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http://naver.me/5PQVUP9I
사드 이후 계속되는 중국 규제에
모바일게임 셧다운제 도입 가능성
WHO, 게임장애 질병코드화 추진
국내 빅3 매출 3분기 반토막 위기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국내 주요 게임 업체들이 게임과 관련한 각종 대내외 규제에 직격타를 맞으면서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국내 게임 업체 ‘빅3’에 꼽히는 엔씨소프트와 넷마블이 이번 3분기 매출·영업이익 모두 지난해 동기 대비 40~60%가량 하락할 것으로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게임을 질병으로 인정할지 여부, 모바일 게임 셧다운제 가능성, 중국 정부의 한국 게임 규제 등이 숨 돌릴 새 없이 이어지고 있다.
(중략)
게임 업계가 가장 불만을 표출하는 사안 중 하나가 게임 중독의 질병 코드화를 놓고 각기 다른 입장을 내놓는 중앙정부 부처들의 대응이다.
지난 11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면 한국도 이를 곧장 수용하겠다”고 밝히면서 게임 업계는 “업계의 근간을 흔드는 처사”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WHO는 내년 5월 열리는 세계보건총회에서 게임 중독 등 게임 장애를 질병으로 포함하는 국제질병분류 개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 세계 게임 업체들은 “게임 과몰입을 의학적 의미의 중독·질병으로 볼 수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의학계에서도 이 부분은 논란이 크다.(중략)

게임 산업 진흥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역시 복지부와는 완전 반대되는 입장이다. 문체부 산하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문화재단은 이달 중으로 “게임을 술·담배·도박과 같은 유해 물질로 규정할 근거가 부족하다”며 복지부 방침에 반박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중략)
세계 최대 게임 시장으로 일컬어지는 중국 정부의 게임 규제도 문제다. 중국 교육부를 비롯한 8개 정부 부처는 지난 8월 말 게임의 이용시간을 제한하는 ‘게임 총량 규제안’과 중국 내에서 서비스되는 게임 전체 수를 관리하는 ‘온라인게임 총량 제한 정책’을 발표했다. 일종의 중국판 ‘셧다운제’인 셈이다. 한국 게임업체뿐 아니라 텐센트 등 중국의 대형 게임 기업들도 타격을 입는 분위기다.
(중략)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도 게임 업계의 불만 요소 중 하나다. 확률형 아이템이란 이용자가 게임 내에서 돈을 주고 구입하지만 아이템의 효과나 성능은 확률에 따라 랜덤으로 결정되는 상품을 말한다. 돈을 아무리 많이 쓰더라도 확률이 적은 아이템은 걸리기 힘들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반복적인 구매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이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29일 문체부 종합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질문을 받을 예정이다. 엔씨소프트의 대표적인 모바일 게임 ‘리니지M’이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게임 업계에서는 “넥슨·엔씨소프트 등 대형 게임사들이 2015년부터 확률형 아이템을 자율적으로 규제하고 있는데, 국감에서 이를 다룰 필요가 있느냐”는 얘기가 나온다.
(후략)
하선영 기자 dynamic@joongang.co.k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전문출처로
게임중독 질병이다 vs 질병아니다로 의견이 갈리고 있는중
첫댓글 게임 자체는 괜찮은데 자기제어 못하고 중독되는 순간 질병이라고 생각함
근데 직장생활하면서 취미생활 가질만한것중에 만만한게 게임이긴해 ㅜㅜ 퇴근하면 누워서 겜하는게 낙.. 중독안될 환경이 만들어지면 좋을텐데
게임하는건 잘못된건 아니지만 게임한다고 자기자신이 현실에서 해야하는걸 안하면 문제지
한남들은 이런기사보면 개뜬금없이 여가부만 까면서 암! 중독아니지 암! 하면서 하루에 20시간씩 게임함
이럴줄 알았음 베플1위임
@참치쌈 와진짜 개삐리리다ㅋㅋㄱㄲ 냄져만 겜하는거아니고요~~ 지가 꼬추달렸다고 겜에있는사람들 다 꼬댕이들인줄아나ㅋㄱㅋ
게임 중독 맞을듯 내가 대학다니면서 본 인간들에 따르면... 시간나면 맨날 피시방 시험기간에 열람실에 공부하는 동기들한테 피시방가자고 난리치고 자기제어를 못하던데 한남들은 폭력성도 심해지고 ... 적어도 한남들 중에 게임을 정말 취미로 적당히 즐기고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쓰는 놈은 극소수일듯 게임에서 욕이나 하고 폭력성만 짙어지는데 게임이 중독이 아니면 피시방에서 게임만 하다가 죽는 경우가 왜 생겨..
한남들보면 질병맞는거같음
중독은 질병맞지
근데 우리나라는 게임하는 사람들한테 너무 박함
스마트폰도 중독인데 스마트폰 잘만 팔리는데요ㅠ 한남이 문제지
게임자체가 중독성이 없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문제는 게임으로의 도피인 것 같아
현실에서 어려움이 있거니 고통스러울때 성취감을 얻기 쉽고 누구도 도태되지 않는 게임으로 도피하는 느낌?
게임이 문제라고 낙인찍기보단 왜 사람들이 게임에 빠지는지 파악해야하지 않을까
게임산업 흥해라
한남들 게임중독 만들어서
좋은자리 여자들이 다해먹게^^
질병임. 남자들 미쳐서 하는거봐;
삭제된 댓글 입니다.
2ㅋㅋㅋ
질병맞잖아 중독은
중독은 질병인데 이 사회는 게임 자체를 병이라고 보잖아!
한국에서 게임 하는 것 자체를 너무 안 좋게 보고 게임 하는것 자체를 중독, 질병으로 보는 사례가 많아서 그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이 들면서도,, 한남들 게임하는 수준 보면... 질병 맞는거같아...
한남들한테는 질병수준
10시간 넘게하고 일하러가는데도 잠못자가면서도 하고 게임때문에 사람패고 죽이고
아니아니 한남자체가 질병일정도
나진짜중독이라 현생을못사는수준인데 못고치겠음ㅜㅜㅜ
중독은 자기제어 못하는 수준이고..
중독은 질병맞지...
남들한테 지장안가게 즐기면 되는거아니야..? ㅜ
하..최근에 회사에사도 고나리당해서 존나자증난다.
주말에 즈그들이랑 안놀아준다고
방에서 겜만한다고 돌아가면서 지랄한다...개인시간 존중좀 ㅠ