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중공업은 "방위사업청 기준으로는 내구도 시험을 무한 반복할 수밖에 없어 K2 전차 국산 변속기 양산이 불가능하다"고 30일 밝혔다.
논란의 핵심은 K2 전차 국산 변속기 최초 생산품 내구도 시험에 대한 국방규격으로, 9천6백㎞ 내구도 시험 중 결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궤도 차량용 변속기 수명이 다하는 9천6백㎞ 이상을 험지 운행하면서 아무런 결함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다.
때문에 방위사업청은 내구도 시험 중 어떠한 결함이라도 발생하면 처음부터 다시 시험을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S&T중공업은 "K2전차 국산 변속기 내구도 시험 국방 규격의 기술적 오류를 지적하는 기계공학, 자동차공학, 신뢰성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자동차공학한림원은 K2전차 국산 변속기 내구도 시험에 대한 현재의 국방규격으로는 내구도 시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한국자동차공학한림원 한동철 명예교수는 "신뢰도에 대한 요구사항이 명시되지 않은 채 9천6백㎞까지 결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이상적인 변속기를 만들라는 요구"라며 "이는 기술적인 오류이고 비합리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국방규격으로는 변속기의 내구도를 기술적으로 검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S&T중공업은 국방규격 내구도시험 기준과 관련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지난해부터 방위사업청에 국방 규격의 명확하고 합리적인 해석과 변경을 여러 차례 건의했다.
하지만 방위사업청은 외부 전문가 의견 수렴 등 객관적이고 기술적인 검토 절차도 없이 건의를 일방적으로 기각했다고 S&T중공업은 밝혔다.
이에 따라 S&T중공업은 지난 5월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방위사업청의 K2전차 국산 변속기 내구도 재시험 요구를 중단해달라는 취지의 가처분소송을 제기했으며, 본안 소송도 준비중이다.
K2전차 국산 변속기 내구도 시험은 지난 2월 볼트 1개가 부러지는 고장으로 잠정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