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기간에는
인사동에 서예 전시가 없다.
오늘은
개인전 도록을 보고
서체 별로 기록하였다.
후배들이 서체에 대한
특징을 알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체는
정석으로 휘호한
작품만을 추려 정리하였다.
작가 : 가림 박순자(嘉林 朴順子)
명제 : 和而不同(화이부동)
출전 : 論語 句(논어 구)
서체 : 전서(篆書)
크기 : 22x67cm
본문
和而不同
독음
화이부동
해설
남과 사이좋게 지내되
의(義)를 굽혀
좇지는 아니한다
작가 : 마하 선주선(摩河 宣柱善)
명제 : 李仁老先生 山居
(이인로선생 산거)
서체 : 예서
크기 : 68X68cm
본문
春去花猶在
天晴谷自陰
杜鵑諦白晝
始覺卜居深
독음
춘거화유재
천청곡자음
두견제백주
시각복거심
해설
봄은 갔건만 꽃은 그대로 있고
하늘은 맑건만 골짝은 그늘졌네
한낮인데도 두견이 슬피우니
비로서 사는 곳이 깊음을 알겠네
작가 : 평천 이월선(平川 李月善)
명제 : 中庸 句 (중용 구)
서체 : 예서 (고예)
크기 : 23 X 21 cm
본문
誠者 天之道也
誠之者人之道也
誠者不勉
而中不思
而得從容中道聖人也
誠之者擇善
而固執之者也
독음
성자천지도야
성지자인지도야
성자불면
이중불사
이득종용중도성인야
성지자택선
이고집지자야
해설
성실함은 하늘의 도리요
성실해 지려고 하는 것은
사람의 도리니
성실한 자는 힘쓰지 않고도
도에 맞으며
생각하지 않고도 알아서
종용히 도에 맞으니 성인이요
성실히 하려는 자는
선을 택하여
굳게 잡는 자이다
從容(종용) : 성격(性格)이나
태도(態度)가 차분하고 침착(沈着)함.
작가 : 마하 선주선(摩河 宣柱善)
명제 : 一庭華發(일정화발)
서체 : 행서
크기 : 34X136cm(2)
본문
一庭華發來知己
萬卷書開見古人
독음
일정화발래지기
만권서개견고인
해설
온 뜰에 꽃이 피니
지기가 오고
만권의 책을 펼치니
고인을 보네
작가 : 마하 선주선(摩河 宣柱善)
명제 : 守本真心(수본진심)
서체 : 해서
크기 : 69X35cm
본문
守本真心第一精進
독음
수본진심제일정진
해설
근본 참 마음을
지키는 것이
제일의 정진이다
낙관 쪽은
행서로
정묘 춘 마하(丁卯 春 摩河)라
기록 되어 있는데
해서로
낙관을 쓰지 않아도 어울린다.
작가 : 陶谷 洪愚基(도곡 홍우기)
명제 : 長錐界石(장추계석)
출전 : 장회관 옥당금경
(張懷瓘 <<玉堂禁經>>)
서체 : 해서(북위)
크기 : 46 x 70cm
본문
畫如長錐界石
독음
획여장추계석
해설
필획은 긴 송곳으로
바위에 줄을 긋듯이 해야 한다.
작가 : 시우 박종현(是雨 朴鍾賢)
명제 : 心不厭精手不忘熟
(심불염정수불망숙)
출전 : 書譜
서체 : 초서(草書)
크기 : 30 X 135cm
본문
心不厭精手不忘熟
독음
심불염정수불망숙
해설
마음은 정미함을 싫어하지 않고
손은 숙련함을 잊지 않는다.
작가 : 장석 서명택(章石 徐明澤)
명제 : 壽福(수복)
서체 : 초서
크기 : 35x65cm
본문
壽福
독음
수복
해설
장수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첫댓글
오늘은 무척 춥다.
입춘이 지났으니
따뜻한 날이 곧 온다.
우리후배들
방학 즐겁게 보내고 있지?
저녁 7시 30분
강습회 있다.
시간되면 나와라.
오바!
~^^~
서체별 작품 정리
(전ㆍ예ㆍ행ㆍ해ㆍ초)
https://m.cafe.daum.net/bbhy0003/LOy7/2104?svc=cafe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