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글에 이어 계속 잇겠습니다.두번째 글은 50~60장 정도 됩니다.
------------------------------------------------------------------------------------------------------------------------------------
5.익산역 근처 버스 정류장(13:05)~시청(13:08)~시청 건너 정류장(13:12)~춘포면 소재지(13:30)~춘포역(13:33) 37번 시내버스+111번 좌석 버스 1,100원+1,300원=2,400원
삼례방면 버스를 타기 위해서는 길 건너 정류장으로 가야 했습니다.춘포면으로 가는
버스가 어느정도 많이 있는 편이지만 111번 버스를 타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선택이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73.JPG)
111번 버스가 금방 나타났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74.JPG)
버스를 타니 운임을 내려 하자 내릴때 내라고 했습니다.처음 어리둥절 했지만
옆에 앉아 계신 분 말을 듣고 자리부터 잡았습니다.동익산역 앞을 지나 전주로 가는
4차선 길을 밟다 20여분 만에 춘포면 소재지에 도착했고,운임을 내리고 내렸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75.JPG)
일요일 낮 춘포면 소재지는 유령 마을이었습니다.2차선 길 건너 왼쪽으로 가는 골목길
로 가니 춘포역이 있었습니다.(버스에서 내려서 바로 왼쪽 골목이었는지 아니면 한 두
골목 더 지나서 골목이었는지 지금 기억이 안나네요^^;;;)
6.춘포역(13:33~14:05)
원래 5월 26일에 가려 했지만 엄두가 안나 못가고,다시 31일에 가려 시도했으나 부모님의
심한 반대에 부딪쳐 가지 못했고 결국 살아 있었을 때 보지 못하고 죽은 후인 6월 3일에야
보게 되어 안타까움과 만감이 교차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76.JPG)
90년대 초반 흔히 볼 수 있었던 역 간판을 간직하며 춘포역은 6월 1일 돌아가셨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0.JPG)
군산행 통근열차가 빠르게 경적소리를 내며 춘포역으로 다가오고 있었습니다.이 날로부터
이틀 전부터 아침과 한낮에 잠깐 네 대가 서던 통근열차는 아닌 말로 춘포역을 쌩깠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1.JPG)
열차사랑 &레일원에서 알아본 춘포역의 일생입니다.
★춘포역 연혁
1914.11.17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이리~전주간 경편철도를 개통하고 ‘대장역’으로 영업개시
그 후 국유철도화 되면서 표준궤로 개량공사완료,
1993.5.1부터 비둘기호 승차권 발매중지
1996.6.1 춘포역으로 역명 개칭,
1997.6.1 역원배치 간이역으로 격하 (철도청고시 1997-27)
2004.9.1 화물/소화물 취급중지,
2005.8.31 역원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
2007.6.1 여객취급 중지.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2.JPG)
우리나라에서 신촌역보다,서울역보다도 역 건물이 더 오래되었다는 말을 듣고,
한번 가보고 싶은 곳이었고,6월 열차가 안 선 다는 비보를 접하고 5월 안으로
꼭 가려 했으나 5월 내 방문를 이루지 못하고,6월이 지나서야 오게 되서
한편으로는 감개가 무량하지만,한편으로는 비감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창문이 뜯겨져 나갔더군요..-_-;;;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3.JPG)
표 사는 곳은 나무판자로 가려 있었고,나무판자 위에 공지문이 붙여 있었고,그 위로
열차 시각표와 운임표가 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4.JPG)
열차시각표.운임표와 여객취급 중단&작년 11월 개정 안내문입니다.춘포역은 화물 취급을
하지 않으니 여객 취급 중단으로 이틀 전 생명을 마친 거나 다름 없음이 되고 말았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5.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6.JPG)
나무 판자로 가린 창문과 깨진 거울.흙먼지 가득한 의자......춘포역의 최후의 후는 약간
안습이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7.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8.JPG)
천장은 옛날 신촌역의 천장과 형식이 같았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89.JPG)
용산행 #1506으로 추정되는 무궁화호가 통과하고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0.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1.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2.JPG)
역 승강장의 끝과 끝을 오가며 연선과 古역의 풍경을 담았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3.JPG)
삼례쪽 방향 모습입니다.멀리 큰산들이 쭉 이어지고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4.JPG)
사진 한 장에 충분히 건물 전체가 정면에 들어올 수 있는 정도로 건물이 아담했습니다.
역 건물 앞은 나무로 가려 전체를 온전히 담을 수 없었지만,승강장 쪽에서는 전체를
온전히 담을 수 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5.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8.JPG)
발길이 많이 뜸했서 그랬을지,승강장에 잡초가 많이 자라 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8.JPG)
선로에도 잡초가.....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199.JPG)
선로관리반 건물입니다.상주하고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0.JPG)
춘포역 승강장 표지판.....6월 1일부터는 쓸모 없게 되었습니다.여기도 신식 표지판을
설치했는데 같은 운명에 처한 역으로는 운산역과 영주~안동 사이 몆 역들이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1.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3.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4.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5.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6.JPG)
일제시대 지어진 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가림막입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09.JPG)
역 건물 벽에 주름 같은 것이 많이 있었습니다.역 안으로나 밖으로나 93년 세월의 흔적이
묻어 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1.JPG)
이제 춘포역과 작별하고 나갈 시간이 되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3.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4.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5.JPG)
30여분 머물고 古 춘포역 곁을 떠났습니다.지금 돌아가 있는 춘포역...명복(??)을 빕니다.
문화재로 지정을 받았으니 자손 만대 보존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6.JPG)
굿바이..춘포역..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7.JPG)
7.춘포역(14:05)~춘포면 소재지(14:08~14:11)~동익산역 근처 모 아파트 건너(14:18)~
동익산역(14:27) 111번 좌석버스 1,300원&도보
길 앞 슈퍼에서 버스 타는 장소를 물어보고 슈퍼 앞에서 타면 된다는 말을 듣고 어느 정도
기다리자 111번 버스가 나타나서 올랐습니다.이번에는 돈을 먼저 내라고 하네요..먼저 냈
습니다.춘포면 소재지를 벗어나 전라선 철로를 가로지르며 멀리 춘포역과 헤어졌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8.JPG)
동익산역과 가까운 것 같아서 근처 모 아파트 건너 편에 내렸습니다.동익산역과 가까운 줄
알았더니 4거리 두 번을 지나서 두번째 사거리에서 왼쪽으로 걸어가서 큰길 하나를
건너가야 했었습니다.거의 10분 가까이 걸렸습니다.원래 익산역으로 가려 했지만
한번도 가보지 않은 동익산으로 해서 타기로 합니다.
8.동익산역(14:25~14:40)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19.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0.JPG)
동익산역도 춘포역과 같은 형식의 역간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1.JPG)
동익산역 맞이방 풍경입니다.크기는 그럭저럭 합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3.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4.JPG)
표사는 곳에서 임피 가는 #2167 표를 사고 전북지사 열차 시각표 프린트물을 가져 갔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5.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7.JPG)
여수행 기차가 섰지만 6월 후로 동익산역에는 여수행이 서지 않습니다.오직 전주행만이
서고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29.JPG)
승강장 표지판에 왼쪽에 있는 춘포 문구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0.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1.JPG)
승강장 왼쪽에 컨테이너가 많이 쌓여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2.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3.JPG)
군산행 #2167 통근 열차가 동익산역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4.JPG)
7개월만에 군산선 통근 열차를 봤습니다.행선판 원래 본 모습의 것을 달고 있었습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5.JPG)
#2167을 타고 마지막 발 닿을 임피역으로 갑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irail.net%2Fjs%2Feditor%2Fupload%2F22DSCN5236.JPG)
세번째 글에서 계속 됩니다..
첫댓글 여객업무 중단 이후에도 신호장 정도의 역활은 계속 합니다. 이 구간이 단선 구간이라 춘포역은 중요한(...) 교행지점 중 하나입니다.
아..아예 없어진 줄 알았습니다ㅜㅜ 다행이군요;;ㅋ 그러면 중앙선에 여객업무 중단된 만종이나 능내,마사.이하 같은역도 신호장 역할을 하나요?
완전히 폐역되기 전까지는 운전취급을 계속 하게 됩니다.
익산 시내버스는 다소 특이하네요. 하차시 운임을 내라니... 그것도 현금으로...
익산 시내버스 대부분은 내릴때 요금음 빋아요.....(익산시외지역)
시내구간은 승차시 내지만, 삼례, 강경, 봉동 등의 지역은 시외라서 카드로 결재시에 기사분계서 추가구간 입력하시는것을 귀찮아하십니다. 그래서 당당히 후불(?)제를 이용하죠
춘포역의 경우에는 동익산-아중구간이 단선이여서 교행을 하기도 합니다(가끔씩 하극상이 벌어진다는.....)
익산 시내버스의 경우 타지역 (군산, 완주, 김제, 강경 등)으로 가는 노선이 많이 때문에 구간요금이 많습니다. 그래서 내릴 때 요금을 내죠. 단 시내구간만 다니는 차들은 탈 때. 참고로 군산지역은 탈 때 기사에게 말하고 한 번에, 전주의 경우에는 전주->시외는 일단 기본요금, 내릴 때 추가요금 / 시외->전주는 한 번에 냅니다.
익산도 시외 -> 시내 구간은 승차시에 냅니다.... 차라리 서울처름 승차시에 찍고 하차시에 한번 더 찍어도 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