워야만 했고 불규칙한 비바람치는 날씨에 함선에서의 갑갑한 생활, 게다가 빈약한 식량으로 인해 모진 고난의 여정을 견디고 견뎌야만 했다.
약 2개월간의 악전고투 끝에 드디어 1620년 11월9일 신대륙 메사추세츠주 케이프 카드만에 감격적으로 도착했다.
그러나 험난한 항해의 여정으로 지칠대로 지친 그들에게 찾아온 것은 바닥난 식량으로 극심한 굶주림과 11월에 시작된 매서운 겨울의 추위 그리고 그곳에 이미 살고 있는 인디언들의 습격에 대한 공포속에서 첫 겨울을 보내야만 했다.
심지어 괴혈병, 폐렴 등 질병에 걸리고 봄이 오기 전까지 하루에 2,3명씩 거의 절반이 죽어나가는 비극의 겨울을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 있다는 믿음과 신앙의 자유를 찾아서 떠나온 의지와 일념으로 월리엄 브래드포드(1590-1657)의 리더쉽하에 현재의 보스턴 근방에 자신들이 떠나왔던 영국의 플리머스를 기념하면서 '플리머스'라 이름을 짓고 황무지를 열심히 개간했다.
그러는 가운데 인디언들의 습격과 분쟁은 여전했지만 1621년 봄을 맞이하면서 인디언들과 청교도들 간에 상호협력 및 불가침 조약을 맺는다. 이후 우호적인 부족 인디언들로부터 옥수수와 밀과 토지 경작법 등 많은 도움을 지원받게 되었다.
바닥난 식량으로 인해 1주일에 3일씩 어쩔 수 없이 금식을 하면서 굶주린 배를 움켜쥐어야 했을 때는 인디언들이 짐승들을 잡아다 준 덕분에 겨우 굶주림을 버틸 수 있었다.
이제 봄부터 여름에 부지런히 씨를 뿌려 경작해 나갔으며 드디어 가을에 그들의 기도와 기대대로 풍작을 이루었고 감격적인 첫 추수를 거둔 것이다.
지금까지 돌보셨던 하나님의 은혜에 크게 감사드리며 죽도록 어려웠지만 열심히 땀 흘렸던 자신들의 첫 수확을 축하하기 위해 그리고 첫 추수에 도움울 주었던 인디언들을 기억하기 위해 왐파노악 부족 추장 마사소이드를 초청하여 이토록 '최초의 추수감사절'을 지켰다.
이 자리에 추장은 90명의 용사를 데리고 참석했다.
이날 청교도들은 들새를 잡으러 나가 많은 칠면조를 잡았고 인디언들은 사냥을 해 5마리의 사슴을 잡아왔다.
이제 제단을 쌓고 인디언들과 함께 모여 하나님께 감사를 올리며 큰 축제잔치를 열었다.
생존한 청교도들은 그렇게 감격적인 기쁨의 첫 추수감사예배를 드렸다.
목숨과 맞바꿔야 했을 정도로 그토록 바라고 바랬던 신앙의 자유를 만끽하는 시간이었다.
1621년 11월 마지막 목요일이었다.
이것이 유래가 되어 오늘날의 '추수감사절'이 탄생한 것이다.
* 댓글 ; 농사는 짓지 않아도 자식농사, 사업농사 등 각자 하는 일에 대해 감사해야겠습니다!
(출처- 박승배 님의 페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